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소리
1월의 마지막 날, 나는 벌써 해외에 사는 손녀의 여름방학을 기다리고 있다. 6월이면 만나게 될 손녀, 요즘은 학교에서 스페인어를 배우고 있다며 화상으로 만날 때마다 스페인어로 인사를 한다. 올라(Hola, 안녕), 그라시아스(Gracias, 고맙습니다) 외에도 쿠 달(Que tal, 어떻게 지내요), 데 나다(De nada, 천만에요) 같은 말을 알려주기도 한다. 학기마다 다양한 외국어를 경험해보게 하고 고학년에 올라가면 자신이 선호하는 언어를 제2 외국어로 선택한다고 한다. 다음에는 어느 나라 말로 인사를 걸어올지 기대된다.
지금은 너무 말을 잘해 논리적으로 따지면 아빠 엄마도 곤혹스럽다고 한다. 이야기도 잘 만들고 시 짓기도 잘한다. 얼마 전에는 학교 잡지에 실린 ‘Winter, Spring, Summer, Fall’이라는 시를 보내오기도 했다. 시상도 기발하고 운율도 잘 맞추는 것은 물론 위트와 유모까지 구사했다며 많은 칭찬을 받았다고 했다. 신기하고 대단한 발전이다. 사실, 손녀는 두 살이 지나서도 말이 느렸다.
옹알이하고 입에 말풍선을 달 때만 해도 금방 말이 튀어나올 것만 같았다. 손녀는 뉴욕에서 태어나 돌 쯤에는 제네바로 옮겨가 살았다. 서너 살이 되어 유아원을 다닐 때는 방학 때마다 서울로 잠시 나왔다. 다섯 살부터는 뉴욕에 정착해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이다.
말이 늦은 손녀를 보면서 그때는 정말 많은 걱정을 했다. 또래와 비교하면 키도 크고 영민했다. 이해력은 빠른데 의사 표현은 알아들을 수 없는 자기만의 언어로 말했다. 어쩌면 영어 한국어 불어가 머릿속에서 뒤죽박죽이 되어 누가 먼저 나서야 하는지 순서를 정하느라 그러는 것은 아닌지 의아했다. 어쩌면 너무 어려서부터 이곳저곳으로 옮겨 다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생긴 스트레스 때문일 거라는 생각을 하니 안쓰럽기 짝이 없었다. 다행히 기질적인 결함은 없다고 하여 모두 긴 기다림의 시간을 가졌다.
오래전, 대선배님이 나이 들면 자연이 말하는 것을 알아듣고 그들과 대화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고 했다. 산림학 박사이신 선배는 일상에서 자연과 소통했던 일화를 들려주셨다. 자신의 수목원에 매일 곰이 나타나서는 공들여 키운 나무들을 마구 훑어 놓았다고 했다. 곰이 오지 못하게 약도 치고 고춧가루를 풀어 나무에 발라 보아도 효과가 없어 하루는 그에게 편지를 쓰기로 마음먹었다고 했다. ‘웅熊님, 보세요. 제발 나무에 올라가지 말아 주세요!’ 당당하게도 한글로 쓴 팻말을 나무 꼭대기에 매달아 놓았단다. 그런데 정말이지, 더 이상 곰이 나무 위로 올라가지 않고 나무 아래에서만 놀았다고 하니 이 얼마나 신기한 교감인가! 믿기 어려운 이야기였다. 그때 다짐했다. 손녀가 말을 잘할 때쯤 되면 나도 새로운 언어인 자연의 언어를 터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매일 수없이 많은 혼잣말을 하며 살아간다. ‘한 번 더 해봐!’, ‘괜찮아, 그럴 수도 수 있지!’, ‘난 할 수 있어!’와 같이 용기를 북돋우는 말, 자신을 위로하는 말, 자기 체면 같은 혼잣말을 한다. 신기하게도 이런 혼잣말은 가끔 힘이 되기도 하고 위로를 주기도 한다.
또 가끔은 ‘나는 누구인가, 무엇을 위해 사는가, 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 있는가’ 혼자 묻기도 한다. 이런 내면의 물음은 어쩌면 현존의 삶에서보다는 자연과 우주에서 그 해답을 구해야 할지도 모른다.
나는 이제 겨우 화초들과 말하는 것을 배우고 있다. 시들어 죽은 줄 알고 아무렇게나 내버려 두었던 아프리칸 바이올렛에서 새순이 나오는 것을 보며 ‘아, 너 아직 죽지 않고 살아 있었구나! 미안해!’ 밀려오는 큰 감동에 마구 말을 해대기도 한다. 그리고 마침내 보랏빛 꽃을 올렸을 때는 생명의 질김에 눈물이 나기도 한다. 어디 그뿐인가. 얼어 죽은 것 같아 구석에 처박아두었던 용설란이 어느 날 오동통한 꽃대를 올렸을 때도 ‘너 이렇게 크는 것도 모르고, 미안해….’하며 나의 홀대와 게으름에 변명을 늘어놓기도 한다.
자연에는 지름길이 없다. 아무리 바빠도 계절은 건너뛰지 않는다. 자연은 언제나 흐름을 거스르기보다는 순리를 따르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해주는 것 같다. 아침저녁 산책길에서 만나는 나무들, 나는 1000번을 봤어도 아직 한 번도 그의 언어를 발견하지 못했다. 나무가 하는 말, 나무가 알려주는 신호를 읽을 수 있게 되면 나무의 세계는 물론 우리 주변 세계도 이해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