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eun Choi Mar 22. 2016

충격적인 고난을 이겨내기

Overcoming Traumas

“It’s like, after a spring gets pushed all the way down, it rises even higher.”
“이는 마치 스프링을 완전히 눌러버리고 손을 뗐을 때 훨씬 더 높이 튀어 오르는 것과 같다."


[한국어는 아래에]


Day 72: 21 March 2016, Melbourne 

I don’t like facing a sense of melancholy, sadness or disappointment. When such emotions strike me, I’d run away as deftly as possible and hide myself in a deep, dark closet where nothing can find me. I’d refuse to acknowledge that such emotions exist in this world, at least not for me.


After a fair amount of time spent alone in the closet — that invariably felt hollow and desolate — , I’d come out, while making sure to hide any signs that may disclose that I am a convict of such emotions. I would pretend as if nothing had happened, afraid that the depressing feelings would track me down and haunt me.


On the other hand, I had friends who could not only endure the devastating emotions that I refused to face, but also revel in them. They’d call it a ‘melancholic creativity’; they claimed that when in such state, they were more prolific and rendered better creative outcomes, be them artworks or writings. One friend even hesitated to enter a relationship because she dreaded becoming “too happy”, which would hinder her creative progress. And no, none of these friends were making a living out of their creativity. They were doing for the sake of it and they still gladly chose melancholy and sadness over happiness for creativity.


Luckily, over the years, I did start to understand what they had meant. I wrote down my clogged emotions that I’d been stacking up deep down in a closet. I pulled them out little by little, and untied one thread after another. By trying to understand this muddle of melancholy that has been rotting somewhere in the corner of my mind, I would realize that it’s actually not as bad as I imagined. Facing melancholy by writing about it was cathartic, and I suppose I did deliver some decent creative works.


However, as I still joke sometimes, I justify the past hardships and traumas by “deceiving” myself about the positivity of misfortunes: how I learned through harsh experiences, how it opened new doors, and how it was a blessing in disguise. Such a self-deprecating remark reflects my difficulty in reconciling with my sadness or melancholy completely.


Today, however, I read about a post-traumatic growth. Simply put, it indicates that while pain does linger after a traumatic event, one is still able to withstand and even thrive with purposeful compassion and sincere optimism. (I’m not comparing my past hardships with those who suffered the ‘real’ ones, like wars, physical violence and death. But I’d like to think that people have varying tolerance towards the same event, so no one should really be in the position to judge anyone else’s understanding or reaction. Everyone suffers in his/her own ways.)


As I wrote before about the reasons to not give up, this article also attributes the post-traumatic growth to love and support from people around. And while the best scenario would be not having to experience any traumatic incidents, if they can’t be undone, one can — or ‘must’, when the trauma is too painful to rely on the possibility of a ‘can’ — decide to live a more optimistic, empathetic, open, and fervent life, instead of dwelling on it. And those are a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lendid people” who can overcome and thrive after a traumatic event.


It sounded convincing. The writer’s parents were able to cope with their son’s being kidnapped and brutally murdered and raise the other kids without being overprotective with the fear of a tragedy repeating. So there must be such thing like a post-traumatic growth. While it made me feel better that I wasn’t actually “deceiving” myself (or at least was not the only one who’s deceiving oneself), my immediate reaction to any traumatizing emotions were rejection. Although I knew that I can, and have, overcome a painful wound that leaves a lasting scar, I needed more reasons to justify. Then, this part came up:

“Lindbergh said that suffering alone doesn’t make for wisdom,” he wrote. “One has to remain vulnerable, open to more suffering and to more love.”

So instead of lowering expectations for the fear of disappointment, and dodging a sense of joy for the angst of facing the subsequent bleakness, I imagined myself standing still, calmly waiting for the waves of melancholy to come swallow me completely. Then, to rise up miraculously from an emotional tsunami like a superhero does at the end of the movie, as an ever stronger version of oneself. 


Thanks for reading.

I’m Jieun Choi, a student, creative, photographer and writer currently based in Melbourne, Australia. Come see the photos I took on my Instagram.


72일: 2016년 3월 21일, 멜버른


나는 울적함, 슬픔, 실망감과 같은 기분을 마주하는 게 싫다. 이러한 감정들을 맞닥뜨렸을 때 나는 잽싸게 도망가 깊고 어두운 옷장 같은 곳에 숨어버린다. 아무도 나를 찾을 수 없는 그런 공간에 말이다. 그리고는 이러한 감정들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아니 적어도 내게는 그렇다고 스스로에게 말한다.


그리고 그 컴컴한 곳 — 항시 텅 비고 외로운 그곳 — 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충분히 보낸 후 나는 내가 그러한 감정에 쫓기고 있었다는 것을 꼭꼭 숨기고는 조심스레 밖으로 나온다. 그 감정들이 다시금 나를 쫓아와 겁을 줄까 봐 두려워 마치 내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것처럼 행동한다.


반면, 이런 통렬한 감정들을 버텨낼 수 있을뿐더러 이 감정을 느껴내며 심지어 즐길 수 있는 친구들도 있었다. 친구들은 이를 ‘울적함에서 오는 창조력’이라 칭했다. 이 상태에 있을 때 친구들은 질적으로 그리고 양적이로 많은 양의 창조적인 일을 해낸다고 했다. 이를테면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것 말이다. 한 친구는 심지어 좋아하는 사람과 사귀는 것을 망설였다. “너무 행복해지는 것”이 창조적 발전을 방해할까 봐 말이다. 덧붙이자면 이 친구들은 창조적인 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지 않았다. 그냥 그 자체를 위해서 하는 친구들이었으며 이를 위해 행복이 아닌 울적함이나 슬픔을 선뜻 선택했다.


다행히도 시간이 지나면서 나도 서서히 친구들이 의미한 것들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어두컴컴한 곳에 쌓아두었던 뒤엉킨 감정들을 조금씩 꺼내서 적어 내려가며 풀어내었다. 그리고 구석 어딘가에서 부패되어 가던 이 뒤죽박죽 한 울적함을 이해하려고 하면서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것만큼 안 좋은 감정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울적한 기분을 적어가며 마주하는 것은 카타르시스적 역할을 했고 그로 인한 결과는 나쁘지 않은 창조물이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농담식으로 때로 말하듯이, 나는 아직도 스스로에게 불행의 긍정적인 면을 되뇌며 “속여가며” 어려움이나 충격적인 일들을 정당화한다. 이를테면 힘든 경험을 교훈을 얻었다든지, 실패가 새로운 문을 열어주었다든지, 혹은 전화위복이었다든지 말이다. 이런 자기비하적 농담을 내뱉으며 사실은 슬픔이나 울적함과 온전하게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걸 느끼곤 한다.


그런데 오늘 트라우마 후의 성장이라는 것에 대해 읽었다. 간단히 말해, 충격적인 일이 일어난 후에 비록 그 아픔이 남아있더라도 그 당사자는 이를 견뎌내고 심지어 목적이 있는 동정심이나 진실된 긍정심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내가 겪은 어려움들을 다른 이들의 ‘진정한’ 고난과 같다고 말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동시에 사람마다 같은 일을 견뎌내는 정도는 다르며, 그 누구도 감히 타인의 반응이나 이해에 대해 판단을 내릴 위치에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모두 각자만의 방법으로 괴로워한다.)


전에 포기하지 않을 이유에 대해 적었듯이, 이 기사도 트라우마 후의 성장이 주변 사람들의 사랑과 지지를 통해 가능하다고 말한다. 비록 충격적일 만큼 험난한 고난을 겪지 않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겠지만 만약 이를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 과거의 일에 주저앉아 연연하기보다는 보다 긍정적으로 타인과 공감하며, 열린 마음을 가지고 열정적인 삶을 살기를 선택할 수 있다. (혹은 ‘살아야만 한다’, 단순히 ‘살기를 선택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만으로 이를 넘어서기 어려울 만큼 힘든 고난인 경우에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훌륭한 사람들”은 위의 특성들을 통해 고난을 이겨내고 번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럴싸하게 들렸다. 글을 쓴 작가의 부모님은 그들의 아들이 어려서 납치와 살인을 당한 것을 견뎌내고, 나아가 같은 참사가 일어날 것이 두려워하며 다른 자녀들을 과잉보호하지 않고 길러내었다. 그러니까 트라우마 후의 성장이라는 것이 있음이 보다 명확해졌다. 내가 단순히 스스로를 속이지 않았다는 것 (혹은 나만 그런 게 아니라는 것)에 안도하긴 했지만 아직도 가슴을 후벼 파는 감정들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은 거부감이었다. 비록 전에도 그래왔었 듯이 미래에도 흉터를 남기는 상처를 겪고 넘어겠지만 이를 정당화할 이유가 더 필요했다. 그리고 글을 읽어 내려갔다:

고난 자체가 지혜를 얻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고 Lindbergh 박사는 말했다. “그 사람은 계속해서 아파해야 하며, 더 많은 고난과 더 많은 사랑을 위해 열려있어야 한다.”

그러니까 실망할까 봐 두려워 기대치를 낮추거나 따라올 공허함이 두려워 기쁨을 피하는 대신에 나는 밀려오는 울적함의 파도를 마주하고 꼿꼿이 서서 이 파도가 나를 온전히 삼켜버릴 것을 상상했다. 그리고 마치 슈퍼히어로가 영화 끝자락에 기적과 같이 살아나듯이 이 감정의 쓰나미에서 그 어느 때보다 강한 나의 모습으로 일어나는 걸 말이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학생이자 창작자, 사진가 그리고 작가입니다. 현재 호주의 멜버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제가 찍은 사진들은 인스타그램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면의 사랑을 채우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