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라 Nov 16. 2018

싱가포르 취업 시 감당해야 할 것들

해외취업 현실, 단점

한국에서만 일했던 나는 당연히 싱가포르의 근무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일만 구하면 끝인 줄 알았는데, 한국과 전혀 다른 분위기 혹은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과 다시 마주치며 당황했던 적이 참 많았다. 다르기 때문에 내가 느낀 황당함과 짜증. 미리 알았더라면 마음의 준비라도 할 수 있었던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 한다.


1.     항상 마음의 준비를

싱가포르 사람들은 연봉 인상과 승진을 위해 이직을 많이 한다. 회사의 경영진들은 그 어느 곳보다 유연하게 사람을 채용하고 해고한다. 회사와 직원 간 유대관계가 그만큼 약하다. 아마 싱가포르 산업의 한 축이 금융업계이니 더 그리 보일지도 모르겠다.


입사한 지 4개월이 되어가는 무렵, 나와 함께 입사했던 두 명이 이틀째 보이지 않았다. 단지 휴가 간 줄로만 알았던 그들의 행방을 알려준 건 옆 동료였다.

 “들었어? 걔네 잘렸대.”

해고보다 충격적이었던 건 그들이 나와 같은 날 입사한 사람이었다는 거다. 마치 내가 해고당한 것처럼 나는 한동안 충격에 빠져 지냈다. 엄연히 수습 기간을 두고 입사한 것이었지만, 수습 기간 후에 누군가 회사를 떠나는 걸 본 건 그때가 처음이었다. 그리고 연이어 다른 한 명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회사를 그만뒀는데 그는 처음 나를 면접 봤던 이사였다. 회사가 날 죽을 때까지 먹여 살린다는 생각은 당연히 안 하지만, ‘정글 같은 사회’란 말을 여기 와서야 제대로 느끼고 있었다. 그렇게 싱가포르에서 사는 기간이 늘어나며 몇 년 간 잘만 일하던 사람이 해고당하거나, 소속 팀이 갑자기 없어지며 일을 그만두는 등 굳이 안 봐도 되는 일들을 보게 됐다. 한국에서도 일어나는 일이긴 하지만 그 빈도는 확실히 높았다.


"어차피 혼자 사는 세상!"

나의 자리가 보장되어 있지 않으면, 불안해서 오히려 일을 손에 잡히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희한하게도 나는 그 환경에 무섭도록 빨리 적응했다. 언제든 끝이 올 수 있다는 생각에, 그 끝이 왔을 때 아쉬움을 줄이려 열심히 일했다. 잘리지 않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능력을 키운다는 생각으로. 사실 한국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지 오래고 회사에 인생을 거는 사람들도 점점 줄어들지만, 싱가포르에서 회사와 나는 정말 별개다. '내 인생 내가 알아서'를 절절히 느끼며 마음이 단단해졌다. 어쩜 이건 내가 남의 나라 땅에 살고 있어서 더 그렇게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2.     가깝고도 먼 당신, 비자

싱가포르의 워킹비자인 WP, SP, EP를 다 가지고 있어 봤다. 쉽게 발급받은 적도 있고, 거절(Reject)당한 적도 있다. 당연히(?) 비자 신청이 거절당한 적도 있다.

 ‘여기 와서 할 거 다 해봤으니 비자 안 나오면 돌아가야지.’

이직하려던 때에 비자 신청이 거절되었다. 빨리 저 여자를 부려먹어야 하는데 비자가 안 나오니 HR이 들들 볶였다.(고 들었다.)


그때 내 비자가 다시 거절당했다면 나는 한 달 안에 다시 일을 구하거나 싱가포르를 떠나야 했다. 싱가포르에서 직장을 그만둔다면 가지고 있는 워킹비자의 종류에 따라 최소 일주일, 혹은 한 달의 시간 동안 싱가포르에 머물 수 있다. 당연히 그 이상 거주하면 불법체류자가 된다.

 대부분의 워킹비자는 2년간 유효하다. 아무리 회사에서 날 20년 동안 고용하고 싶어 한다 해도 노동청에서 외국인 근로자에게 발급하는 비자는 대부분 2년이 최장이다. 물론 별 문제없으면 회사에서는 알아서 2년 후 이 비자의 재발급 신청을 하긴 하지만, 이 과정에서 회사의 사정 때문에 비자의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외국인의 비중이 높고, 외국인과의 비즈니스로 경제가 돌아가는 싱가포르 치고는 비자에서 좀 까다롭게 구는 느낌이다. 학교에 다니거나 직장을 다니는 등 아무것도 안 할 거면 외국인은 이 땅에 있지 말라고 말하는 듯하다.


요즘 지구의 트렌드가 그렇듯 모든 나라가 외국인에게 배타적으로 변하고 있긴 하다. 작년 호주에서도 외국인 근로자에게 주던 457 비자가 폐지되고, 다른 비자로 대체되었다. 외국인을 다 죽일 셈이냐며 모든 외국인의 분노를 몰고 왔던 새로운 비자는 내가 갖고 있던 싱가포르의 보통 워킹비자와 별 차이 없는 것이었다. 그 모습을 보며 새삼 싱가포르가 예전부터 비자에서 얼마나 팍팍한지 느꼈다. 작년 10월 영주권을 신청했던 친구는 10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간신히 거절 통보를 받게 됐다.

 “우리(외국인)를 먼저 지치게 만들어서 싱가포르 땅에서 내보내려는 수작 아닐까?”

그 작은 카드 하나에 울고 웃는 삶을 살게 될 줄은 몰랐다.


3.     무관심 VS 사생활 존중

입사 첫날, 인사담당자는 사람들 한 명 한 명에게 나를 소개했다. 하지만 그날도 그다음 날도 일에 관련되지 않고서야 나에게 와서 먼저 말 거는 사람이 없었다.

“야호! 오지라퍼들이 없다!”

사생활 존중이라는 이름 아래 서로 이것저것 물어보지도 참견하지도 않는 이곳의 분위기를 알고 난 뒤  어찌나 신이 나던지! 내가 가장 싫어하던 건 새 학기 첫날 나에게 관심이 1도 없는 담임이 로봇처럼 뱉어내는 질문이었다. 관심의 농도는 달라졌지만 그런 질문은 대학교를 가도, 회사에 가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입사하던 날, 사람들은 내게 달려들어 이것저것 물어보며 호기심을 충족하고는 그 자리를 떴다. 그때를 생각하며 책상에 초조하게 앉아있던 싱가포르에서의 입사 첫날은 꽤 어색했다. 하지만 사생활을 존중해주는 문화가 감사한 것과는 별개로 슬슬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저기 앉아 있는 셀린과 과연 말이나 섞을 날이 올까?’

첫인사 이후 말 한 번 해 보지 못한 사람이 생기며 혼자 걱정하기도 했다. 먼저 살갑게 다가가는 성격도 아니었다. 오지랖을 부리고 신경 써 주는 사람들이 없다는 건 친해지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기도 했다. 그렇게 나는 6개월이 지나고 나서야 내 옆에 앉은 동료의 나이를 알게 됐다.(외국에서 나이는 특히나 가장 나중에 물어보는 것 중의 하나다.) 서로의 모교에 대한 이야기도 없다. 특히 외국인들이 많은 사무실이라면 어차피 말해도 모를 학교에 대해서는 서로 관심도 없다.하지만 결국 이곳도 사람이 사는 곳인지라 친해지고 나면 서로 편의를 봐주고 농담도 하고 지낸다. 그리고 역시 많은 뒷담화도 돌아다닌다. ^^


https://brunch.co.kr/@swimmingstar/337


이전 02화 내가 생각하는 싱가포르 취업의 장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