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About HR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플코치 May 09. 2024

[About HR] 4.한 눈에 보는 성과관리 프로세스


성과 관리의 프로세스와 구성은 회사 마다 상이하겠지만 가능한 매년 동일한 일정으로 세팅하여 진행 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기 년도 시작을 1월로 가정 했을 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flow로 진행 됩니다.




전체적인 Flow


              1월~2월: 당해 년도 Goal Setting / 작년 성과 평가에 대한 Rating 확정            

              3월~4월: 평가 Rating에 따른 연봉 조정 및 인센티브 지급            

              6월: 연초 세운 목표에 대한 중간 평가            

              12월: 연말 평가            



1) 1월~2월: 당해 년도 Goal Setting / 작년 성과 평가에 대한 Rating 확정


작년도의 성과에 대한 평가 Rating을 확정하면서, 동시에 한 해에 대한 목표를 세우는 시점이기 때문에 HR과 현업의 팀장분들이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보통의 Goal Setting은 회사 전체의 목표가 각 팀으로 내려오고, 그리고 팀원에게 까지 내려오는 Top Down 방식으로 진행 됩니다. 작년 성과에 대한 Rating은 나온 상태인데 HR에서는 취합 된 결과를 통해 회사별, 팀별, 개인별 결과를 모두 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커뮤니케이션을 현업 팀과 하게 됩니다.




2) 3월~4월: 평가 Rating에 따른 연봉 조정 및 인센티브 지급


HR은 결정 된 성과 Rating을 갖고, 주어진 Budget안에서 해당 년도 연봉 인상/인센티브 지급율을 결정 합니다. 보통은 회사 전체에 주어진 예산에 따라 팀별로 Allocation 되는데, 해당 사업부와 팀별 실적이나 기대 수준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천편일률 적으로 진행 되지는 않습니다.



3) 6월: 연초 세운 목표에 대한 중간 평가


연초에 세운 목표가 1년의 긴 호흡으로 진행 되는 목표이기 때문에 중간 되는 시점에서 중간 review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또한 이때 세운 목표가 시장 상화의 변화나 현재 business의 현실에 따라 변경이 필요한 경우 목표의 주제보다는 세부적인 것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4) 12월: 연말 평가


평가의 프로세스는 직원의 매니저 (팀장 레벨)가 진행 합니다. 보통 업무 역량 (Competency), 행동 역량 (Behavior)로 나눠 진행 하고, 연말 평가에서 본인 평가 (Self-Assessment)가 도입 된 기업도 많이 있습니다. 이는 평가 결과에 반영 하기보다는 직원 스스로 1년간의 회고의 과정을 거치고, 자기 객관화를 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About HR] 1. 채용의 KPI

[About HR] 2. 온보딩의 4가지 핵심 전략





매거진의 이전글 [About HR] 3.직원 교육 철학 70/20/1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