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탐험가 김홍채 Jan 27. 2022

학습 - 새로운 행동 패턴의 획득

고전적 조건 형성 , 도구적 조건 형성, 관찰에 의한 학습

 학습이라고 하면 학교에서의 공부를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심리학에서의 학습이라는 것은 조금 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나가는 가운데 몸에 익혀나가는 행동 패턴, 예를 들면 사회적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문제행동, 유쾌, 불쾌 등의 감정 반응의 획득도 그것이 경험에 의해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라면 학습으로 간주합니다.


도구적 조건 형성 (道具的條件形成, operant conditioning]


 그러면 우리들이 자동적으로 행하는 행동은 어떻게 학습되는 것일까요? 심리학자인 스키너(Skinner)는 도구적 조건 형성에 의한 학습을 제창했습니다. 스키너의 실험에서는 쥐가 우연히 레버를 눌렀을  때 먹이가 보상으로서 주어지는 것을 반복했습니다. 그러자 쥐는 ‘레버를 누른다’라는 행동이 보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수반성, 隨伴性)을 배워, 보상을 추구하여 행동을 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개에게 앞발을 내게 하거나 앉게 하는 것을 가르치는 과정과 같습니다.


 사람도 마찬가지로 보상을 찾아서 행동을 반복하는 일이 있습니다. 사람의 경우에는 물건이나 돈 등의 물질적인 것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칭찬이나 자기 자신의 만족감, 성취감 등 심리적인 보상도 있습니다. 한편으로 행동의 다음에 고통이 주어진다든지 보상이 줄어드는 일이 있으면 그것들은 벌로서 기능을 하여 행동의 소거(消去)가 되는 것이 됩니다. 일이나 공부의 경우에도 ‘칭찬’이나 ‘꾸중’이라고 하는 피드백이 보상과 벌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고전적 조건 형성(古典的條件形成, Classical Conditioning)


 고전적 조건 형성(古典的條件形成, Classical Conditioning)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이론으로, 특정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하던 자극 (중성 자극)이 그 반응을 무조건적으로 이끌어내는 자극 (무조건 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되면서 그 반응을 유발하게끔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반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 이에 관하여 잘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사례]
 Watson&Rayner(1920)는 알버트라는 아이가 흰쥐에게 공포를 느끼도록 하였다.
 이 아이는 본래 흰쥐에게 공포를 느끼지 않던 아이였다. 하지만 알버트가 흰쥐에게 다가가거나 만질 때마다 갑작스러운 큰 소리를 들려주었고, 결국 알버트는 흰 쥐를 무서워하게 되었다.

 사람은 원래 갑작스러운 큰 소리에 놀라는 반응을 한다. 여기서 큰 소리는 무조건 자극이 되고, 놀라는 반응은 무조건 반응이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무서움을 느끼지 않았던 흰쥐(중성 자극)와 큰소리(무조건 자극)를 지속적으로 연합하면 흰 쥐(조건 자극)만 보아도 놀라는 반응(조건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위키백과)


관찰에 의한 학습


 고전적 조건 형성과 도구적 조건 형성, 이 두 가지는 자기 자신의 실제 경험을 통한 학습을 말합니다. 한편으로 우리들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델로서 관찰하는 것으로로서도 학습을 합니다. 그것은 ‘모델링(modeling)’이나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아이들은 4개의 그룹으로 나눕니다.

어른이 공격적인 행동이나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을 실제로 보는 [실물 모델]군,
실물 모델과 같은 모습을 영상으로 보는 [영상 모델]군,
만화영화의 나쁜 고양이가 행한 공격적인 행동이나 대사를 영상으로 본 [애니메이션 모델]군,
그리고 아무것도 보지 않는 [모델 없음]군의 4가지입니다.


 그리고 모델을 본 뒤 아이들의 공격행동을 조사해 보니, 실물이냐 영상이냐 애니메이션이냐에 관계없이 공격적인 모델을 보았던 아이들은 모델이 없었던 아이들에 비해서 높은 공격행동을 나타냈습니다.


 그 후의 실험에서는 공격적인 행동을 했던 모델이 포상을 받는가 벌을 받는가 하는 차이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예상처럼 포상을 받았던 모델을 본 아이들은 공격적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고, 벌을 받았던 모델을 본 아이들은 공격행동의 빈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은 사회생활 가운데 다른 사람이나 영상을 보고 행동을 학습하고 있다' 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관찰학습을 최대한 활용하기


 고전적 조건 형성이나 도구적 조건 형성은 다른 동물에게도 공통적인, 생존에 반드시 필요한 학습 메커니즘이지만 고등생물인 인간의 학습은 많은 부분을 관찰학습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신입사원이 일을 배우는 것처럼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행동 패턴을 몸에 익히는 데는 이 관찰학습이 대단히 유효한 수단이 됩니다. ‘백문이 불여일견(百聞이 不如一見)’이라고 하듯이 보고 배우는 학습이 가능한가 아닌가는 숙달의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선배가 좋은 모델인 것은 아니므로 적절한 모델을 찾아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관찰학습의 첫걸음일 것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와 성격, 애착, 정체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