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용기 Jan 26. 2024

겨울 아침-8

호장근 Reynoutria japonica


아직 마른 가을잎이 남아있는

마른 풀 위에 눈이 소복이 내려앉았습니다. 

마치 솜이불을 덮고 있는 것처럼

포근하게 느껴집니다. 


추운 겨울 아침

포근한 이불속을 포기하고

이불밖으로 나와 눈 쌓인 집밖으로 나가는 일이

점점 어려운 일이 되어 갑니다. 

마치 '이불 밖은 위험해'라는 유행어처럼.


이런 생각을 하다 갑자기

'이불'이라는 말이 궁금해졌습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한글로 쓰인 15세기 문헌인 <석보상절>에 

이불은 한자 없이 '니블'로 나온다고 합니다.

즉 이불은 순우리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을 찾아보니

이불의 어원에 관한 재미있는 설도 있습니다.

'아리랑 역사와 한국어의 기원'이라는 책에는

한국어의 뿌리가 아프리카 르완다어이고

이불은 한국어의 기층어인 고대 이집트어에서 왔다고 합니다. 

즉 '이불'의 고어 '니블'은 

고대 이집트어 'ni (not) + br (outside, exit)'에서 유래하여, 

'밖으로 나갈 수 없는 것' 

즉, '외부와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그럴 듯 하긴 한데 정설로 인정된 학설은 아닌 듯합니다. 


학술적으로 연구되어 발표된 바에 의하면

한국어 몽골어 일본어 등의 ‘뿌리 언어’로 여겨지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기원은 

약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遼河·랴오허) 일대 

농업 지역이었다고 합니다.

(2021년 '네이처(Nature)'에 발표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이 참여한 독일의 연구논문

'Tracking the origin of Transeurasian languages'

- Nature 10 November 2021)


과학적 의미로 보면 

이불은 수면 중 사람들의 체온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물건이라고 합니다. 

수면 중에는 체온 관리를 하는 뇌의 기능이 저하되어

외부의 온도가 낮은 겨울의 경우 

이불이 없이 자면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떨어져 병에 걸리기 쉽고

심할 경우 동사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불이 자체적으로 열을 내지는 않지만

우리 몸에서 나오는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줘

체온을 유지하게 해 줍니다.


즉 이불속이 따뜻한 이유는

우리 몸이 따뜻하기 때문입니다. 

눈도 차갑긴 하지만

솜이불처럼 공기층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극심한 추위로부터

보리싹이나 나뭇잎을

이불처럼 감싸고 보호해 줄 수 있습니다. 

하늘이 자연에 주는 천연의 이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겨울의 눈은 축복이고 은혜입니다.



눈오는 날/ 나선주


외투에 목도리 두르고

사립문 열면

측백나무 울타리

박넌출 휘어진

가지 위에

흰눈 쌓인다


저기빈들판

뽀쪽뽀쪽 벼 포기

가을 이야기

도란도란 나누다 만

나뭇잎 모로 누워

새 이불 덮는다


광활한공간

켜켜이 눈 덮이면

따뜻한 사랑 남기고 간

몹쓸 사람


모닥불 불티 하나

허공에 날리면

꽃향기처럼 그리운

허망한 가슴에

흰눈 쌓여간다




Pentax K-1    
Pentax smc PENTAX-D FA 100mm f/2.8 WR Macro    
100mm, ƒ/3.5, 1/60s, ISO 200


#겨울_아침 #눈 #작은_겨울나무 #이불 #눈은_축복과_은혜 #2024년

매거진의 이전글 겨울 아침-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