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단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영수 Jan 03. 2023

새해의 질문

2023년 첫날, 출근을 해보니 모든 것이 그대로였다. 새해가 온 게 맞나 싶을 정도로 사무실도, 함께 일하는 사람들도, 분위기도, 심지어 옷차림조차도 지난겨울에 입었던 옷 그대로였다. 이거 달력만 바뀐 거 아니야? 2023년을 슬쩍 2022년으로 써도 모를 것 같다. 1살 더 먹는 것보다는 2022년이 낫겠다 싶기도 하고. 3을 2로 슬쩍 바꾸기만 하면 될 것 같은데, 그냥 다시 2022년으로 돌아갈까?


이런 쓸데없는 생각을 하다가 정신을 차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맞다. 내가 바뀌지 않았으니 모든 게 그대로인 거다. 왜 변화가 없겠는가? 어제의 공기가 오늘의 공기일 수 없고, 어제 봤던 사람들이 오늘 그 사람들이라고 할 수 없다. 미세하지만 조금씩 변해가는 것이 사람이고 사물이 아니던가. 나만 바뀌면 되는 거였다. 새해가 시작되었으니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해야지, 하고 마음을 다잡아 본다.


몇 가지 새해 다짐을 했다. 일기에다 올 한 해 꼭 해야 할 일들을 적었다. 지난해 하고 싶었지만 이루지 못한 '나 자신과의 약속, 나의 변화'였다. 적고 보니 이걸 아직도 결심이라고 쓰고 있네, 나도 참 안 변하네, 하는 씁쓸한 마음도 든다.


작년 초에 결심했던 목록과 비교해 보니 엇비슷했다. 이 부분이 여전히 안 되고 있구나 하는 마음으로 그래 올해에는 꼭 이루어보리라 마음먹는다. 오은 시인의 <1년>이라는 시처럼 ‘다시 1월, 1년만큼 더 늙은 내가 또 한 번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달력이 바뀐다고 새해가 거저 오는 건 아니었다. 내가 새로워져야 비로소 '새해'라고 할 수 있다. 올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그건 내일에 맡기고 나는 '지금 이 순간, 오늘'에 충실해야 한다. 라틴어의 이 경구처럼.


"Carpe diem, quam minimum credula postero"

"오늘을 붙잡아라. 내일이라는 말은 최소한만 믿고."


그리고 메리 올리버의 시 <정원사>를 읽으며 스스로에 대한 질문으로 삼았다. 올 한 해, 이 질문들을 놓치지 말아야겠다. 김탁환 작가의 <섬진강 일기>에도 나오듯, '답이 아니라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귀하고, 그 질문을 오래 곱씹으며 자신의 삶을 바꾸는 이는 더 귀하니까.'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올해도 그 질문처럼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다. 질문은 언제나 과거형이지만, 그 질문에 대한 답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나는 충분히 살았을까?

나는 충분히 사랑했을까?


올바른 행동에 대해 충분히 고심한 후에

결론에 이르렀을까?


나는 충분히 감사하며 행복을 누렸을까?


나는 우아하게 고독을 견뎠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오늘을 붙잡아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