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세입자도 전월세 신고해야 하는 의무 있어요!

보증금 6천만원 초과, 월세 30만원 초과 전월세라면 30일 내에 신고!

안녕하세요. 자리톡 매거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증금과 월세가 기준금액을 초과하는 전‧월세 계약을 체결했다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주민센터 등을 방문해 주택 임대차 신고(전‧월세 신고)를 해야만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법에 따라 전‧월세 신고를 해야 하는 계약의 조건과 신고 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드리고, 저희 자리톡이 제공하고 있는 ‘임대차 신고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계약서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만으로도 신고를 간편하게 마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임대차 신고 안내자료 @광주광역시


전‧월세 계약했으면 따로 신고해야 해요!

2021년 6월 처음 도입된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전월세 신고제)는 보증금이나 월세 등이 기준을 충족하는 전‧월세 계약의 체결 사실과 임대기간, 임대료 등의 계약 조건을 주택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 등에 신고하도록 하는 제도인데요.          


원래는 2년간의 계도기간이 종료되는 2023년 6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2024년 5월 31일까지 계도기간이 한 차례, 1년 더 연장됐습니다. 그리고 계도기간 동안이더라도 조건을 충족하는 임대차 계약에 대해서는 신고 의무가 그대로 남아 있는데요. 


전월세 신고 계도기간 1년 연장을 알리는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국토부


보증금 6000만원 넘거나, 월세 30만원 넘으면 신고 대상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계약이 임대차 계약 신고 대상인 걸까요? 우선 계약 시점 기준으로는 2021년 6월 1일부터 체결된 신규‧갱신(금액 변동 없는 갱신계약은 제외함) 전‧월세 계약이 신고 대상인데요.     


이중 보증금과 월세가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계약이 신고 대상이 됩니다.      


①보증금이 6000만원을 초과하거나 ‘또는’ ②월세가 30만원을 초과하는 계약이라면 임대차 신고를 해야만 하죠. 


보증금과 월세 중 한 가지만 기준 금액을 초과하더라도 꼭 신고하셔야만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셔야만 합니다.      

주택 소재지 기준도 있는데요. ‘경기도 외 도(道) 지역의 군(郡) 단위 지역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이뤄진 계약이 신고 대상입니다.          


경기도가 아닌 다른 도(道)들, 그러니까 충청남도나 강원도, 경상북도 같은 도 지역의 군(郡) 지역에 위치한 주택은 계약시점, 월세·보증금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신고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계약서에 적힌 내용대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임대차 신고를 할 때 제출하는 신고서에는 전‧월세 계약서의 주요 내용들을 그대로 옮겨 적어주시면 되는데요.     


먼저 세입자와 임대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기본 인적사항을 적어야 하고요. 아파트인지, 단독주택인지, 다가구주택인지 주택의 유형과 주소도 기재해야 합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각각 얼마인지, 계약 기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인지, 임대 면적은 얼마나 되는지와 같은 계약의 세부적인 내용도 당연히 함께 들어가야 합니다.          


세입자와 임대인, 둘 중 한 명만 신고하면 돼요     


신고서는 세입자와 임대인이 공동으로 제출하는 게 원칙인데요. 다만 신고자들의 편의를 위해 세입자와 임대인의 인장과 성명이 공동으로 날인, 서명된 임대차 계약서를 제출할 경우 한쪽만 신고하더라도 공동으로 신고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임대차 계약서만 있다면 세입자와 임대인 중 한쪽만 신고해도 괜찮다는 뜻입니다.          


공인중개사 등 신고인의 위임을 받은 대리인도 위임장을 갖고 있다면 대신 신고할 수 있고요.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안에 신고해야 합니다     


임대차 신고는 임대차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안에 신고하는 게 원칙인데요. 계약일로부터 30일이 지난 후에 세입자가 입주하고, 이에 맞춰 전입신고를 한다고 하더라도 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 안에 해야만 합니다.           

또한 세입자가 잔금을 다 치르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신고는 계약 체결일 기준으로 기한 안에 해야만 하고요.          

다만 2024년 5월 31일까지는 계도기간이기 때문에 이 기한(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을 넘겨 신고를 했다고 하더라도 과태료 등의 불이익이 주어지지는 않습니다.      


관할 주민센터나 국토부 사이트 통해 신고합니다


기한 안에 제때 신고하지 않을 경우 경과된 일수, 미신고 유형에 따라 4만~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일부러 거짓된 내용으로 허위 신고했을 경우에는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과태료는 세입자와 임대인 모두에게 부과되고요.     


임대차 신고는 주택 소재지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하시거나 국토부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을 통해 신고하실 수 있는데요.               


자리톡 임대차 신고 페이지


자리톡 신고 대행 서비스로 간편하게 신고하세요!   


저희 자리톡이 제공하고 있는 ‘임대차 신고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신고를 마치실 수 있습니다.      

임대차 계약서와 신분증 사진을 등록하신 뒤 완료하기 버튼만 누르시면 곧바로 임대차 신고를 마무리하실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등의 인증수단을 따로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곧바로 신고하실 수 있고요. 

               

자리톡 임대차 신고 페이지

   

이번 글에서는 법에 따라 전‧월세 신고를 해야 하는 계약의 조건과 신고 방법 등에 대해서 설명드렸는데요.


보증금이 6000만원을 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넘는 전‧월세 계약을 체결하신 세입자분이라면 임대차 계약을 신고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니 정해진 기한 안에 꼭 신고하바라겠습니다.     


이번 글이 저희 자리톡 세입자 회원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이번 글은 여기서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리톡 바로가기

함께 읽으면 좋은 자리톡 콘텐츠



매거진의 이전글 깡통전세 피하려면 반드시 이렇게 계약하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