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정 Jun 27. 2024

내 안의 기쁨이는 어디 있을까

 나는 나를 사랑하는 것보다 남을 사랑하는 게 훨씬 쉽다. 나는 타인의 단점도 잘 보지만 타인의 장점도 잘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장점을 극대화해 그 사람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나의 그런 장점 확대하기를 당한 사람은 내 안에 들어와 나가지 않는다. 그러면 나는 끝도 없이 그 사람을 사랑하게 된다. 


 그런데 나에게만은 그게 안 된다. 나는 스스로의 단점을 확대해서 본다. 왜 그런지는 스스로도 알 수 없다. 언제인지 모를 옛날부터 그랬다. 그래서 나는 끊임없이 나를 괴롭힌다. 사실 남이 아닌 나랑 보내는 시간이 말도 안 되게 많은데 나는 싫은 나랑 있으니 사는 게 종종 버겁다. 물론 내가 장점이 없는 사람이 아니란 건 잘 알지만 그런 장점을 가리는 단점들 때문에 나는 나를 사랑할 수 없다. 언젠가 사랑하게 되겠지만 지금까지는 그렇다. 


 남들은 내가 하는 일들을, 내 생각들을, 나를 멋있다고 말해주는데 나는 나에게 그런 말 한 마디, 비슷한 말조차 해준 적이 없다. 내가 보기에 난 안 멋있으니까. 아무리 생각이 멋있어도 그게 나로 발현되진 않으니까. 그리고 나는 남들에게 말을 안 해서 그렇지 나쁜 생각도 많이 한다. 남을 욕하기도 하고 질투도 하고 분노도 하고 다 한다. 인간이면 그런 거겠지만 나는 내가 그런 사람이라는 건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착한 아이로만 남고 싶은 걸까. 그냥 내가 나에게 편한 사람이면 좋을텐데. 내 안의 어떤 나는 왜이렇게 나를 채찍질 하는 건지 모르겠다. 



 최근에 친구랑 인사이드아웃2를 봤다. 사춘기를 맞은 소녀에게 생긴 불안, 당황, 지루, 부러움이라는 감정들이 나의 주된 감정인 게 아닐까 생각했다. 기쁨이 나를 조종했으면 이럴 일이 없었을 텐데. 내 기쁨이는 왜 불안이한테 이기질 못해서 불안이가 나를 좌지우지하게 하는 걸까. 내 기쁨이는 어디서 뭘 하고 있을까. 유정이의 기쁨이는 나를 방치해두고 있는가 보다. 지금까지 날 내버려 둔 만큼 앞으로 더 열심히 일하려고 그런 걸까. 


 이런 바보같은 생각들을 하면서 나는 웃는 사람들 사이에서 눈물을 조금 흘렸다. 영화에 집중이 안 됐다. 늘 내게 모자란 내가 미우면서도 안타깝고 불쌍해서 눈물이 났다. 내 안에서 끝도 없이 일하고 있는 불안이도 안쓰러웠다. 걔조차도 쉬지 못하고 일하고 있는 게 미안했다. 돌아가면서 일하면 되는데 자기가 놓으면 불안해서 그러질 못하는 거겠지. 불안이가 조금 쉬면 좋겠다. 이름이랑 맞지 않는 일인 걸 알면서도 그랬으면 좋겠다. 나의 불안이도 성장할 필요가 있다. 일만 하느라 자기를 돌아보질 못했나 보다. 뭐가 그렇게 불안하길래. 

이전 08화 하루의 대부분을 혼자 보낸다는 것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