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호 Oct 22. 2019

적막하지만 아름다운

곽재구, '사평역에서'

시 속 인물들은 모두 침묵한다. 밤이 늦고 피곤해서 이기도 하겠지만 내면에 말들이 가득 차서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사는 것은 술에 취한 듯이 살아야 하고 선물을 사들고 귀향하듯이 침묵하며 살아야 한다.




        沙平驛에서     


                                              곽재구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하며 나는

      한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내면 깊숙이 할 말들은 가득해도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던져두고

      모두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산다는 것이 때론 술에 취한 듯

      한 두릅의 굴비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

      오래 앓은 기침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담배연기 속에서

      싸륵싸륵 눈은 쌓이고

      그래 지금은 모두들

      눈꽃 화음에 귀를 적신다

      자정 넘으면

      낯설음과 뼈아픔도 다 설원인데

      단풍잎 같은 몇 잎의 차창을 달고

      밤 열차는 또 어디로 흘러가는지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하며 나는

      한줌의 눈물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받들어 꽃』, 미래사     

                                             

 *이 시는 원래 곽재구 시인의 등단작이다. 그리고『사평역에서』(창작과 비평사,1983)라는 시집에 처음 

  실린다. 초기 시집을 찾지 못해 내가 읽은 시집의 출처를 밝힌다.



시를 읽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여러 가지 대답을 할 수 있겠지만 필자의 경우 ‘시를 읽으면서 정서적인 위로를 얻기 때문’이라고 답하겠다. 곽재구의 「사평역에서」는 사평역이라는 특정한 공간을 묘사하는 시인데 역 대합실이라는 특유의 공간과 시에서 풀어내는 그 안의 정경이 마음에 큰 울림을 준다. 시를 읽으면 자연스레 역 안의 풍경을 그려보게 되는데 시 안에서 묘사되는 풍경은 어떤 그림이나 영상보다 훨씬 사실적이면서도 아름답다.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라는 시의 첫 구절은 사평역이라는 공간과 더불어 시 안에서 특별한 효과를 거둔다. 역이란 무수한 만남과 떠남이 존재하는 곳이고 긴긴 기다림이 지속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한 역에 ‘막차가 좀처럼 오지 않’는다. 막차라고 하니 밤늦은 시간일 것이고 역 안은 적막 하다. 대낮의 활기찬 대합실의 풍경과 밤늦은 시간의 풍경은 다르다. 또한 그 안에서 막차를 기다리는 이들은 저마다 지쳐있을 것이다. 막차를 타는 이들의 삶은 고단하기 마련이다. 좀처럼 오지 않는 차를 기다리며 그들은 더욱 지쳐간다.  


계절은 겨울이다. 대합실 안에는 톱밥 난로가 지펴지고 창 밖에는 수수꽃 같은 눈이 내린다. 눈은 주변의 소리를 모두 삼킨다. 밤새 내렸을 송이눈은 대합실의 갖은소리들을 삼켜버렸고 대합실 안은 적막함을 더한다. 삶에 지친 이들은 따뜻한 난로 앞에서 졸기도 하고 기침을 하기도 한다. 난로 안에서 톱밥을 던져주는 ‘나’도, 대합실 안의 인물들도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적막한 가운데 들리는 쿨럭 거리는 기침소리는 아이러니하게도 적막을 더한다.


도입부에서 '이 시는 사평역의 정경을 사실적이고 아름답게 그려낸다'라고 하였다. 시인은 탁월한 표현을 통해 시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킨다. 가령 ‘흰 보라 수수꽃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에서 눈이 오는 정경을 수수꽃에 빗댄 점이 눈에 띈다.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에서 유리창마다 난로가 지펴지고 있다는 것은 유리창에 난로에서 나오는 빛이 비치고 있다는 의미이다. 바깥이 춥고 안이 따뜻하면 창문이 뿌옇게 된다. 그 창문에 비친 빛에 ‘나’는 눈이 시리다. ‘시리다’는 ‘빛이 강하여 바로보기 어렵다’는 의미와 ‘몸의 한 부분이 찬 기운으로 인해 추위를 느낄 정도로 차다’는 두 의미가 있다. 난로 빛이 비친 빛에 눈이 시릴 수도 있고 창문에서 오는 찬 기운에 눈이 시릴 수도 있다. 어느 것으로 해석하든 아름다운 정경이다.


그믐처럼 존다는 것은 해가 질 무렵 깜빡깜빡 조는 것처럼 존다는 의미일 것이다. 피로에 지친 이들의 모습이다. ‘나’는 그리운 순간들을 떠올리고 있는가 본데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한다’고 표현하여 참신함을 얻는다. 역사에 있는 이들은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던져두고’ 있는데 추워서 파랗게 질린 손을 난로 곁에 대고 불을 쬐고 있는 모습이다. ‘눈꽃 화음에 귀를 적신다’는 표현도 아름답다. 눈 내리는 풍경에 소리가 있을 리 없다. 오히려 눈이 내리면 더 조용해질 것인데 ‘눈꽃 화음에 귀를 적신다’는 표현으로 어느 때보다 적막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시 속 인물들은 모두 침묵한다. 밤이 늦고 피곤해서 이기도 하겠지만 내면에 말들이 가득 차서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사는 것은 술에 취한 듯이 살아야 하고 선물을 사들고 귀향하듯이 침묵하며 살아야 한다. 귀향할 때는 그리움과 설레는 마음도 들겠지만 착잡하고 복잡한 마음도 들 것이다. 객지에서 고생을 하여 고단하지만 고향에서는 그런 티를 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침묵만이 감도는 가운데 사평역의 밤은 깊어만 간다. 싸륵싸륵 쌓이는 눈을 적막함을 더한다. 시간은 벌써 자정이 다 되어 간다. 눈은 세상의 모든 것을 하얗게 덮어버리는 속성이 있다. 역사에 모인 이들이 서로 낯설어하던 감정도 시간이 지나며 익숙함으로 변한다. 시간은 뼈아픔마저 조금은 무뎌지게 만드나 보다. 시간이 지나며 익숙해지고 누그러지는 감정들을 눈이 쌓이는 것에 빗대어 표현한다. 마지막 행에서 ‘나’는 난로에 톱밥이 아닌 눈물을 던진다. 시에서 가장 짙은 감정은 그리움이다. 눈물이 나는 것은 그리운 것이 현재 없어서이기도 하고 대합실에 모인 이들로 대변되는 인간들의 삶이 안쓰러워서이기도 할 것이다. 탁월한 장면 묘사와 더불어 시에서 전해지는 삶의 고단함이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찬란한 가을 날씨에 왜 '사평역에서'가 떠올랐는지 모르겠다. 유난히 쌀쌀하게 느껴지는 요즘 공기 탓일까.

이유야 어찌 되었든 이 시는 언제든 나를 '눈 내리는 사평역 언저리'로 데려다준다. 시가 쓰인 배경을 보면 무턱대고 감상적으로만 읽을 시는 아니지만, 읽을 때마다 이 시의 짙은 서정성에 매료된다. 


계절에 맞게 시를 꺼내놓고 싶은데 겨울에 내놓을 시를 가을에게 하나 뺏겼다. 날씨가 유난히 서늘하다 보니 철없는 짓(?)을 하게 된다.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님들도 모두 감기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지막 초록을 추억하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