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셸 오 May 05. 2016

#소설의 시점


*소설의 시점*


-내가 나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1인칭 주인공

-내가 서술자(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 임과 동시에 주인공이다.


예) 김유정의 <봄봄> 본문 인용   

                                                     

'더럽다. 나도 종아리의 파리를 쫓는 척하고 허리를 구부리며 그 궁둥이를 콱 떼밀었다. 장인님은 앞으로 우찔근하고 싸리문께로 쓰러질 듯하다 몸을 바로 고치더니 눈총을 몹시 쏘았다. 이런 쌍년의 자식, 하곤 싶으나 남의 앞이라니 차마 못하고 섰는 그 꼴이 보기에 퍽 쟁그러웠다'


 <---나는 장인의 사위로 혼자 일기를 쓰듯이 자기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내가 나의 이야기를 독자에게 들려준다.) 나의 심리에 들어간다.(더럽다. 쟁그러웠다)




-내가 다른 사람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1인칭 관찰자

-나는 서술자이고 다른 사람이 주인공이다.


예)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본문 인용

                                                        

'나는 그 아저씨 어떠한 사람인지는 몰랐으나, 첫날부터 내게는 퍽 고맙게 굴고, 나도 그 아저씨가 꼭 마음에 들었어요. 어른들이 저희끼리 말하는 것을 들으니까, 그 아저씨는 돌아가신 우리 아버지와 어렸을 적 친구라고요. 어디 먼 데 가서 공부를 하다가 요새 돌아왔는데, 우리 동리 학교 교사로 오게 되었대요. 또, 우리 큰외삼촌과도 동무인데, 이 동리에는 하숙도 별로 깨끗한 곳이 없고 해서 윗사랑으로 와 계시게 되었다고요. 또 우리도 그 아저씨한테 밥값을 받으면 살림에 보탬도 좀 되고 한다고요.'


 --나(옥희)가 아저씨를 관찰해서 보여주고 있다.( 내가 아저씨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이다)

--나(옥희는 서술자)는 여기서 주인공인 아저씨와 엄마를 관찰만 하지 심리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측할 뿐이다

--이 소설의 제목이 '사랑손님과 어머니'인 것도 서술자인 옥희의 관점에서 바라본 주인공들이기 때문.



-작가가  제 3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한다. 인물들 심리상태 전혀 모름

                           ----3인칭 작가 관찰자


예)황석영의<삼포가는길>인용                                                                                                         

'영달이는 시무룩해져서 역사 밖을 멍하니 내다보았다. 백화는 뭔가 쑤군대고 있는 두 사내를 불안한 듯이 지켜보고 있었다.'       

---작가가 인물(영달이.. 백화)들의 이야기를 하는데 표정만으로 심리를 추측하게 한다.   


                                                                                                                       -작가가 제 3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한다. 인물들 심리상태를 안다.

                  ---3인칭 전지적  작가

  

예) 황순원의 <소나기> 인용

'소녀가 안고 있는 꽃 묶음이 망그러졌다. 그러나, 소녀는 상관없다고 생각했다. 비에 젖은 소년의 몸 내음새가 확 코에 끼얹혀졌다. 그러나, 고개를 돌리지 않았다 .'


-소설 밖에 있는 작가가 소녀(인물)를 통해 심리에 개입하고 있다.



여기까지가 보통 학교에서 배우는 시점이다. 그러나 수능은 시점을 스스로 찾을 수 있어야만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어있다. 무슨 말인고 하면,


 1인칭 시점이라도 나의 이야기를 하지 않을 때는 1인칭 관찰자가 되기도 하고
1인칭 관찰자라도 나의 이야기를 하면 1인칭 주인공이 되기 때문이다.

 가령 위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에서 소설 전체의 시점은 1인칭 관찰자이지만 수능 모의고사는 본문의 내용을 잘라서 내기 때문에 만약 나(옥희)가 자기 이야기를 하는 부분을 낸다면 1인칭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이 교차하게 되는 것이다.


  예시 인용) <사랑손님과 어머니>

                                     


한참 후에 아저씨와 손목을 잡고 내려오는데 유치원 동무들을 만났습니다.
  "옥희가 아빠하구 어디 갔다 온다, 응."
 하고, 한 동무가 말하였습니다. 그 아이는 우리 아버지가 돌아가신 줄을 모르는 아이였습니다. 나는 얼굴이 빨개졌습니다. 그 때 나는 얼마나, 이 아저씨가 정말 우리 아버지였더라면 하고 생각했는지 모릅니다. 나는 정말로 한 번만이라도,
  "아빠!"
 하고 불러 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그 날 그렇게 아저씨하고 손목을 잡고 골목을 지나오는 것이 어찌도 재미가 좋았는지요.



    


이 인용문에서는 옥희 본인 이야기가 주가 되므로 이 부분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이다.

보통 모의고사에는 시점이 두 가지 이상이 발견되는 지문을 주고 직접 시점을 파악하고 푸는 문제가 출제된다.

이렇게 시점을 스스로 분별해야 되는 이유는 다음 시간에 '거리'를 공부할 때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