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작-처음 쓴 녀자 작품집』 속 <에세이> 박근애
주방에서 달그락거리는 소리가 났다. 잠이 깼다. 토요일 아침 7시였다. 남편 혼자 아침상을 차리느라 분주했다. 안방 문틈으로 맛있는 냄새가 스며들었다. 난 이불 속에서 최대한 늑장을 피웠다. 한참 후, 막내가 방문을 활짝 열었다. 아이는 “엄마! 생일 축하해!”라며 두 팔 벌려 뛰어와 날 꽉 안았다. 포근했다. 아이에게 이끌려 주방으로 갔다. 식탁엔 미역국, 밥, 샐러드, 불고기, 콩나물무침, 시금치 무침 등이 놓여 있었다. 가운데 장미꽃 박힌 초코케이크까지 있는 근사한 생일상이었다. 남편이 날 보고 웃으며 “생일 축하해!”라고 했다. 그러곤 얼른 차린 음식을 맛보라 했다. 미역국을 한술 떠먹어 봤다. 옆에 앉은 남편의 시선이 따가웠다. 오랫동안 익힌 자연스러운 동작을 해야 했다. 최대한 눈을 크게 뜨고, 엄지는 높이 치켜세우며 감격스러운 표정과 함께 격앙된 ‘솔’ 톤으로 말했다.
남편이 흡족한 표정으로 손가락 하트를 만들어 보였다. 남편은 자기 음식엔 사랑과 정성이 듬뿍 담겨 더욱 맛있는 거라며 자화자찬했다.
남편은 대학 졸업 후, 고향을 떠나 수원에 있는 전자 회사에 첫 취업을 했다. 그는 그곳에서 약 8년 정도 기숙사 생활을 하며 삼시 세끼를 구내식당에서 해결했다. 우리가 연애하기 1년 전쯤, 남편은 화성 진안동에 작은 빌라를 사 기숙사를 나왔다. 우리 부부는 신혼살림을 그 빌라에서 시작했다. 빌라는 남편이 24시간 회사에 갇혀 일만 하고 살아 마치 사람이 살지 않았던 집이나 마찬가지였다. 오죽했으면 살림살이가 이불과 옷가지가 전부였다. 냉장고, 가스레인지도 없었다. 난 임신으로 전업주부가 되었다. 스스로 끼니를 차려 먹는 게 막막했다. 그러다 마트 서점에서 『500원으로 밑반찬 만들기』와 『1,000원으로 국, 찌개 만들기』라는 책을 발견해 요리 스승님으로 삼았다. 매일 책에서 나온 몇 가지 음식을 흉내 내어 상을 차렸다. 남편은 고맙게도 맛있게 먹어줬다.
이듬해 봄, 결혼하고 처음 맞는 내 생일이 되었다. 생일날 스스로 미역국을 끓여 먹는 것은 왠지 서럽게 느껴졌다. 남편에게 선물은 필요 없으니, 미역국을 끓여 달라고 했다. 남편은 서른이 넘도록 라면 이외에 어떤 음식도 해본 적이 없다며 꽤 당황해했다.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요리책을 보여줬다. 그리고 남편이 음식 하는 동안 옆에 서서 하나하나 가르쳐 줬다. 남편이 처음 끓인 미역국은 썩 맛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신혼 초라 혀 짧은 목소리로 칭찬했다. 그 이후로 조금씩 남편의 음식 솜씨가 늘어갔다. 요즘은 유튜브에 나오는 새로운 음식들도 만들어 보기도 한다. 난 무슨 음식을 만들어 주던지 언제나 폭풍 칭찬하며 맛있게 먹었다. 이젠 남편은 반주부가 되었다. 작년 봄, 엄마 발목 수술 때문에 3일 집을 비운 적이 있었다. 그때 남편은 아이들과 배달 음식 한번 시켜 먹지 않고 음식을 손수 만들어 먹었다. 정말 든든했다.
저녁 시간이 훌쩍 지나 남편이 집에 들어왔다. 옷을 갈아입자마자 냉장고에서 재료를 꺼냈다. 저녁을 거른 것 같았다. 남편은 퇴근 시간이 늘 일정하지 않고 외식할 때도 많다. 그래서 몇 년 전부터 저녁을 못 먹은 날엔 알아서 직접 음식을 해 먹는다. 잠시 후 군침 도는 냄새가 코를 자극했다. 남편이 TV 앞에 작은 상을 펴 예쁜 접시에 담아 온 두부김치 볶음을 같이 먹자고 했다. 이미 저녁을 먹은 후라 살찐다면서도 소파에 있던 엉덩이는 벌써 바닥에 내려와 앉아 대기하고 있었다. 이젠 정말 남편 음식 솜씨에 놀라 감탄이 절로 난다. 적당히 삶은 두부에 참기름 가득 넣은 김치 볶음을 싸서 먹으니 입안 가득 고소함이 퍼졌다. 그가 있어 맛볼 수 있는 고소한 사랑의 맛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