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중독 : 중독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중독된 걸까?

    

 “하루에 유튜브를 8시간씩 봐요.” “섹스를 안 하면 불안해요.” “하루종일 게임 생각뿐이에요.” “하루라도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안 올리면 불안해요” “쇼핑 때문에 카드 한도를 초과해버렸어요.” 우리는 중독의 시대를 산다. 그래서일까? 우리가 어떤 대상을 반복적으로 즐길 때 세상 사람들은 우려 섞인 목소리로 말한다. “너 그거 중독이야.” 사실일까? 우리는 중독된 것일까?       


 중독이 무엇일까? 흔히 과도한 탐닉을 중독이라고 한다. 적확하지 않은 정의다. 어떤 일을 몹시 즐겨 그 일을 반복하더라도 중독이라고 말할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중독은 다채로운 세상을 오직 두 가지(중독된 대상-나머지 세상)로만 나누게 된 마음 상태다. 술(섹스)에 중독된 사람을 생각해보자. 그는 분명 가족, 친구, 직장, 취미 등등이 존재하는 다채로운 세상을 산다. 하지만 술(섹스)에 중독되면 그 세상은 오직 두 가지로만 구분된다. 술(섹스할 대상)과 술(섹스할 대상)이 아닌 것. 이런 마음 상태가 바로 중독이다.      


 분명 중독은 병적 상태다. 어떤 대상(술·도박·게임·섹스·SNS·쇼핑)에 중독될 때, 가족, 친구, 일, 취미가 같은 소중한 것들 모두 의미 없는 것으로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중독된 이에게 당연한 일이다. 그 소중한 모든 것들은 그저 중독의 대상이 아닌 것들일 뿐이니까. 우리는 중독의 시대를 산다. 적지 않은 이들이 중독이거나 아니면 중독으로 치닫고 있다. 중독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늦기 전에 물어야 한다. “중독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중독의 원인은 ‘기쁨’이다.

     

 먼저 중독이 왜 생기는지부터 알아보자. 스피노자라면 중독의 원인을 ‘기쁨’에서 찾을 테다. 당연하다. 애초에 기쁨을 주지 않는 대상에 중독되는 일은 없다. 술·도박·게임·섹스·SNS·쇼핑 등등 그 모든 것들은 기쁨을 준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은 항상 ‘기쁨’을 쫓는 존재다. 중독의 대상이든, 아니든 인간은 기쁨을 주는 것을 쫓을 수밖에 없다. 이에 스피노자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기쁨을 가져오리라고 표상하는 온갖 것을 실현하려고 노력한다. (에티카제 3정리 28)   

  

 스피노자의 말처럼, 인간은 ‘기쁨’을 줄 것이라고 예상(표상)되는 모든 것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그러니 당연히 인간의 정신 역시 ‘기쁨’을 쫓게 마련이다. 이에 대해 스피노자는 이렇게 말했다.      

 

정신은 신체의 활동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촉진하는 사물을 가능한 한 표상하려고 노력한다. (에티카제 3정리 12)     


 인간의 정신은 신체의 활동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촉진하는 대상, 즉 ‘기쁨’을 주는 대상을 가능한 한 더 많이 떠올리려고 노력한다. 축구가 취미인 직장인을 생각해보자. 그는 사무실보다 축구장을 가능한 한 더 상상(표상)하려고 한다. 왜 그런가? 그의 정신이 축구를 생각할 때 신체의 활동이 증대되거나 촉진되기 때문이다. 즉, 기쁨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간의 정신은 늘 ‘기쁨’의 대상을 더 많이 떠올리려고 한다.      


 그런데 의아하다. 중독의 원인이 ‘기쁨’이라고 하지 않았나? ‘기쁨’은 삶의 활력을 크게 해주는 감정 아닌가. 그 ‘기쁨’을 따라왔는데 왜 삶을 파괴하는 중독에 이르게 된 걸까? ‘기쁨’에도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이다. ‘기쁨’에는 ‘기쁜 기쁨’도 있지만, ‘기쁜 슬픔’도 있다. ‘기쁜 기쁨’은 처음에 기쁘고 그 기쁨이 쌓여 더 큰 기쁨이 되는 감정이다. 대표적으로 ‘사랑’이 그렇다.      


 반면 ‘기쁜 슬픔’은 처음에는 기쁘지만 그 기쁨이 쌓이면 어느 순간 슬픔이 되는 감정이다. 대표적으로 ‘음주욕’과 ‘복수심’이 그렇다. 이처럼 때로 어떤 ‘기쁨’은 삶의 활력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인간의 감정은 복잡하고도 미묘하다. 특정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기쁨’을 쫓는 인간의 정신은 우리를 ‘슬픔’으로 몰고 간다. 그 특정한 상황은 어떤 상황일까? 먼저 중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자. 



중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기쁜 일→과도한 탐닉→ 중독’ 이것이 세상 사람들이 이해하는 중독 발생의 메커니즘이다. 즐거운 게임을 하다가, 그것에 과도하게 탐닉하게 되고, 결국 하루종일 게임 생각만 하게 되고, 게임을 못하게 될 때는 불안해지고, 급기야 게임 이외의 것들에는 어떠한 관심도 갖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중독 상태에 접어들게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상하지 않은가? 즐거운 일을 자주해도 중독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게임을 자주 즐기지만 중독되지 않는 이들도 있다. 게임이 하고 싶을 때는 게임을 하고, 친구와 가족을 만날 때는 그들과 즐겁게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 그런 이들과 게임에 중독된 이는 무엇이 다를까? 세상 사람들은 중독 발생의 메커니즘을 잘못 알고 있다. 결정적으로 놓친 것이 있다. 중독의 진짜 메커니즘은 이렇다. ‘(   )→ 기쁜 일→과도한 탐닉→ 중독’ 여기서 ( )가 중요하다. 즉, 중독 발생에서 우리가 놓친 최초의 것은 무엇인가?       


 ( )안에 들어갈 말은 ‘절망’이다. 나는 한동안 알콜 중독이었다. 술은 내게 ‘기쁨’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 ‘기쁨’을 주는 술을 마시다가 과도하게 탐닉하게 되어 중독된 것일까? 아니다. 본격적으로 술의 ‘기쁨’을 만끽하기 시작했을 때가 언제였을까? 직장을 박차고 나온 지 1년 즈음 될 때였다. 작가가 되겠다고 호기롭게 직장을 뛰쳐나왔지만 뭐 하나 내 맘처럼 되는 일이 없었다. 생각만큼 글은 잘 써지지 않았고 계획했던 일들은 다 어그러져 버렸고 통장 잔고는 거의 바닥이 보였다.      


 생계를 책임지지 못하는 가장이 될까봐 걱정되었고, 좋은 글을 쓰는 작가가 되지 못할까봐 불안했다. 그 걱정과 불안이 점차 현실이 될 것만 같아 매일 공포에 휩싸였다. 걱정, 불안과 공포가 뒤엉켜 절망했다. 그 절망 속에서 술은 내게 매우 큰 ‘기쁨’을 주었다. 술을 한 잔씩 털어 넣을 때마다 직장을 뛰쳐나올 때의 호기로운 마음이 되살아나는 것 같았다. 조금씩 더 취할 때마다 ‘절망’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졌다. 



중독, 절망 속에서 ‘기쁨’을 쫓는 처연한 발버둥 

 

 술이 깨는 것이 두려웠다. 다시 절망에 휩싸일까봐. 늘 술 생각만 났다. 술이 깨기 전에 다시 술을 마셔야 했다. 술이 깨면 다시 그 지옥 같은 절망이 나를 찾아올 테니까. 그렇게 나는 술에 중독되었다. 알콜 중독은 술의 ‘기쁨’ 때문에 발생한 사달이 아니었다. 절망 때문이었다. 절망, 그것은 중독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이다. 중독의 원인은 ‘기쁨’이 아니라, 절망이다. 절망의 토양 위에 뿌려진 기쁨만이 중독을 촉발하니까 말이다. ‘기쁨’은 아무 잘못이 없다. 중독되면 다채로운 세상이 머릿속에서 사라지는 이유를 이제 알 수 있다.   

  

정신은 신체의 활동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사물을 표상할 때그러한 것의 존재를 배제하는 사물을 가능한 마음에 떠올리려고 한다. (에티카제 3정리 13)     


 “책을 읽던지 영화를 보던지 다른 일을 해봐” 술에 중독되어 있을 때 제일 듣기 싫은 말이었다. 술 이외에 다른 것을 생각할 수도, 하고 싶지도 않았다. 그때 술 이외의 것들은 나의 “신체의 활동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사물”이었으니까. 그래서 나는 “그러한 것(책, 영화)의 존재를 배제하는”하는 쪽으로 정신이 움직였다. 이는 당연한 일이다. 인간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신을 보존하는 쪽으로 살아가게 마련이니까.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각각의 사물은자신의 능력이 미치는 한자신의 존재를 끈질기게 지속하려고 노력한다… 각각의 사물이 자신의 존재를 끈질기게 지속하려는 노력(코나투스)은 그 사물의 현실적 본질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에티카제 3정리 7)   

  

 스피노자에 따르면,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자신의 존재(돌멩이, 씨앗, 나무, 인간 등)를 끈질기게 지속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쉽게 이해하려면 물리학적 ‘관성’을 생각하면 된다. 관성이 무엇인가? 정지해 있는 물체는 (외부의 힘이 없다면) 계속 정지해 있으려고 하고, 움직이는 물체는 (외부의 힘이 없다면) 계속 움직이려는 성질 아닌가. 이처럼, 세상의 모든 존재는 자신의 존재를 끈질기게 지속하려고 노력한다. 존재들의 이런 관성을 ‘코나투스’라고 말할 수 있다.     


 이 노력은(코나투스)이 정신에만 관계될 때는 의지라고 불리지만그것이 정신과 신체에 동시에 관계되어 있을 때는 충동이라고 불린다그러므로 충동은 인간의 본질 자체일 뿐이며그것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인간의 보존에 기여하는 것들이 나온다. (에티카제 3정리 9, 주석)  

   

 인간 역시 ‘코나투스’가 있다. 인간의 ‘코나투스’는 ‘의지’와 ‘충동’이다. 이것이 인간의 본질 자체이며, 이것들로 인해 인간의 보존, 즉 삶이 가능해진다. 목이 마른 상황을 생각해보자. 이때 인간은 자연스럽게 물을 갖고 싶다는 ‘의지’와 물을 마시고 싶다는 ‘충동’이 생긴다. 만약, 이런 의지와 충동이 없다면 인간은 자신을 보존(생존)할 수 없다. 중독은 이런 코나투스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단지, 그 ‘코나투스’의 발현이 절망이라는 토양에서 이뤄졌을 뿐이다. 술, 게임, 쇼핑, 섹스, 도박에 대한 ‘의지’와 ‘충동’이 발생하는 것은 절망 속에서도 자신을 보존하려는 코나투스의 발현이다.   

   

 누가 중독을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하는가? 중독은 어리석은 행동이 아니다. 처연한 발버둥이다. 불행한 현실 속에서 실낱같은 ‘기쁨’이라도 쫓아 어떻게든 살아보려는 처연한 발버둥. 자살은 중독된 대상조차 없는 이들이 하는 비극적 선택이다. 술을 마시고, 게임을 하고, 유튜브라도 볼 수 있다면, 중독된 대상이 하나라도 있다면, 불행한 현실을 어찌어찌 버텨 나갈 수는 있다. 중독은 불행한 현실 안에서 어떻게든 살아보려는 처연한 발버둥이다. 그래서 함부로 비난할 수 없다. 


     

중독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하지만 중독을 마냥 긍정할 수도 없다. 중독은 분명 병적인 상태니까. 중독은 절망 속에서 겨우 삶을 연명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중독은 최악은 아니지만 차악의 선택인 셈이다. 그저 살아있기 위해 중독되어 있는 삶. 다채로운 세상을 중독된 대상과 그것 아닌 대상으로만 보는 삶. 그것은 너무 불행한 삶 아닌가. 중독되었다면 혹은 중독을 향해 치닫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중독이 시작된 곳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절망이다. 절망하지 않으면 중독되지 않는다.      


 어떻게 절망하지 않을 수 있을까? 절망은 무엇인가? 일종의 환상이다. 절망은 현실인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절망은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불행한 현실일 뿐이기 때문이다. 불행한 현실은 현실이다. 하지만 그것은 절망이 아니다. 오직 내가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불행한 현실만 절망이 된다. 어떤 불행한 현실이 닥쳐왔을 때, ‘나는 그것을 결코 극복할 수 없을 거야’라고 마음먹을 때 만들어지는 상상. 그것이 바로 절망의 정체다.


 절망에서 벗어날 방법은 간명하다. ‘이 현실을 극복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벗어나면 된다. 하지만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절벽에서 매달려 있을 때 절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지독한 걱정, 불안, 공포 때문에 매달린 절벽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매달린 절벽이라는 현실을 극복하기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매달린 절벽에서 절망하지 않을 수 있을까? 손을 놓으면 된다.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놓을 때, 비로소 그 절벽이 천길 낭떠러지가 아니라 조금 깊은 웅덩이였음을 깨닫게 된다.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놓을 수 있는가?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놓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포자기인가? 그렇지 않다. 끝없는 절망을 끝낼 마지막 도약이다. 절망에 빠져 있다면 이 마지막 도약이 필요하다. 그렇다.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현실’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불행한 현실을 정면으로 맞서는 일이다. 절망이 찾아왔을 때, 술 대신 불행한 현실에 맞서면 된다. 그때 절망은 사라지고, 절망이 사라진 자리에 중독은 애초에 있을 수 없다.   

   

 물론 이 마지막 도약에는 크고 작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우리는 절벽에 아래 무엇이 있는지 알 수 없으니까. 하지만 이는 감당해볼 만한 위험 아닌가? 매달린 절벽에서 서서히 절망하다 죽느니 한 번 도약해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그리고 우리네 현실에 이 마지막 도약은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니다.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불행에 맞선다는 것은 그리 거창한 것이 아니다. 불행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그 현실 안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나가면 된다.     


 나는 어떻게 알콜 중독을 빠져 나왔을까? 생계가 걱정되었을 때 걱정만 하지 않고, 이러저런 일을 하며 돈을 벌었다.  물론 그 돈이 생계 걱정을 하지 않을 만큼의 액수였던 것은 아니다. 생계에 대한 걱정은 여전했지만, 적어도 절망하지는 않았다. 불행한 현실에 맞서보았기 때문이다. 좋은 글을 쓰지 못할까 불안했을 때, 불안에 떨기만 하는 대신 이런 저런 글을 썼다. 물론 그 글들이 좋은 작가임을 확인할 만큼 좋은 글은 아니었다. 좋은 작가가 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불안은 남았지만 절망하지는 않았다. 불행한 현실에 맞서 보았기 때문이다.



중독으로부터 해방

     

 돌아보니 그 모든 일은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놓고 마지막으로 도약하는 일이었다. 결코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불행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일이었다. 불행한 현실 그 자체와 절망은 아무 상관이 없다. 절망은 불행한 현실을 외면할 때 찾아오는 환상이기 때문이다. 불행한 현실을 직면하고 맞설 때 절망이라는 환상은 사라진다. 매달린 절벽에서 손을 놓았을 때 그것이 죽음의 낭떠러지가 아님을 깨닫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중독은 금지와 억압, 통제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것이 중독에 대한 가장 큰 오해다. 금지는 욕망을 더욱 불러일으킬 뿐이다. 조르주 바타유의 말처럼, “금기의 대상은 금지되었다는 사실 그 하나만으로 강력한 욕망의 대상이” 되니까 말이다중독으로부터 해방은 절망이라는 환상을 깨뜨리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내가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불행한 현실에 당당하게 맞서보는 것! 그것으로 기쁨을 주는 일을 건강하게 즐길 수 있고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절망이 사라지면 중독은 없다. 중독은 절망이라는 토대 위에서만 자라는 까닭이다. 나는 여전히 술을 마신다. 하지만 중독은 아니다. 알콜 중독으로부터 해방은 술을 끊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마시는 것이다. 원하지 않을 때 마시지 않지만 원할 때 마시는 것. 술은 이제 처연한 발버둥이 아니라 순수한 기쁨이다. 중독의 해방은 중독된 대상(술·게임·도박)을 끊는 상태가 아니다. 오히려 그 중독된 대상을 능동적으로 즐기는 상태다. 즉, 하고 싶을 때 하고. 하고 싶지 않을 때 하지 않는 상태가 바로 중독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다.                          

이전 11화 섹스 : 왜 섹스 뒤에 공허감이 찾아오나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