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준정 Sep 14. 2022

반고개 무침회에 대한 단상

주가 약속 장소로 정한 곳은 대구에 있는 무침회 전문 식당이었다. 메뉴판에는 소 18,000원, 대 23,000원 그리고 주류만 달랑 적혀있었다. 주문한 무침회 소가 나왔다.   

  

“전라도민들이 경상도 식당에 가면 실망한다는데 이제 나도 그 심정 알겠다. 이건 전라도에서 밑반찬도 덜 나온 수준이야.”     


대구에서 30년을 꽉 채운 토박이 주제에 나는 이런 변절자 같은 대사를 읊었다. 심지어 이 동네 주민을 사귀어서 무침회를 맛나게도 먹고 다닌 시절이 있었다는 건 나도 알고 주도 알고 있었다. 주는 눈을 가늘게 뜨고 바라보더니 입을 열었다.     


“예전에 네가 했던 말 중에 지금도 잊히지 않는 게 있어.”

“그게 뭐든 쓰레기니까 잊어버려.”

“너는 전용 기사, 가정부, 비서 세 명을 고용할 정도가 되면 성공한 거라고 했는데 기억나냐?”     


기억난다. 이놈의 몹쓸 기억력은 똑똑히 기억하고 있었다. 쓸데없는 것은 자동 삭제되는 약이 있다면 지금 이 순간 주와 사이좋게 나눠먹고 싶었다. 자기 계발서를 읽으며 학원일을 미친 듯이 할 때였는데, 나 혼자 잘 먹고 잘살겠다는 게 무슨 자랑이라고 그렇게 떠벌렸는지 모르겠다.     


변절자가 찍은 사진, 다시 보니까 맛있어 보이는데?

우연히 들어간 카페의 옆 테이블에는 60대 초반 정도 보이는 여성 두 분이 앉아있었다. 곧이어 비슷한 연배의 여성 한 분이 들어왔는데, 컬이 들어간 짧은 단발에 청바지, 캔버스화로 멋을  한 눈에도 세련돼 보였다. 세 분은 만나자마자 “고춧가루부터 싣자”하면서 우르르 밖으로 나가더니 잠시 후 들어왔다.    

 

“돈은 통장으로 넣어줘.”

염색을 하지 않은 머리에 품이 넓은 난방을 입은 분이 말했다. 아마도 이 분이 고추농사를 지은 걸 친구들이 구입하는 상황 같았다. 멋쟁이인 분이 돈봉투를 내밀며 덧붙였다.


“나 그런 거 할 줄 몰라.”

“얼굴은 신식으로 생겨가지고 왜 할 줄 몰라?”
“돈은 시어야 맛이잖아.”

그러면서 멋쟁이 친구는 상자 두 개를 더 내놓았다.     

“너 조이는 거 싫어해서 골라봤어.”

“이게 뭐야? 열어봐도 돼?”
상자 안에는 찰랑거리는 원피스가 들어있었다.

“어머머, 얘, 너무 마음에 든다.”

옷을 몸에 대본 친구는 무척 마음에 드는지 카운터에 가서 “사장님, 저 옷 선물 받았어요”하고 카페 사장에게까지 자랑했다. 이때 나와 눈이 마주쳐서 나도 웃어 보였다.    

 

이상하게 친구를 만날 때 옷차림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다. 그건 몇 살이 되어도 마찬가지일 것 같다. 시간과 돈이 나보다 여유 있는 친구라면 만나기 전부터 뭘 입을지 고민된다. 아니나 다를까 세월이 친구에게만 비켜간 듯 화사한 모습으로 나타난 친구 앞에서 내 안에서는 질투란 놈과 격한 싸움이 벌어진다.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면서 과하게 치장하는 건 어쩌면 미안한 일이다. 친구 사정을 안다면 소박한 차림도 배려일 수 있다. 카페의 그분처럼 비싸지 않은 작은 선물을 준비하면 더 좋겠다. 소녀처럼 좋아하는 친구 모습에 더 큰 선물을 받은 기분이 될지 모르니까. 연륜에서 묻어나는 아름다움인가, 나는 그분들을 한참 바라봤다.

      



학원 그만두고 처음으로 돈에 쪼들려봤더니 돈을 알겠더라. 이전에 나는 아무것도 몰랐던 것 같아. 그런데 그거 알아? 그때가 더 불안하고 쫓기는 기분이었다는 거. 그걸 감추려고 너한테 너무 많은 말들을 했던 것 같다.


“아이들이 돌아가면서 사고를 치는 통에 매일이 버라이어티해. 어떤 사람은 사는 게 지겹다고 하는데 나는 모르겠어.”     


네가 이 말을 했을 때, 예전의 나라면 스스로 위안하는 말일 뿐이라고 생각했을지 몰라. 하지만 전북도민이 된 나는 매일 자라는 아이를 보면서 새로운 날들을 사는 기분이겠다고 고개를 끄덕였어.   

  

기사, 가정부, 비서가 있었다면 너를 보는 마음이 더 여유로웠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것 같아. 지금보다 몇 배의 수입이 있었을 때, 내가 과시하고 싶어 조바심치는 모습을 너는 기억할 테니까.

   

너를 만나면 과거의 한 시절로 돌아간 기분이야. 이제 것 내 말만 하느라 네 말을 제대로 들은 적이 없다는 걸 알았어.  초, 중, 고에 다니는 세 명의 자녀의 어머니, 내 친구, 이제야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가는 너를 만난 기분이다. 자식이 적어도 세 명 정도는 되어야 어머니라고 불릴만한 거 아니겠어? 겨우 하나인 내가 얼마나 가소로웠을까, 그지? 내가 한 쓰레기 같은 말은 버리고 좋은 것만 담으며 늙자. 그리고 무침회는 전라도에서 먹자.     

이날도 우리는 최선을 다했구나

참고로 그날 전북도민은 등산복을 입고 갔다고 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