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행하는 기획자 Mar 04. 2024

서비스 기획자는 데이터를 어디서 얻을까?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사이트들 모음 

데이터는 크게 회사 내부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와 외부에서 얻는 데이터로 나눠 생각해 볼 수 있다. 외부 데이터는 다시 공개된 데이터와 사용자 조사 데이터로 구분이 되는데 이 데이터들은 모두 서비스 기획의 리서치 단계에서 필요하다. 


공개된 데이터는 기업 분석 자료, 외부 미디어, 컨설팅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공신력 있는 외부 자료를 통해 내가 기획하려고 하는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설득 논리를 갖출 수 있다. 대표적으로 리서치를 할 수 있는 외부 자료는 아래와 같다. 



1. 오픈 서베이 (https://blog.opensurvey.co.kr/category/trendreport/

오픈서베이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문이나 인터뷰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회사이다. 이 회사에서는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리포트들이 정기적으로 나온다. 꽤 흥미로운 주제의 리포트들도 꽤 많고 정리가 잘 된 편이다. 리포트를 읽으면서 새로운 서비스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한다. 회원가입을 한 뒤 사이트에서 기획하고자 하는 주제를 검색하면 리포트를 읽어볼 수 있다. 



2. 맥킨지 (https://www.mckinsey.com/)

맥킨지는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회사 중 하나이다. 전 세계 기업들의 전략, 운영, 조직 측면에서 다양한 컨설팅을 진행한다. 기업들의 성장을 책임지고 관리하는 컨설팅 회사이다 보니 훌륭한 분석 자료들을 살펴볼 수 있다. 최근 '~~ 한 동향이다.'라는 것을 설명할 때 내 의견만 설명하면 그저 한 사람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맥킨지 리포트에 따르면'이라는 이야기와 함께 시작한다면 이건 개인의 의견이 아니라 세계적 컨설팅 회사가 검증한 트렌드가 되기에 자주 블로그를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3. 한경컨센서스(https://consensus.hankyung.com/)

투자자들을 위한 애널리스트 분석 자료들이 있는 곳이다. 곧 돈과 연결되는 정보이기에 상당시 상세히 기업이나 특정 테마를 분석하고 있다. 게다가 눈높이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쓰여있어 읽기도 쉬운 편이다. 분석 보고서에는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도표, 그래프가 잘 나와있어 이를 활용한다면 훨씬 빠르게 데스크 리서치를 진행해 나갈 수 있다. 사이트는 한경컨센서스만 남겨 놓았는데 주식 투자 업계 리포트들은 한경 외에도 다양하다. 


4. 대학교 졸업 사이트 

리서치에 대한 감이 전혀 잡히지 않을 때, 아이디어 고갈이 왔을 때 내가 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바로 대학교 졸업 사이트를 찾아보는 것이다. 가끔은 웬만한 현업자들보다 더 잘 만든 디자인, 기획서를 찾아볼 때도 있다. 천재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어떤 학생들은 뛰어난 작품을 보여줄 때도 있다. 그럴 때면 수년간 현업에서 근무한 나는 '아, 정말 나도 열심히 살아야겠구나.'라는 자기반성까지 든다. 현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사람일수록 대학교 졸업 사이트는 자주 들여다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종종 기획서 쓰는 일이 돈 꿔달라고 설득하는 일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누군가에게 투자를 받는 것을 직접적으로 이야기하면 돈을 꿔달라고 하는 맥락이지 않을까? 돈 꿔달라고 할 때 그 이유가 얼마나 설득적인가에 따라 돈을 꿀 수 있을지 아닐지가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이런 서비스를 만들 테니 돈을 투자해 달라고 할 때 단순히 한 사람의 생각으로 투자해 달라고 하면 결정이 쉽지 않다. 하지만 위의 여러 데이터를 활용해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받는다면 보다 설득 논리가 탄탄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헬스 데이터로 비즈니스를 어떻게 만들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