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문화를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흔히 사과 얘기를 꺼내곤 합니다. 역사의 흐름을 바꾼 세 개의 사과가 있다는 거죠. 첫 번째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담과 이브의 사과입니다. 잘 알다시피 아담과 이브는 뱀의 꼬임에 넘어가 선악의 열매를 따먹은 뒤 낙원에서 추방당했습니다. 이 때부터 인류 문명의 역사가 시작된 것이죠. 두 번째는 빌헬름 텔의 사과입니다. 조국을 침략한 세력에 저항한 빌헬름 텔은 아들의 머리 위에 놓인 사과를 화살로 맞추고 승리자가 됩니다. 독재 권력과 싸워 이긴 이 사과에서 민주주의의 탄생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죠. 마지막 세 번째는 영국의 과학자 뉴턴의 사과입니다. 사과나무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모든 물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지요. 그러니 이 사과가 근대 과학의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는 얘기죠. (요즘은 여기에 스티브 잡스의 사과를 추가하기도 합니다. 4차산업혁명의 선도자라는 의미죠.)
그런데 서양 미술의 역사에도 아주 유별난 사과가 있습니다. 바로 세잔의 사과지요.
세잔 <사과와 오렌지>
‘나는 사과 하나로 파리를 놀라게 하겠다!’
세잔이 친구인 에밀 졸라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유명한 말입니다.파리는 예나 지금이나 예술의 도시예요. 따라서 파리를 놀라게 하겠다는 것은 예술계를 놀라게 하겠다는 말이나 다름없지요. 그의 말은 거짓이 아니었어요. 세잔의 사과에서 현대 미술이 싹텄다고 할 만큼 서양 미술사에 큰 파문을 던졌으니까요.
세잔은 정물화를 즐겨 그렸는데, 그 중심 소재가 사과였어요. 그는 사과를 그리고 또 그렸지요. 때론 그림을 다듬고 고치느라 사과가 다 썩어 문드러졌지만 그 때까지도 그림이 완성되지 않았답니다.
도대체 얼마나 잘 그렸기에 그토록 공을 들인 것일까? 잔뜩 기대를 안고 그림을 본 사람들은 크게 실망을 하게 됩니다. 막상 그림을 보게 되면 별로 잘 그린 것 같지 않으니까요. 형태도 불분명하고, 물감 덩어리를 대충 칠해놓은 것처럼 엉성해 보입니다. 보통 사람들도 저 정도면 나도 그리겠다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본래 정물화는 고정되어 있는 물체를 그리기 때문에 매우 안정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세잔의 정물화는 매우 불안정해 보입니다. 탁자도 삐딱하고, 접시도 기울어져 곧 사과가 우르르 쏟아질 듯 위태롭습니다. 일부러 사물을 이렇게 배열해 놓은 것일 수도 있고, 그림을 그렇게 그린 것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어딘지 균형이 잘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미술 기법을 익힌 사람의 눈에는 아주 형편없는 그림으로 보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세잔 미술의 진가는 바로 거기에 있답니다.
르네상스 이래 화가들은 그림의 사실감을 높이기 위해 원근법과 명암법을 개발해냈습니다. 그러나 세잔은 이런 전통적인 기법을 모두 버렸지요. 그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 거의 관심이 없었습니다. 사과나 포도 등 과일을 아무리 잘 그렸어도 그건 결국 먹을 수 없는 물감 덩어리에 불과합니다. 세잔은 눈속임에 가까운 사실적인 묘사보다도 사물이 가진 형태와 구조, 색채에 더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그림 가운데 오렌지가 담긴 속이 움푹한 접시가 있습니다. 이 접시를 유심히 살펴보면 한 시점에서 그린 게 아닙니다. 접시 앞쪽은 측면에서 본 모습이지만 과일이 담긴 곳은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이지요. 사물의 완전한 형태를 그려내기 위해 서로 다른 시점을 한 화폭에 담아내는 실험을 한 것이죠. 그의 그림을 보면 사물의 윤곽선이 여러 개 겹쳐있고, 물감이 얼룩덜룩 칠해져 마치 그리다 만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것도 이런 실험의 결과입니다. 세잔의 엉뚱한 노력은 훗날 20세기 미술의 혁명이라 일컬-어지는 큐비즘의 씨앗이 되었고, 그를 현대 미술의 아버지라 부르게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