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ny Nov 02. 2019

워라밸은 잘못된 표현이다

사업일기 #13 - 일과 삶의 관계에 대하여

“당신에게 일과 삶의 균형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말부터가 잘못됐다. 저 둘을 따로 떼어놓는다는 것부터가 어불성설이다. 일은 삶의 일부이다. 돈을 버는 수단이자 동시에 자아를 실현하는 목적이 되어야 한다.

인생에서 3분의 1을 차지하는 게 일이다. 그걸 삶에서 분리한다는 게 말이나 될까. 여기서 말하는 삶이라는 단어 속에 담긴 의미를 몰라서 그러는 게 아니다. 그럼에도 인생에서 일을 떼어놓고 생각한다는 점에서부터 일을 부정적인 프레임으로 바라보는게 여실히 드러난다. 왜 이렇게 됐을까? 사실, 일은 어렵고 힘들다. 심지어 재미도 없다. 게다가 거지같은 기업문화까지 겹치면 답도 없다. 돈 주니까 하는 거지, 돈마저 안되면 때려칠 사람들이 넘쳐날 테다.

그런데 순서가 바뀌었다. 돈 주니까 한다는 관념에는, 그에 매달려야 한다는 수동적인 전제가 깔려있다. 돈을 벌지 못하면 생활을 영위할 수 없으니까. 그런데 왜 통장에 돈이 따박따박 들어오는지 생각해본 적 있나? 우리는 가진 시간, 노동력과 돈을 교환한다. 고용주가 혼자서 해낼 수 없는 걸 대체하는 대가로 월급을 받는다. 여기서 답이 나온다. 원래 그 일을 하고 싶어하는 건, 정확히는 해야하는 건 고용주다. 그래야 돈을 버니까. 자기가 해야 하는 일인데, 혼자만의 맨파워가 아닌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고용을 하는 거다. 그 능력을 가진, 혹은 그 일에 시간을 쏟을 수 있는 사람을.

고용은 주종 관계가 아닌 계약 관계이다. 사장님을 주인님으로 모실 이유가 전혀 없다. 그 사람이 혼자 모든 걸 할 수 없어서 내가 필요한 거다. 주체가 나한테 있다는 생각을 하면, 일에 대한 관점이 바뀔 수 밖에 없다. 일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을 넘어 내가 나로 살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그래서 자기계발이 중요하다. 일에 주체성을 부여하는 과정이니까. 막연하다 느꼈던 일에 체계가 잡히고 능력이 생긴다. 그를 토대로 연봉협상을 하거나 혹은 내가 사장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그게 없으면 평생을 끌려다닌다. 고용주를 상전마냥 받들면서.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일은 수단이자 목적이다. 그 자체가 1순위가 될 필요는 없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는 것만큼 소중한 것도 없으니. 근데 일에서 어떤 의미도 찾지 못하는 것만큼 불행한 경우는 없다.


이전 10화 코인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