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3. 두 랍비 이야기

[自思考]

by trustwons Feb 12. 2024

3. 두 랍비 이야기     


  두 사람의 랍비가 뜻하지 않게 같은 땅을 사려고 땅 주인을 찾게 되었다. 그중 한 사람의 랍비는 땅 주인에게 물었다.

“땅을 내놓으셨다 하기에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오 그래요! 그럼 저와 함께 땅을 보러 가실까요?”

  땅 주인은 그 랍비를 안내했다.

“어떻습니까?”

“예, 마음에 아주 드는군요. 그래, 땅값은 얼마면 될까요?””

“그러니까 평당.......”

  이때에 다른 랍비 한 사람이 오더니,

“자, 여기 있어요. 땅값!”

“아니 이럴 수가~ 내가 흥정을 하고 있는데........ 여 여보세요!”

“나 말인가요?”

“당신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무슨 문제인데요?”

“어떤 사람이 과자를 사려고 과자가게에 갔습니다. 그런데 과자가게에는 먼저 온 사람이 과자를 사려고 과자 품질을 살피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온 사람이 먼저 온 사람이 살피고 있던 과자를 냉큼 집어 들고는 주인에게 값을 치렀습니다. 과연 어떤 사람이 예의를 모르는 사람입니까?”

“그야, 말할 것도 없이 나중에 온 사람이 예의를 모르는 사람이지요.”

“이것 보시오! 당신이 지금 땅을 산 것은 나중에 와서 과자를 가로챈 사람이나 같습니다. 당신이 산 이 땅을 내가 먼저 흥정하고 있었습니다.”

“그, 그게 그렇게 되었습니까? 대단히 죄송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땅은 이미 계약을 해 버렸으니 어떡합니까? 좋은 방법이 없겠습니까?”

“음, 이렇게 하면 어떻겠습니까? 당신이 내게 그 땅을 파는 것입니다.”

“그, 그건 좀 곤란합니다. 내가 산 땅을 금방 다시 팔아버린다는 것은 남들이 볼 때 좋은 일이 아닙니다.”

“거 참!”

“그것보다는 내가 산 이 땅을 당신에게 선물로 드리는 것입니다.”

“선물이라 했습니까?”

“그렇습니다. 선물로.......”

“말도 안 되는 소립니다. 무엇 때문에 이 땅을 그냥 선물로 받는단 말입니까? 난 절대로 그럴 수는 없습니다.”

“그럼, 이 일을 어떡하지요? 음......... 별 수 없지! 이 땅을 학교에 기부하기로 하겠습니다.”

“그것 참 좋은 생각입니다.”     

두 랍비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상거래에도 예의가 있다는 것과 문제를 풀어가는 지혜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이 사는 곳에는 예의를 중요시할 때에 건강한 사회가 된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동물들이 사는 곳에서도 동물들의 질서가 있습니다. 누가 가르쳐서 된 것 아닙니다. 동물을 창조하신 분의 뜻이 담겨 있는 것입니다. 하물며 언어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창조자의 뜻이 없겠습니까? 자연에는 질서가 있고, 동물처럼 생명들에는 상생(相生)의 뜻이 있습니다. 더욱이 사람에게는 상생(相生)과 공존(共存)의 뜻이 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사랑하는 아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