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짱구아빠 Aug 18. 2020

비 오는 날

함께쓰는 한 단어 『비』, 김심슨님의 글

 




비 오는 날

온종일 비가 내린 덕분에 방에 틀어박혀 권태로운 하루를 보냈다. 빈둥대는 와중에 최근 가입한 글쓰기 모임에서 ‘비’를 가지고 글을 써보자고 연락이 왔다. ‘비’를 가지고 어떤 글을 써야 할까. 영감 좀 얻어 볼까 싶어 의자에 앉아 창밖 풍경을 바라봤지만 영 허사였다. 난 역시 글 쓰는 재주는 없다 싶어 소재를 찾아 옛 노트를 뒤적거렸더니, 기가 막힌 시 한 수가 눈에 띄었다. 19세기 서헌순이 쓴 <우영(偶詠, 우연히 읊다)>이었다.      

 


山窓盡日抱書眠

 石鼎猶留煮茗烟 

 廉外忽聽微雨響  

 滿塘荷葉碧田田       

 온종일 산창에서 책을 안고 자다 깨니

 솥에는 아직도 차 끓인 김이 서려 있다.

 발 너머 문득 들리는 가랑비 소리,

 연못 가득한 연잎이 푸르디 푸르구나.     





 시를 보니 ‘근대 시’를 가르쳤던 국문과 교수가 생각났다. 부전공으로 신청한 국문과 첫 수업은 ‘근대 시’. <우영>은 ‘근대 시’를 담당했던 교수가 알려준 것이다. 교수는 S대에서 눈 밖에 나 우리 학교로 왔다던 소문을 증명하듯 아주 괴팍했다. 시를 알려준 날도 <우영>을 칠판에 휘갈겨 쓰며, 국문학도라면 시 한 수는 외워야 하는 거 아니냐고 성질을 부렸다.



 ‘근대 시’ 시간인데 조선 시대 한시를 쓰라네. 칠판을 보며 멍하니 있는데 당장 노트에 받아 적으라고 교수가 노성을 질러, 부랴부랴 시를 노트에 썼다. 교수는 시 하나 못 외우는 것들은 제발 어디 가서 국문과 학생이라고 말하지 말라고 잔소리 퍼붓고, 주위 애들은 잔소리가 익숙한지 열심히 필기하고, 나는 왜 이 수업을 신청했을까 후회했던 것이 세상에 벌써 10년 전 일이다. 



 그때는 받아 적느라 몰랐는데 비 오는 날 <우영>을 다시 읽으니 제법 운치가 있다. 어차피 비 때문에 밖에 나갈 수 없고 그 김에 게으름 좀 피우는데 누가 뭐라고 하겠어. 비 오는 날 방에 갇힌 19세기 서헌순과 지금의 내가 같은 권태를 느낀다.



 찾아보니 서헌순은 판서를 역임했다 하니, 나보다 바쁘면 바빴지 덜 바쁘진 않았을 것이다. 추적추적 내리는 비 오는 날 방에서 한가롭게 쉬는 게 얼마나 좋았을까. 너무 좋아서 시 한 수 적어놓고 짐짓 우연히 지은 척 <우연히 읊조리다>라고 제목 짓지 않았을지? 혼자 별 생각을 다 한다. 





 괴팍한 교수는 우리에게 <우영>을 알려주며, 시란 시공간을 초월해 공감할 수 있는 것이란 걸 말하고 싶었을지도 모르겠다. “니들이 국문학도면 서점 가서 시집 한 권 사 읽어야 하는 거 아니냐.”며 핏대 세우던 교수. 전공 교수보다 그가 뇌리에 더 남아 있다.



 그의 말대로 시집을 사서 읽었다면 옛 노트를 뒤적이는 일 없이 ‘비’에 대한 글을 술술 쓸 수 있었을까. 글 써보겠다고 노트 뒤적이다가 대학 시절 교수까지 생각이 뻗치는 게, 새삼 웃기고 어이없다. 빗소리 들으며 기분 좋게 늘어지니, 때로는 권태로운 날도 나쁘지 않다 싶다. 




Written By. 김심슨





독서모임, 우리들의 인문학 시간

https://blog.naver.com/ysgravity3659/221775696915



우리들의 인문학 시간, 글쓰기 모임

https://brunch.co.kr/@thebooks/169


매거진의 이전글 혐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