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샤 Mar 12. 2021

서사(序詞), 이야기의 이전

절기의 일기, 프롤로그

  시간이 많은 한 달을 보냈다.


  시간은 무기력의 다른 이름이었다. 무기력을 분신 삼아 흐르는 시간을 바라보았다. 시간은 똑딱똑딱 흐르기도 했고 천천히 혹은 빠르게 흘러가기도 했다. 시간은 아이의 울음소리를 밟고 지나갔고, 무기력보다 더 무력하게 공간을 채웠다. 어떤 때는 강한 힘으로 순간을 휩쓸고 지나갔고, 어떤 시간은 모든 순간의 구석을 다 훑고서야 찬찬히 지나갔다. 시간은 시계의 형태를 지니기도 했고, 감정의 흐름이기도 했으며 찰나의 축적이기도 했다. 무기력은 그 모든 시간을 차근차근 짚어낼 수 있었다. 


서사, 프롤로그, 이야기의 이전





  시간은 달력으로 환생하기도 했다. 시간을 뚝, 뚝, 뚝 또는 뭉텅뭉텅 잘라 수치화한 것이 달력이었다. 시간이 숫자로 둔갑하고 있는 달력을 한참 바라보았다. 시간은 얌전한 가식을 떨며 달력 안에 조용히 매달려 있었다. 그러나 분명한 건 그 안에서도 흐르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토막 난 시간의 조각을 걸어 둔 달력을 바라보다가, 작은 글씨들이 눈에 들어왔다.


 


  입춘, 하고 발음해 보았다. 춘, 에서 봄의 소리가 날 뻔했다.

  입춘이라니, 웃기시네, 입춘 따위, 春, 눈 속에 얼어 버려라.

  라고 생각하고는 갑자기, 글이 쓰고 싶어 졌다. 그렇다, 순전히 '갑자기' 일어난 본능 같은 욕구였다. 안타깝게도, 나는 이것밖에 안 되는 사람이었다. 달력을 보고 글을 생각하는 사람, 새어나가는 시간을 아까워하기 위해 달력을 보다가 기껏 글 밖에 생각해 내지 못하는 사람. 그러나 받아들여야 했다. 글로 써내는 것 말고는 무기력에 무력해진 자가 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시간의 이야기를 써야 했다.

  

  '시간의 이야기', 그것이 문제였다. 시간은 그 자체가 갖는 추상성과 형이상학적인 힘으로 인해 활자로 고체화할 수 없었다. 나에게는 역부족한 일이었다. 그러나 시간을 계절로 치환하는 순간, 계절의 흐름은 안개를 걷어 내고 조금씩 문자의 형태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불분명한 이야기들은 스물넷의 절기로 나누어지자 그 형태가 명확해졌다. 그러니까, 시간이 흐른다는 것은 사실 보름마다 새로운 절기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과 동의어인 것이다. 그리고 활자는 내게 있어, 시간보다는 절기에서 조금 더 선명하게 조각될 수 있었다.

  동시에 무의식 이곳저곳에 콕콕 박혀 있던 생의 순간들이 의식의 표면 위로 떠올랐다. 불명확의 시간을 헤쳐 나온 나의 서사(敍事)들은 '절기(節氣)'라는 틀을 만나자마자 내 안의 글 쓰는 이의 멱살을 흔들었다. 어서 나를 글로 써내, 내게 문장의 옷을 입혀서 밖으로 보내 줘.

  

  대부분은 부끄러울 수밖에 없는 이야기들이다. 잘나지 못한 생이기에 그저 소박하고 우습게만 보일, 그래서 더욱 부끄러울 이야기들이다. 그러나 그 부끄러움은 수치심까지 이르지는 않는다. 책갈피처럼 스물네 절기에 꽂혀 있던 나의 이야기들은 어쩌면 '그'의 삶의 한 부분, '그분'의 생의 한 조각과 교집합을 이루어 조금은 숙성된 맛이 날 것이다. 혼자였다면 수치스러울 삶의 흔적들은 '누군가'들로 인해 조금 부끄러운 정도에 그칠 수 있었다. 수치심에 이르기 전에 익어버린 이야기들이, 보름을 주기로 하는 절기와 만나 세포 분열을 시작하였다. 그 탄생의 처음은 역시나, '입춘'이다.






0으로 끝나는 날마다 절기의 일기를 써보려 합니다.

입춘과 입하를 지나 입추와 입동에 이르는 찰나의 순간들, 그 틈새에 끼워져 있던 이야기를 펼쳐 보려 합니다. 퀴퀴한 냄새를 털어내고 빛바랜 장면을 손으로 쓸어내다 보면, 무기력을 벗어난 진짜 나를 찾아낼 수도 있을 것만 같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