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페세 Feb 12. 2020

힘 내기 싫어서 안 내는 게 아니야

힘든 사람에게 힘내라는 말은 거의 힘이 되지 못한다.

두 아이에게 아버지로서 한 가지 잘했구나 싶은 게 있다면 어릴 때부터 부모에게 존댓말을 쓰도록 가르쳤다는 점이다. 살면서 원칙이나 기준 같은 게 별로 없는 사람으로 이 한 가지만은 완고하게 고집했는데 아내도 완벽하게 동의했다. 

애가 어린데 굳이 뭘 그렇게까지 하느냐고 하던 사람도 있었다. 부모 노릇은 나도 처음이라 혹시 데면데면해지지 않을까 염려도 했다. 그러나 아이들이 다 크도록 네 식구 서로에게 퍽 다정했고 지금도 장성한 아이들과 모자지간 부녀지간 수시로 하는 스킨십이 자연스럽다. 성공한 자녀교육 경험을 간증하려는 건 아니니 이쯤 결론을 맺기로 하자. 말을 가르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 그것은 말하기를 넘어 존중과 배려를 가르치는 일이라서 그렇다.


##


사람 관계에서 가장 힘든 일 중 하나는 말에 의한 상처를 받아내야 하는 일이다. 어떤 말은 싸늘한 얼음칼처럼 사람 속을 뒤집고 얼려버린다. 누군가 단언하기를 ‘상처는 오로지 받는 사람의 몫’이라고 하던데 처음에 이 말이 전혀 이해되지 않았다. 

“어째서 상처를 받는 사람 문제란 말인가? 함부로 말한 사람 잘못이 아니고?” 

발끈해서 따지자 그는 내 눈을 보며 천천히 말했다. 

“잘 들어. 상처 받는 사람이 문제라고 하지 않았어. 몫이라고 했지.” 

곰곰 다시 생각했다. 그러게 말은 잘 듣는 게 중요하다.


##


의외로 우리는 고의적이고 악의적인 공격에 쉽게 상처받지 않는다. 처음부터 적대적이며 당연히 그럴 거라고 예상하고 대비할 수 있기 때문에. 반면 무심코 하는 말에 가슴을 깊이 베인다. 아무렇지도 않게, 전혀 그럴 의도가 아닌 순진하고 부주의한 말에 심장이 딱딱하게 굳는 것을 경험한다. 친한 사이일수록 상처는 깊다. 말한 사람은 자기가 그런 줄도 모른다. 상대가 왜 갑자기 기진해 쓰러지는지 알지 못한다. 악의 없는 가벼운 한 마디가 생채기에 굵은 소금을 뿌렸다는 것을 모른다. 그러니 슬프게도 상처는 온전히 받는 사람의 몫. 이후의 관계 역시 전적으로 말을 받는 사람의 태도에 달렸다.


##


“글 잘 쓰게 생겼어요.” “사람 좋게 보여요.” 

이런 말들은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내가 가끔씩, 꾸준히 듣는 말인데, 웃으며 면전에다 선뜻 던지는 선린우호적 표현이지만 내겐 칭찬으로 들린 적이 한 번도 없다. ‘이런 무례한 인간이 있나. 대놓고 외모를 조롱하는 건 어디서 배워먹은 태도인 거지?’ 하다가 ‘그래. 내가 좀 그렇긴 하지. 고리타분하고. 이것 봐. 반박도 제때 못 하고 이렇게 뒤늦게 끙끙거리잖아.’ 

거울 보며 혼자 구시렁거려보는 걸로 끝내지만 쓴 입맛은 제법 오래 간다. 기왕 돈 안 드는 칭찬을 하려거든 차라리 이렇게 해줬으면. “어머나, 글 따위는 하나도 못쓰게 생겼는데 어쩌면.”


##


지난 겨울은 유난히 길고 맵고 추웠다. 본의 아니게 한동안 병원에서 지내며 위로의 말, 격려와 응원의 말을 숱하게 들었다. 그때 새삼 생각해본 것인데 우리가 위로 삼아 가장 많이, 그리고 쉽게 하고 듣는 말이 “힘내”라는 말이더란 것이다. 별 의미도 감동도 없는 인사치레일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힘든 사람에게 힘내라는 말은 거의 힘이 되지 못한다. 가만히 같이 있어주거나 굳이 한 마디 하고 싶으면 “힘들지?”라고 해주는 편이 낫다. 그건 그냥 공감이니까. 비탄에 잠긴 사람을 위로하는 영어 표현에 이런 문장이 있더라. 

“I’ve been there.” 

나도 거기 가봤어. 그러니까 그 기분 나도 알 것 같다는 말. 이보다 진심 어린 위로도 없는 듯하다. 최악인 것은 훈계다. 힘든 사람에게 위로랍시고 자기 경험을 섞어 들려주는 어쭙잖은 훈수야말로 실로 ‘아무 말 대잔치’보다 쓸모 없다. 힘내기 싫어서 힘을 잃은 것이 아니고 경험이 부족해 좌절하는 게 아니다.


##


어느 날 출근하며 결심했다. 오늘 나한테 무슨 일이 일어나도 불평하는 말을 내뱉지 말아보자. 의식적으로 이 결심을 매 순간 상기하다 보니 내가 하루에 쓰는 불평불만의 소리가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됐다. 운전하며, 일하며, 뉴스를 보며, 밥을 먹으며 불쑥불쑥 수시로 나오는 무가치한 불평과 비난과 비아냥의 말. 무리하게 끼어드는 앞차에게 억지로 길을 내주며 투덜거릴 때. 어차피 앞차 운전자에게는 안 들리는 푸념이라는 걸 상기해보면 갑자기 머쓱해서 입을 다물게 된다. TV 앞에서 축구 중계를 보며 하는 혼잣말도 그렇더라. 하루치 불평을 입에서 잠재우는 일이 결코 만만치 않았다. 누구든 한 번쯤 해보면 모두 인생을 감사하게 되리라. 불평을 없앤 하루는 마무리가 안락했다. 그러니 불평도 버릇이다. 의식으로 바꿀 수 있는….


##


모든 일에 마지막이라는 전제를 둔다면 어떨까? 모든 일에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조건을 대입한다면 모든 것이 달라지지 않을까? 마지막이란 그게 무엇이든 비장하고 소중하다. 심리학자 리처드 칼슨은 그의 책에서 ‘911 테러 당시, 납치된 비행기에서 통화를 시도한 사람 중에 자신의 주식중개인에게 전화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고 썼다. ‘5분 후 죽게 될 거라는 경고와 함께 그 5분 동안 가장 중요한 말을 하라고 한다면 모든 전화기들은 온통 사랑한다는 말로 넘쳐날 것’이라는 말도 인용했다. 

실로 그럴 것 같지 않은가? 마지막 앞에 누구든 경건해지고 겸손해지며 절박해질 것이다. 삶에 대한 태도 역시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지금 마주친 이것이 정녕 마지막이라면... 세상 모든 언어는 간단한 은유 하나 필요 없이 진실해지리라.


2018. 3.

이전 08화 하찮은 날의 꽃선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