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개똥 역사
라이킷 16 댓글 8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귀족의 작위에 대하여

조영필

by 조영필 Zho YP Feb 09. 2016
아래로

동양에는 공작(公爵), 후작(侯爵), 백작(伯爵), 자작(子爵), 남작(男爵)의 오등작이 있다. 그런데 서양에도 공작(Duke), 후작(Marquis), 백작(Count), 자작(Viscount), 남작(Baron)의 오등작이 있다. 이 무슨 해괴한 일치란 말인가? 모든 것이 거의 상이한 두 문명권에서 이 어찌 작위의 오분이 같을 수가 있을까?


동양의 오등작은 춘추시대 주(周)의 봉건에서 시행되었다. 이후 중국사에서 똑같이 시행된 적은 없으나, 공-후-백-자-남의 위계 순서는 대체로 준수되고 있다. 한국사에서는 고려 공민왕 시기에 시행되었다고 한다. 서양에서도 보면, 지역과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작제를 시행하여 왔다. 따라서 각 나라별로 작위의 단계가 다양하여, 이를 일관하는 오등작의 원칙이 따로 있지는 않다.


그런데 왜 우리는 으레 작위 하면, 오등작을 생각하게 된 것일까? 그것은 일제의 영향으로 보인다. 일본은 서양의 문물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유럽의 작위를 춘추시대 주의 작위에 비추어 한자로 역의하였다. 또한 일본은 일본 제국주의 천황제에서 이러한 오등작제를 실제로 시행하였다.


이와 같이 우연의 일치처럼 보이는 동서양의 오등작제이지만, 일단 번역이 그렇게 되어서 그런지 몰라도 그렇게 번역이 가능한 상당한 특성이 또한 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우선 공작에 대해서 살펴보자.


공작(Duke, Herzog)이란 무엇인가? 공작은 왕이 내린 작위가 아니다. 공작은 공작 스스로의 자격으로 부여된 작위이다. 즉 왕이 어쩔 수 없이 부여한 작위이다. 왕보다 조금 세력이 작은 (왕이 완전히 제압할 수 없었던) 또 다른 왕(공작)이 어떤 필요에 따라, 자기보다 조금 더 큰 세력인 왕을 중심으로 상호 간에 봉건적 유대(위계) 질서를 맺은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공작은 왕이 멋대로 부릴 수 있는 부하가 아니다. 공작은 왕의 간섭을 배제한 채로 자신의 영지를 다스릴 수 있었다. 이것이 공작이다.


이는 서양의 봉건제의 시원인 프랑크 제국에서 유독 동프랑크 지역에서 공작이 많았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면 알 수 있다. 동프랑크에서 카롤링거의 왕통이 끊긴 이후, 왕은 주요 귀족의 합의에 의해 선출되었다. 이렇게 선출된 왕은 자신들이 신하로서 떠받들어야 하는 왕이 아닌, 명목상의 왕에 불과하였다. 그 왕을 선출한 귀족이 바로 그 동프랑크 왕국 내 각 지역의 독립 군주였던 공작들이었다.


이처럼 공작의 위세는 지역적 기반이 워낙 뿌리 깊은 것이지만, 동쪽 변방에서의 외적의 침입(마자르족과 오스만튀르크 등) 또한 일부 공국이 홀로 막아내기에는 엄청나게 거대한 파고이어서, 하나의 구심점(왕)을 중심으로 상호 연대하는 체제를 만들어내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외부의 강력한 위협이야말로 동프랑크에서 선제후와 황제의 이중 권력 구조인 신성로마제국이 형성된 배경이다.


주(周)의 경우에는 또 어떠한가? 주나라에서 공의 작위와 함께 영지가 부여된 것은 바로 송(宋)나라이다. 송은 주가 무너뜨린 주의 상국(上國)이었던 은(殷)의 유민들을 규합한 나라이다. 또한 송에 분봉된 제후는 패주(敗主)가 된 은의 주(紂)왕의 형인 미자(微子)로, 송공(송나라의 공작)은 주(周)왕에게 신하의 예를 하지 않을 특권조차 부여되었다. 동과 서에서 공작의 위상이 매우 유사하지 않은가?


다음은 후작이다. 후작(Marquis)은 공작의 다음 위의 서열인데, 이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백작을 다루어야 한다.


백작(Count, Earl, Landgraf)이 비로소 왕의 신하이다. 왕은 혼자서 통제할 수 없는 자신의 광대한 지역을 함께 다스릴 충성스러운 신하들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공이 있는 신하들에게 봉토를 부여하여, 백작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백작은 왕에게 무한책임을 지는 제후이었을 것이다. 이 백작이 더 세분화될 때, 그 상층부에는 후작이, 하층부에는 자작이 생긴다. (영국의 백작 대응어인 얼(Earl)은 행정관의 느낌을 주는 대륙계의 카운트(Count)보다, 어원상으로는 차라리 공작의 대응어인 듀크(Duke)에 가깝다. 따라서 영국의 얼(Earl)을 백작이라고 구분하기는 하나, 독립 부족장으로서 규모가 작은 공작 같은 느낌이 든다.)


후작이란 다른 말로 변경백(邊境伯)이다. 독일어 마르크그라프(Markgraf)를 번역한 것인데, 이는 후작의 유래와 기원을 이해하는 힌트이다. 모든 국가에는 완전히 제압하기 힘든 강력한 외적이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를 막아내기 위해 군사적 요새가 변경에 설치된다. 그리고 충성심과 실력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귀족이 이곳의 책임자로 파견될 것이다.


유럽의 프랑크 왕국에서 그 지역은 주로 동쪽 경계의 지역이었다. 즉 오스마르크(동쪽 변방이란 뜻, 나중에 오스트리아가 된다)나, 브란덴부르크(나중에 프로이센이 된다)가  그곳이다. 이러한 지역은 처음에는 변두리 지역으로 전쟁이 많고 위험하여, 분봉되고 싶지 않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왕성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오히려 왕으로부터 독립된 권력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에는 변경이라 척박한 지역이었을 테지만, 잘 훈련된 군사력으로 변경의 이민족을 몰아내고 토지 개간을 하게 되면 오히려 영지가 자연스레 확대되는 이점이 있었다.


군사력도 강하고 영지도 확대된 변경백의 지위는 점차 백작의 위상을 넘어, 공작에 버금가는 영예와 권력을 확보하게 된다. 신성로마제국에서 합스부르크가(家)가 오스트리아를 기반으로 삼은 것이나, 브란덴부르크가 프로이센으로 성장하여 독일을 소통일하게 된 것은 변경백의 지리적 이점이 아니면 설명하기 힘들다.


주의 경우에 후작으로 봉작된 대표적인 사례가 제(濟)의 태공망인데, 바로 그 유명한 강태공이다. 강태공은 주 무왕의 천하통일에 절대적인 공헌을 한 가장 믿음직한 신하로서 주의 동쪽 변경(산동성 지역)인 제나라에 후작으로 봉해진다. 주공의 섭정 시 부여된 후작위는 모두 변경지역에 분봉된 신뢰도 높은 인물이었다. 변경을 책임진 신하는 그 무력의 활시위를 절대 왕성으로 돌리면 안 되었기에 무엇보다도 충성도가 우선이었다. 이는 곧 서양의 후작(Marquis, 변경백)과 매우 상통하는 측면이다. 또한 그 후작의 나라들이 모두 그 경계 밖 영토의 확장을 통해 강대한 세력이 되는 것도 공통점이다.


자작(Viscount)은 백작과 같이 왕을 직접 배알하는 자격을 갖추었지만, 보통의 백작에 비해 좀 작은 수준의 영지를 분봉받은 신하이다. 독일어에서는 부르크그라프(Burggraf, 성백, 城伯)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유추해보면, 자작이란 농산물이 많이 수확되는 넓은 지역의 영주(백작)가 아니라, 교역의 요충지에 성곽을 세워놓고, 통행세를 부과하는 성주인 셈이다 .


주의 자작 중에서는 초(楚)나라가 유명하다. 초의 지역은 주의 봉건시대에는 남만이라 하여, 야만족의 땅으로 천시되었다. 따라서 초나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작위를 부여받았다. 처음에는 영토와 생산력 또한 작았을지 모르나, 변방의 지역에서 영토와 세력을 일신우일신한 초나라가 주의 천자에게 작위를 올려줄 것을 누차 건의하였다. 그러나 봉건적 위계질서와 화이론에 속박된 주의 왕실은 그 상소를 철저히 무시하였다.


결국 실력과 명예의 불균형에 따른 모멸감을 참지 못한 초나라는 스스로 왕을 칭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 후 다른 나라들도 초나라를 따라 점차 칭왕을 하게 된다. 결국, 춘추의 도리는 무너지고, 실력 제일주의의 전국시대로 접어들게 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초나라의 자작위는 주의 봉건제의 파열음을 부르는 단초가 아니었을까?  


서양에서는 프로이센의 성립 과정에서 이와 유사한 사례를 볼 수 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은 처음에는 선제후도 아니고, 왕도 아니었다. 그러다가 브란덴부르크의 독일적 경계를 넘어 폴란드의 튜튼 기사단 지역을 점차 접수하였다. 브란덴부르크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먼저 독일 내에서 선제후의 지위를 획득한다. 그리고 기사단 지역을 폴란드로부터 독립시키고 프로이센 왕국을 수립하여 왕을 칭한다. 한편으로는 독일 제국 내의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인 후작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독일 제국 밖의 프로이센 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의 지위와 세력을 잘 활용하여, 이후 프로이센 왕가는 독일 황제의 지위에까지 오른다.


남작(Baron)은 영지가 있는 귀족으로서 공작이나 백작(후작, 자작)이 아닌 자이다. 즉 아마도 공작이나 백작의 가신의 수준이 아니었을까?


그러므로 봉건제는 기본적으로 삼등작이다. 즉 왕과 대등한 귀족인 공작, 왕의 일차적 제후인 백작, 그리고 공작과 백작의 가신 또는 왕의 이차적 제후인 남작이 그것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백작이었으나, 점차 공작으로 신분이 상승되는 후작이 봉건의 질서를 외곽에서부터 무너뜨리는 망치(동인)로써 봉건제의 이상은 계속 세속적으로 환골탈태한다.



참고문헌:

민후기, 춘추 작제의 성격과 변화 - 족에서 국으로 -, 중국고대사연구 제12집.

민후기, 은상의 수평적 족연합과 '민족'의 형성 - 청동기 금문을 중심으로 한 내작의 기원에 대한 탐색 - , 중국고대사연구 제13집.


(2015. 02. 07)



Note:

추가 사항(인터넷 검색, 원전 미확인)

1. 작위의 작(爵)은 두 손으로 술잔을 받아 눈높이까지 받든 모습이라고 한다.

2. 맹자에 의하면, 천자는 사방 천리, 공후는 사방 백리, 백은 사방 칠십리, 자남은 사방 오십리를 관할

3. 공작의 공(公)은 갑골문에서는 남성의 성기를 묘사한 것이라고 한다.

4. 후작의 후(侯)는 갑골문에서는 후(矦)인데, 화살이 과녁을 향해 날아가는 모양이라고 한다.

5. 백작의 백(伯)은 갑골문에서는 백(白)인데, 흰 머리뼈, 햇빛, 엄지손가락 등의 상형이라고 한다.

6. 자작의 자(子)는 갑골문에서는 귀족들의 자제나 혈통을 의미하였다고 한다.

7. 남작의 남(男)은 갑골문에서는 일정한 토지를 관리하는 직책을 가진 인물을 뜻한다고 한다.

---------------------------------


상(商)대의 자(子)는 왕실의 보호를 받는 특별한 계층이다. 때문에 갑골문이나 청동기 문자에 보이는 자(子)는 상 왕실과 혈족관계에 있는 귀족의 아들에 대한 존칭이 된다...

아들 자(子)와 쟁기의 상형문인 힘 력(力)이 함께 있는 글자를 상대 갑골문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밭 전(田)과 쟁기의 상형문인 힘 력(力)으로 이루어진 사내 남(男)의 글꼴이 갑골문에서 정확하게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당시 사회의 문화적 면모를 전달하고 있기에 의미가 있다.

(김경일, [갑골문·청동문·죽간으로 밝혀낸 유교 탄생의 비밀], 139-142쪽 참조)

---------------------------------------------------------------------------------------------


다음은 주영한국교육원(http://www.koreaneducentreinuk.org)의 [영국의 귀족 제도]를 참조하여 추가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영국의 귀족제도가 대륙의 귀족제도가 좀 다르기는 하지만, 참고할 점은 있어 보인다. 우선 영국은 노르망디공(公) 윌리엄이 영국을 정복한 후(1066년), 국가를 많은 장원(manor)으로 분할하고, 각 장원을 왕의 직신(baron)들에게 관할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보면, 영국의 남작(baron)은 오히려 대륙의 백작(count)과 비슷한 느낌이다. 아무래도, 노르망디 공 자신이 공작이었기 때문에 그의 직신이 남작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을지 모르겠다. 따라서 영국의 백작(earl) 또한 대륙의 공작(duke)의 위상으로 느껴지는 것의 힌트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국의 작위는 baron과 earl이 먼저 생겨났고, duke(1337년 시작)와 marquess는 14세기에 viscount(1440년 시작)는 15세기에 만들어졌다. 이렇게 보면, baron과 earl을 제외한 나머지 작위들은 대륙국가들과 대비한 영국의 왕국으로서의 품위 유지 차원에서 설치된 작위로 여겨진다. 특히 duke는 대부분 prince에게 주어진 명예적 작위이었으므로, 대륙의 왕에 대해 준독립적인 duke들과는 사뭇 다르다. 다음으로 marquess(라틴어 marchiones)는 영국에서는 웨일스 국경의 제후를 지칭하였으며, 처음에는 다른 백작보다 높은 지위를 의미하지는 않고 단지 국경 근처에 영지가 있다는 의미만을 포함했다(대륙에서 카롤링거 왕조의 marquis는 '백작은 하나 이상의 영지를 소유할 수 없다'는 규정에서 제외되는 공작의 위상에 버금가는 국경 수비 임무의 귀족). earl은 덴마크 jarl에서 유래한 용어로 노르망디공의 정복에 앞서 데인의 크누트 왕의 영국 지배시절(1016-35년)에 영국에 이미 도입된 작위였다.


사실 영국 작위 제도의 특징은 아버지의 작위가 장남에게만 승계된다는 것에 있다. 그리고 그 장남도 아버지의 생전에는 아버지의 작위보다 한 단계 아래의 작위로 호칭되었다. 따라서 장남이 아닌 아들들의 후손들이 한편으로는 귀족의 후예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법적으로 평민인 gentry 계층을 형성하여 영국 산업혁명의 주도 세력으로 등장하게 되는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이룬다.


◦ 귀족 작위의 어원

- "Duke" comes from the Latin dux, leader

- "Marquess" comes from the French marquis, which is a derivative of marche or march

- "Earl" comes from the Old English or Anglo-Saxon eorl, a military leader

- "Viscount" comes from the Latin vicecomes, vice-count

- "Baron" comes from the Old Germanic baro, freeman


(2023. 1. 28.)

-------------------------------------------------------------------------------------------




매거진의 이전글 삼전도의 치욕에 대하여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