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승주 Sep 07. 2023

국이 식지 않을 거리에 삽니다

80대 엄마와 50대 딸의 역할 바꾸기

국이 식지 않을 거리. ‘딸아이가 바로 국이 식지 않을 거리에 이사 와 살거든요’. 박완서 작가의 90년대 인터뷰에 나오는 말이다.¹⁾ 나도 엄마에게 곧잘 들었던 말이기도 하다. 엄마는 이 인터뷰를 읽은 적이 없는 것 같으니 아마도 그 시대 어른들이 생각하는 자식과의 가장 이상적인 물리적 거리를 말하는 것 같다. 표현이 직관적일 뿐 아니라 아름답다고 느꼈다.     


엄마가 자리보전하고 누워 계시는 몇 개월 동안 아빠가 식사를 준비하셔야 했다. 아빠에겐 익숙지 않은 살림을 하려니 밥상은 부실해지고 엄마는 점점 더 식사를 못 하시는 상황이었다. 동생과 달리 나는 엄마의 음식 솜씨를 닮지 못했다. 그래서 동네 반찬가게의 도움을 받아 시골로 택배를 보내드렸다. 아픈 엄마 얘기를 할 때 같이 눈시울을 붉히기도 하셨던 사장님은 비슷한 경험이 있다면서 많이 공감해 주시고 격려도 해주셨다. 내가 산 반찬 외에도 노인들이 좋아하실 만한 부드러운 반찬들을 몇 가지 더 얹어주시면서.     


엄마가 5분 거리로 이사 오시니 내 일상도 돌봄으로 분주해졌다. 매일 들러서 집 정리는 물론 두 분을 모시고 여러 병원 방문하고 관공서 다녀오는 것이 생활이 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삼시 세끼. 부모님이 원치 않아서 더 이상 반찬가게에 의지할 수도 없으니 내 손으로 두 분이 드실만한 것을 만들어야 했다.  


달걀찜은 내가 국민학생 시절 엄마가 집을 비웠을 때 처음으로 해본 반찬이었다. 큰 이모가 전화로 가르쳐 준 대로 해봤지만 평소 먹던 것과는 모양이 달랐다. 커서 생각해 보니 달걀의 양만큼 물을 추가로 넣어야 하는 걸 몰라서 부풀지 않았던 것이다. 그때 당시엔 우리집 공장에서 일하던 오빠들도 있었는데 여러 사람이 먹기엔 간장 종지만 한 달걀찜 때문에 당황스럽고 볼품없던 아침 밥상이 생각난다. 이제 명란 달걀찜 정도는 눈 감고도 할 수 있는 살림 25년차. 입이 써서 도통 밥 넘기기를 힘들어하는 엄마의 아침 밥상을 위해 새벽부터 분주하게 달걀 3개를 풀고, 동량의 물을 넣어 전자레인지에 돌린다. 부드러운 달걀찜을 한 술 드시면서 지금의 아픈 시기도 부드럽게 잘 넘겨주시길 바라본다.     


이사하는 도중에 고장 나버린 냉장고는 마치 현재의 엄마 같아 슬펐다. 새 냉장고가 오기 전에 빨리 내용물을 비워야 했다. 엄마가 아프기 전에 갈무리해 둔 얼린 홍합 물이 보였다. 나를 낳고 내게 젖을 주기 위해 먹었을 젊은 시절 엄마의 미역국이 떠올랐다. 아이처럼 계속 잠만 자고 싶어 하는 엄마가 하루빨리 회복하기를 소망하며 오랜 시간 끓였다. 국이 식기 전에 엄마에게 가져다드릴 수 있어서 너무 다행이었다.     


¹⁾ <박완서의 말> 21쪽 「다시 살아 있는 날」 인터뷰어 고정희 시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