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갈PM Jul 18. 2023

GPT 특화 메모법 1

양을 질로 만드는 프레임워크


1. 배경: GPT에 친절한 메모법은 없을까?


구체적으로 생각을 어떻게 메모하면 좋을지에 대해

방법들이 있습니다.

민토 피라미드,마인드 맵 등이 있죠.

각자의 장단점이 있을 겁니다.

제갈PM의 메모법의 장점 중 하나는

GPT의 답변 성능을 올려준다는 겁니다.

간단히 말하면, GPT가 내용 정리를 잘 못하니

사람이 직접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질문을 던져주는 것이죠.


예를 들어 "여자친구 사귀는 법 알려줘"

보다는 "~~ 이런 메모의 핵심원리를 활용해 여자친구 사귀는 법을 알려줘"가 더 적합합니다.


아래는 A.I에 사용된 메모(글) 링크입니다.

누구나 비즈니스로 승리하는 비결 (brunch.co.kr)


GPT를 활용한 슬리드의 A.I봇에게 물어봤습니다.

추상적으로 물으면 답도 10가지로 쪼개어서

복잡하게 답합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특정 메모의
핵심원리를 적용해 답해달라고 하면

2가지로 정리해줍니다. 그리고 더 매끄러운 답을 줍니다.


물론 현재 GPT는 어리숙합니다.

아이디어를 내기 위한 작은 단서를 던져주지,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깊이 있고, 정확한 말을 못 합니다.

그러나 GPT는 발전할 겁니다.


메모앱에 자신만의 지식을 잘 저장한 만큼

점점 GPT가 뽑아주는 말의 수준이 올라갈 겁니다.

이미 노션, 옵시디언, 슬리드 등 많은 앱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합니다.

그럼 GPT에 맞는 지식관리법, 메모법이라는 건 무엇일까요?


어느정도는 규격화된 메모라고 생각합니다.

즉 잘 정리된 데이터를 주는 만큼 인공지능의 결과물이 좋아질 겁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2. 핵심원리:  양을 질로 만드는 5단계 프레임워크


앞에서 GPT를 강조했습니다.

물론 제가 소개하는 메모법이 GPT에도 효과적입니다.

몇 개의 실험결과물이 있습니다.

이건 다음 글에서 소개해 봅니다.


이에 앞서 본질적으로 저의 메모법은

생각을 정리하는 프레임워크(프로세스)입니다.


고등학교 때부터 연구했습니다.

"무언가를 경험했을 때 어떻게 정리해야 더 창의적인 생각을 할까?"

실제로 심리학에서 '동형구조효과'라는 말이 있습니다.

핵심 구조가 같은 문제라도, 표면적으로 어떻게 정리하느냐에 따라

해결 효율이 크게 다릅니다.

08화 `문제 해결`의 2가지 모형 (brunch.co.kr)


수학의 정석을 공부하든, 사회 과목을 공부하든

언어 지문을 정리하든 정리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각 과목들을 한 가지 프레임으로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왜냐하면 새로운 도메인의 지식을 배울 때마다

기본적인 지식구조가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구조가 복잡하면 분야 간 다양하고,

많은 양의 지식을 연결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단순화를 연구했고,

15년 만에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 공개합니다.



3. 구조: 생각을 정리하는 5단계 프레임워크


(1) 생각정리 프레임워크


Won's PKM 이미지화

크게 5단계가 있습니다. 간단히 개념을 소개한 후에,

적용 사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첫째, 배경입니다.

왜 이런 생각을 했는지 목적 및 맥락에 대해 씁니다.

또한 설명을 위한 전문용어를 적을 수 있습니다.


둘째, 구조입니다.

근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근본을 파악하기 힘들면,

대강 눈에 보이는 머리, 몸, 다리 이런 식으로 구분을 해도 좋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구조란,

"사건, 사물, 생각 의 근본적인 밑바탕입니다."

예를 들어 집을 지을 때 기반, 기둥, 지붕 같은 겁니다.


셋째, 성질입니다.

성질은 구조에서 파생된 겁니다.

구조가 하드웨어에 가깝다면

성질은 소프트웨어 가깝습니다.


넷째, 핵심원리입니다.

위 3가지를 관통하는 한 문장, 한 단어입니다.

사람의 주관이나 역량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다섯째, 연결입니다.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다른 지식과

어떻게 연결될지 키워드, 문장, 글을 적습니다.


(2) 사례



모두가 아는 동화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나그네의 옷을 벗기는 태양과 구름의 대결이야기를

메모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지식관리러 태극님이 추천해 주었습니다.)


배경: 태양과 구름이 누가 더 힘이 센지 대결하고자 합니다.


구조 1: 나그네의 옷을 먼저 벗기는 사람이 이기는 게 게임 룰입니다.

구조 2: 태양은 따듯한 열을 부릴 줄 압니다.

구조 3: 구름은 강한 바람을 부릴 줄 압니다.


성질 1: 구름이 강한 바람으로 나그네의 외투를 벗기려 합니다.

그러나 나그네는 추워서 외투를 단단히 입습니다.

성질 2: 태양은 따듯한 열로 나그네를 덥게 만듭니다.

나그네는 외투를 벗습니다.


핵심원리: 부드러움은 근본적인 동기부여를 합니다.


연결: 리더십, 심리학, 전략


이런 방식으로 공부는 경험이든 모든 것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성질: 명확한 프레임워크가 GPT 및 글쓰기에 효과적입니다.


(1) 다른 도메인 지식과의 비교.


위 프레임워크대로 생각을 정리하면

논리적으로 핵심적인 원리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 과정을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다른 도메인 지식과 비교할 때 좋습니다.


세상엔 셀수없는 지식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지식들이 모여 지식쳬게를 구성합니다.

당연히 그 체계는 다 다릅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규칙을 통해 

여러 지식체계를 5단계로 정리해 놓으면

비교하기 쉽습니다. 
어떤 이질적인 경험이나 지식체계와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비교를 한다는 것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만들수 있다는 겁니다.

이는 새로운 아이디을 더 쉽게 도출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글에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2) GPT특화 메모법


이렇게 구조화된 메모법은 단점도 있습니다.

구조화 그 자체가 새로움을 막는다는 겁니다.

하지만 역사에 있어 모든 성과는 기본적인 양에서 비롯합니다.


기본적인 양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결코 질로 발전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그 양을 만들기 위해선 규격화 요소가 들어갑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군대를 통솔하기 위한 계급체게,

컴퓨터의 이진법 등이 있습니다.


이런 규격화 요소는 메모에 적용되고,

GPT가 더 쉽게 메모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냥 메모를 정리해 달라고 하면

GPT는 결코 사람 수준의 명확한 정리를 못합니다.


그러나 사람이 한번 메모를 정리해 주면

그 메모의 핵심원리를 GPT가 명확하게 인식하고,

다른 메모의 핵심원리와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Won's PKM은 그 자체로 글쓰기입니다.


(3) 글쓰기 방법


모든 글쓰기 역시 크게 보면 5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뉴스 기사를 들어볼 수 있습니다.


배경, 핵심주장(원리), 사건 팩트(구조), 해석(성질),

그리고 집필자의 우려(연결) 등입니다.

당장 포털 뉴스기사 보시면 이런 방식으로 서술됩니다.

수능 언어영역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이 메모법 대로만 해도 논리적인  

글의 형태가 탄탄히 갖춰지는 겁니다.

메모 그 자체가 훌륭한 글이고, 콘텐츠입니다.


물론 5단계에 맞춰 메모하는 게 시간을 잡아먹습니다.

그러나 나에게 정말 중요한 경험과 지식이라면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5. 연결: 직접 이 메모법을 적용한 GPT결과물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미 글이 너무 깁니다.

다음 글에서 확인해 주세요.

GPT 특화 메모법 2 (brunch.co.kr)


1. 배경: GPT에 친절한 메모법은 없을까?

2. 핵심원리:  양을 질로 만드는 프레임워크

3. 구조: 생각을 정리하는 5단계 프레임워크

4. 성질: 아이디어 도출, GPT활용, 글쓰기에 효과적

5. 연결: 직접 이 메모법을 적용한 GPT결과물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양을 질로 만드는 프레임워크,
WON's PKM

양을 질로 만드는 5단계 프레임워크

양을 질로 만드는 5단계 프레임워크양을 질로 만드는 5단계 프레임워크


작가의 이전글 나답게 사는 게 쉽지 않네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