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말그미 Oct 14. 2022

말이 짧다?

어, 응의 고찰

우리집에서 쓰는 차들은 모두 이름이 있다.

남편이 출퇴근용으로 쓰는 차는 재돌이,

가족모두여행용으로 쓰는 차는 캡돌이.


재돌이가 덩치도 더 작고, 연료비도 적게 들어서(우리 부부는 꿈의 연비라고 부른다. 1리터로 보통 20km를 넘게 가니까) 2명 이하로 어딘가 멀리 갈 때는 당연히 재돌이를 이용한다.


오늘 집에서 오송역에 갈 일이 있어 남편차를 빌려써야겠다고 그저께 언질을 줬더니, 어제 퇴근길 주차장에서 전화를 했다. 아마, 출퇴근용 차에 부착해야 할 회사주차증을 옮겨달아야 해서 그런 듯.


"마눌, 내일 차 쓰는 거 맞지?"


"어."


"오송역 간다고?"


"응."


"말이 짧다?"


"어~~~~~~~~~~~~

  음~~~~~~~~~~~~,

 그럼 뭐라고 하지?"


"하하하, 짧다고 하니까 그렇게 늘리냐? 됐다, 끝!"


마눌이 남편에게 뭐라뭐라 물어 볼 때면

대답이 짧았던 이유가 그제야 이해가 됐다.


어, 응 외엔 달리 할 말이 없더라니깐~

재미난 건 이 두 단어에 대해 찾아보니

공통점이 두 가지 나왔다.

하나는 둘 다 감탄사이고,

궁중악기 가운데 같은 이름을 가진 게 있다는 사실.

더 재미난 것도 있는데 아래 보실라우?^^



 &


1. 놀라거나, 당황하거나, 초조하거나, 다급할 때 나오는 소리.


"어! 폰이 물에 빠졌네."


2. 기쁘거나, 슬프거나, 뉘우치거나, 칭찬할 때 내는 소리.


"어, 진짜 대단해~."


3. 말을 하기에 앞서 상대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어, 저기다!"


* 유의어 = 아

 

* 헷갈림 주의

궁중에서 쓰던 타악기의 하나도 어(敔)라는 게 있다. 엎드린 범의 모양으로, 등에 27개의 톱니가 있어 견(籈)으로 긁어서 소리를 낸다. 음악을 그치게 할 때에 쓰던 것으로, 견의 끝으로 범 목덜미를 세 번 친 다음 톱니를 세 차례 긁어 신호한다.


* 놀라운 사실

어씨 성도 있다는 거 아세요?

물고기 魚를 쓰는 어씨는 우리나라 성씨 가운데 하나로 본관은 함종, 충주, 경흥이 현존한다네요. 생각해보니 강화도에서 벌어진 병인양요/신미양요 때 격전지에서 활약한 장군 이름이 '어재연'이었네요. 어재연 장군의 수자기가 유명하지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도 등장했던.



 & 응

1. 아랫사람이나 대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의 묻는 말에 대답하거나 부름에 응할 때 쓰는 말.


응, 맞아.


2. 상대편의 대답을 재촉하거나 다짐을 둘 때 쓰는 말.


약속했다, 응?


3. 남의 행동이 못마땅하여 질책할 때 하는 말.


너희들에게는 내가 봉이지, 응?


* 유의어 = 그래 / o (줄여서 초성만 쓰는 게 MZ세대어)


* 헷갈림 주의

예전에, 아악에서 쓰던 네모난 긴 통처럼 생긴 악기로 '응'이라는 게 있었다네요. 손에 쥐고 축과 같이 퇴로 밑바닥을 내리쳐서 축의 소리에 맞추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고 해요. 아까비~


이전 05화 어흥~ 잡아먹어버리겠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