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글 & 1940년대 모던재즈
우연히 입수한 인터넷 자료로 즉석에서 즉흥 창작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때로는 제한된 몇몇 사진을 활용하여 매번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사진은 제 것이 아닙니다. 저작권자께서 이의 제기하시면 바로 내리겠습니다.
발표용은 아니고, 예시용입니다. (→소개글 더보기)
1940-50년대 모던재즈계는 대단한 혁신으로 가득했지만,
이면을 보면 사생활은 마약으로 엉망진창이기도 하였습니다.
그들 중에서 찰리 파커, 빌리 홀리데이, 쳇 베이커, 마일스 데이비스, 존 콜트레인 등등 마약을 안 해본 아티스트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여기서 마일즈 데이비스나 존 콜트레인처럼
고통스러운 단약 노력 뒤에 컴백하는 경우도 있었죠. 마일즈 데이비스가 얼마나 독하냐 하면 두 번(체크 요망)의 단약을 성공하고 돌아왔고, 또 그 뒤로 발표한 작품도 모두 명작들이었죠.
재즈 분야를 공부하다 보면, 이 시대에 어째서 유독 재즈맨들이 마약에 그토록 빈번하게 노출되었는지 사회문화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언급을 볼 수도 있습니다. 1960년대 록의 경우엔, 당시 히피문화와 연결된 분명한 이유가 있지만, 1940~50년대 흑인재즈맨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퍼진 마약 투약 유행은 치안의 불안정 등으로 마약상에 쉽게 노출된 부분은 없는지 여하튼 이러한 연구가 있다면 좀 궁금하기는 합니다.
당시 부모님들로서는 재즈계에 발들이는 자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아이고, 하나님, 이를 어쩌면 좋아!"
디지 길레스피처럼 모범적으로 음악 생활한 경우는 후배들에게 귀감이 되지만, 모범적이었던 클리포드 브라운은 교통사고로 요절하는 바람에 그 모범적인 이미지로 오래 가지 못했죠.
어쨌든 재즈 하면 마약을 떠올리던 시대에, 수많은 동료들을 보내고는 비탄에 빠졌던 관계자들이 많았을 겁니다. 찰리 파커와 빌리 홀리데이의 비참한 죽음. 쳇 베이커의 의문사. 재즈맨의 말로는
세속적으로 볼 때 영광스럽지 못할 때가 많았습니다. 그들은 마약을 하고
헤롱대면서 음이 제멋대로 자신의 엉덩이를 차도록 놓아두었죠. 그렇게 자신의 꿈을
더 멋진 연주로 보여주려 했지만, 마약을 하고 더 멋진 연주가 나온다는 건 거짓말이었죠.
그냥 혼동의 짜파구리였고 물이 새고, 청중은 피눈물을 흘리며 이 연주자가 망가지는 걸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그는 마약을 하고 꿈 같은 별이 뜬 하늘을 바라보지 못하고
닥치는 대로 돈을 주우려고
닥치는 대로 연주를 하곤 했습니다. 관계자들이 보면
한숨이 나올 지경이었죠. 그렇게 돈을 많이 벌면 부자가 되어야 할 텐데, 약에 취한
그의 신발은 닳을 대로
닳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