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사랑이 지나가는 단어


연인의 사랑을 호르몬으로 환원시키는 것을 사람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진실이 가려질수는 없다. 남녀가 호르몬의 작용으로 사랑하는 관계가 되는 것은 당시에 전혀 깨닫지 못한다. 특히 젊은 사람들은 사랑으로 뇌가 중독되어 깨닫지 못한다. 설령 그것을 안다고 해도 피해가지 못한다. 


뇌는 열애, 성적 흥분, 장기적인 파트너 관계에 이르게 하는 애착, 부모로서의 행동 등 다양한 애정생활에서 일어나는 과정에 관여한다. 우리가 열렬한 사랑에 빠져서 모든 주의력과 힘을 상대에게 쏟아 부으면 우리의 뇌 깊숙이 아래쪽에 위치한 구조들, 무의식적인 과정들을 조절하는 구조들이 사태를 진두지휘한다. 사랑을 뇌와 호르몬이라는 프로그램이 조정하더라도 인간은 즐겁다. 인간현실이다.


동물 세계의 성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 페로몬(pheromone)을 맡은 동물은 거부할 겨를도 없이 상대에게 저절로 이끌린다. 여왕벌이 수많은 무리를 이끌고 있는 것도 페로몬 때문이다. 인간 남자들은 매력적인 여성을 만나면 단 5분 만에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은 14%, 코티솔(cortisol) 생산량은 45%까지 증가하며 기분이 좋아진다. 코티솔이 증가하면서 매력적인 여성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며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지며 성기능이 잘 작동하게 된다. 번식이라는 생물학적 요구와 성기능은 동어반복이다. 하지만 사랑과도 동어반복이라고 한다면 그리 기분 좋은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호르몬은 점차 약화되고 영원할 것 같았던 감정은 식어간다. 2001년 영화 「봄날은 간다」에는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헤어지자.”라는 대사가 나온다. 사랑은 식어 변한다. ‘다른’ 사랑이나 이별로. 결혼하면 인간애로 남으며 사랑의 변화가 잘못되면 이별로 막을 내린다.


이별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별의 서막은 서서히 다가온다. 그 변화는 스스로도 알고 상대방도 느끼기 시작한다. 때로는 속기도 한다. 감정의 변화는 사용하는 언어에 금방 나타난다. 최대 3개월 전부터 사용하는 단어가 변한다. 특히 ‘나’, ‘우리’라는 단어에서 큰 변화가 나타난다. ‘우리’는  연인으로서 정체성을 언급할 때 사용된다. 이별의 방황이 닥쳐오면 ‘우리’라는 단어의 의미는 달라지기 시작한다. 사랑이 지나가면서 우리에서 나로 중심이 바뀌면서 ‘나’를 많이 사용한다. ‘나’라는 단어를 많이 쓰기 시작하면 이별은 진행 중임을 시사한다. 연인이 ‘나’라는 말을 많이 쓰기 시작하면 알아야 한다.

https://doi.org/10.1073/pnas.2017154118


매거진의 이전글 저칼로리 가공 식음료 당신을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