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 서연 Sep 29. 2023

공기 요정의 출현

요정이 된 발레리나들

클래식과는 달리 낭만주의가 먼저 시작된 발레     

애초에 발레는 귀족들의 사교댄스였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가발과 가면을 쓰고 치렁치렁한 옷을 입고 굽이 높은 구두를 신고서 자기 과시하듯이 무대 위를 멋들어지게 걷기만 하면 되었다. 하지만 전문 무용수들을 양성하기 위한 왕립무용아카데미 설립되면서 발레 마스터들은 체계적인 무용 교육을 위한 교본을 만들었다.


먼저 악보에 음표들을 기보하듯이 발레 테크닉과 무용의 동작들 기보하기 시작했다.(무용보) 무용보에 안무들을 기보하면서부터 무용 이론도 정립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점점 현란한 테크닉을 시도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변화는 남성 무용수들에게서 먼저 시작되었다. 18세기 발레는 확실히 남성 중심이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나 다르게 생각하는 인물이 항상 있는 법. 18세기에 이미 다르게 생각했던 발레리나가 있었으니 바로 용기있는 발레리나 카마르고였다. 이미 뛰어난 테크닉을 갖추고 있었던 카마르고는 거추장스러운 스커트가 춤추는 것에 발목을 잡는다고 생각해 아예 스커트를 댕강 도려내어 발목을 드러내버렸다. 그 뒤 그녀는 부도덕한 여인이 아니라 오히려 인기가 높아졌고 그녀의 용기 있는 선택 덕분에 여성 무용수들을 짓눌렀던 스커트의 길이는 점점 더 짧아져갔다.      


급기야 여성 무용수들의 스커트는 무릎에서 약간 내려오는 길이까지 짧아지면서 종모양의 스커트인 로맨틱 튀튀가 만들어졌다. 여기에 19세기의 스타 발레리나 마리 탈리오니가 등장하면서 발레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스타 발레리나 탈리오니가 날개 달린 로맨틱 튀튀에 토슈즈를 신고 무대 위에 오른 순간 발레의 역사는 남성 중심에서 여인 천하로 바뀌었다.      


희부연 가스등의 조명 아래에서 날개 달린 종모양의 스커트를 입고  발끝으로 무대 위를 동동동 가볍게 떠다니는 그녀의 모습에 당시 파리 시민들은 넋을 잃었다. 그녀의 청순한 이미지와 러블리한 발레 테크닉은 유럽 전역에 센세이션을 일으키면서 이미 유럽을 휩쓸고 있었던 예술사조인 낭만주의가 발레에서도 시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낭만발레의 요정들 : 마리 탈리오니, 카를로타 그리시, 파니 세리토, 루실드 그랑



이미 전문 무용수들의 영역으로 진화한 발레는 더 이상 귀족들의 것만이 아닌 서민들도 누릴 수 있도록 대중화어 있었다. 당시 대중들은 먹고 살기 팍팍한 현실로부터 도피하고 벗어나고 싶은 마음에 자연스레 초자연에 관심을 가졌으며 초자연적인 요정들이나 정령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발레를 관람하기 위해 극장을 찾았다.

낭만 발레 <라 실피드>의 삽화


발레에 공기 요정이 출연하면서부터 더 이상 발레는 기교에만 갇히지 않았다.


나름대로 스토리를 갖추려고 했으며 극의 전개에 따라 인물들의 감정도 극적으로 표현하려고 했다. 다리가 비치는 로맨틱 튀튀를 입고서 금방이라도 하늘로 승천하려는 듯이 아라베스크 자세를 했으며


이루어지지 않은 슬픈 사랑을 고이 간직한 내면 연기를 선보이면서 팡쉐 동작을 했다.


햐얀색 로맨틱 튀튀를 입고 군무를 추는 백색 발레가 시작되었으며


남녀 주역 무용수의 2인무도 만들어졌다.


토슈즈를 신고서 인간이 아닌 요정처럼 보이기 위해 브레브레 동작으로 무대 위를 가볍게 떠다니며 움직이는 온갖 푸앵트 기법도 구사했다.


낭만주의 발레의 대표작품 <라 실피드>

초연 안무 : 필리포 탈리오니(마리 탈리오니의 아버지)

음악 : J. 슈나이트후퍼

초연 : 1832년 파리 오페라 극장

<라 실피드>에서 마리 탈리오니


부르농빌의 <라 실피드>

덴마크 발레의 아버지 오귀스트 부르농빌은 탈리오니의 <라 실피드>를 보고 감동을 받았다. 그러나 부르농빌은 1836년 덴마크 왕실에서 <라 실피드> 공연을 했을 때에는 탈리오니의 버전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았다. 부르농빌은 다른 음악을 사용하여 부르농빌 메소드(덴마크 발레 교육법)로 바꾸어 재안무한 것을 사용했고 이 버전은 소실되지 않은 덕분에 전 세계 다른 발레단들도 참고하면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배경 : 스코틀랜드의 한 농촌 마을

등장 인물 : 실피드(요정), 제임스(마을 청년), 에피(제임스 약혼녀), 마지(숲속의 마녀), 구른(에피를 짝사랑하는 청년)

줄거리 : 부르농빌은 낭만과 환상만을 쫓던 탈리오니 버전의 <라 실피드>의 결말을 바꿔 교훈을 남겼다. 결혼식을 앞둔 청년 제임스가 공기 요정 실피드에게 반하면서 잡힐 듯 말듯한 사랑도 이루지 못하고 현실에서의 약혼녀도 다른 남자(구른)한테 빼앗기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https://naver.me/x95us4Qb



미하일 포킨의 <레 실피드>     

20세기의 발레 혁명가 중의 한 사람인 미하일 포킨은 낭만주의 발레 <라 실피드>에서 이름을 빌려와 <레 실피드>를 만들었다. 차이점은 2막으로 구성된 낭만주의 발레 <라 실피드>는 스토리가 있는 반면 포킨이 안무한 <레 실피드>는 줄거리가 없이 낭만주의의 느낌을 살린 발레 작품이다.  

    

작품명 : 레 실피드, 러시아에서는 ‘쇼피니아나’라고 부른다.

음악 : 프레데릭 쇼팽의 음악을 관현악으로 편곡한 글라주노프의 <쇼피니아나>

초연 : 1909년 6월 파리

https://naver.me/FIoOUM9G



낭만주의 발레 그 후     

까치발의 묘기를 시작했던 낭만주의 발레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별다른 상상력이 없이 매번 비슷한 주제들을 작품으로 한 낭만주의 발레에 대중들은 이내 식상해했다. 프랑스에서 낭만주의 발레가 쇠퇴하면서 대중들로부터 발레에 대한 관심이 멀어져갔다. 이때다 싶었던 러시아는 유럽의 발레 인사들에게 손을 내밀었다. 그 중에는 프랑스 출신의 발레리노이자 안무가였던 마리우스 프티파도 있었다. 이로써 발레의 패권은 프랑스에서 러시아로 넘어갔다. 마리우스 프티파는 러시아 황실의 지지와 후원을 받으면서 클래식 발레의 형식을 완성시켰다.     

 

마리우스 프티파는 차이코프스키와 밍쿠스, 드리고, 글라주노프와 같은 걸출한 작곡가들과 협업을 하면서 고전주의 발레를 완성시켰다. 음악에 대한 재능까지 뛰어났던 프티파는 작곡가에게 너무 많은 요구와 간섭을 해서 차이코프스키가 짜증을 냈다는 일화도 유명하다. 어쨌든 프티파와 차이코프스키 두 천재의 만남은 무용사에서도 음악사에서도 길이 남을 업적을 남겼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