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직관

'직관'은 무엇인가?

 베르그손을 흔히 반反지성주의자라고 합니다. 의아한 표현이죠. 철학자는 누구보다 지성적인 이들 아닌가요? 그런 철학자들 중에서도 탁월한 지성을 보여준 이가 바로 베르그손입니다. 그런 이가 ‘지성’에 대해서 반대합니다. 왜 그럴까요?      


 베르그손은 지식에는 두 가지 지식이 있다고 말합니다. 상대적 지식과 절대적 지식입니다. 상대적 지식은 무엇일까요? 어떤 대상을 특정한 관점에 의해서 파악한 지식이에요. 반면 절대적 지식은 어떤 대상 그 자체를 온전히 파악한 지식이에요. 베르그손에 따르면, 비교, 분류하고 분석하는 ‘지성’은 상대적 지식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고, 절대적인 지식은 오직 ‘지속’하는 ‘직관’에 의해서만 파악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직관'은 어떤 것일까요? 


직관은 무엇보다도 내적 지속과 관련된 것이다직관은 몇 가지 대상을 비교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아니다직관은 어떤 현상이 잇따라 일어나는 사태 자체를 파악하는 일이다.  사유와 운동』 앙리 베르그손


 이는 어려운 말이 아니에요.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봐요. 우리는 그 사람을 알고 싶죠. 이때 그 사람을 알 수 있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지성’(상대적 지식)과 ‘직관’(절대적 지식)입니다. ‘지성’은 비교‧분류‧분석하는 일이죠. “이전 연인에 비해 키가 크고(비교), MBTI는 ‘ESFJ’형(분류)이니까, 이 사람은 외향적이고 감정적인 사람이겠다.(분석)” 이처럼, 그 사람을 ‘지성’적으로 파악할 수 있죠. 하지만 이는 그 사람의 상대적 지식일 뿐이죠. 달리 말해, 그 사람 자체를 온전히 파악한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그 사람 자체(절대적 지식)에 대해서 온전히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직관’입니다. ‘직관’은 ‘지속’ 속에서 그 사람을 보는 일입니다.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의 미세한 표정 변화, 비가 오는 날에 조금 달라진 목소리, 손을 잡았을 때 미세한 떨림 등등. 그 사람과 함께 하며 그 사람에게 잇따라 일어나는 사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때 우리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진정으로 알게 되죠.      



'지성'보다 '직관!'


 베르그손은 철학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지성’이 아니라 ‘직관’이라고 말합니다. 무엇인가를 진정으로 알게 되는 것은 ‘지성’이 아니라 ‘직관’에서 의해서만 가능한 일이니까요. 왜 그럴까요? ‘지성’이 비교‧분류‧분석할 수 있는 이유는 고정된 시간·공간과 관계하기 때문이죠. 한 사람을 키와 몸무게, 혹은 MBTI를 통해 파악하는 것은 정신 속에 특정한 시간·공간을 상정해 놓고 비교‧분류‧분석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한 사람을 온전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는 언제나 변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성’은 공간을 분할하고 시간을 고정하기 때문에 진화 혹은 변화되어 가는 상황(생성:becoming)을 볼 수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 즉 늘 생성되는 과정속에 있는 세계는 오직 ‘직관’으로서만 파악 가능합니다.       

 

 베르그손은 “지성은 자연이나 있는 그대로의 생명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이 난해한 말 역시 이제 이해할 수 있죠. 많이 공부(지성)하면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을 수 있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자연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요. 자연 안에서 별도로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건 단 하나도 없습니다. (우리가 파악할 수 있든 그렇지 않든) 반드시 어떤 연결고리를 통해서 다 연결되어 있어요. 모든 것은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속’적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근대 교육이 만들어 낸 ‘지성’의 역할이 무엇인가요? 몇 가지 대상들을 비교하고 그것을 토대로 분류하고 분석하죠. 우리는 아름다움을 어떻게 포착하나요? ‘아름다움’과 ‘추함’을 구분하고 분절시키죠. ‘지성’적인 인간들이 제일 잘하는 건 ‘분석’이죠. ‘Analysis’는 다 쪼갠다는 뜻이에요. 이런 비교·분류·분석으로는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끊임없이 변해가는 세계(자연) 그 자체를 결코 파악할 수 없습니다.     



MBTI로 한 사람을 알 수 있을까?


 MBTI로 한 사람을 파악할 수 있을까요? 그보다 더 정교하고 세련된 분석 틀이 나오면 가능할까요? 그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서양 철학사에서 인간의 마음을 가장 정밀하게 분석하는 틀 중 하나가 프로이트에서 라캉으로 이어지는 정신분석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이런 정신분석학은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는 한 사람의 마음(무의식)을 비교·분류·분석해서 명료하게 설명해주는 것 같지만 끝에 가면 이상해집니다.      


 인간을 조각내서 비교하고 분류하고 분석하는 방식으로는 있는 그대로 인간을 이해할 수 없어요. 한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냥 통으로 받아들이는 거예요. 예컨대, 한 사람을 ‘강박증’과 ‘히스테리증’로 구분하는 것이 지혜로운 건가요? 세상에 히스테리적이기만 한 사람이 어디 있고, 강박적이기만 한 사람이 어디 있나요? 상황과 조건에 따라 미묘하게 변하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정신분석학을 조금 공부한 이들은 한 사람을 만날 때마다 “저 사람은 정신병일까? 신경증일까? 도착증일까?” “신경증이라면, 강박증일까 히스테리일까? 공포증일까?”라고 분석하려고 합니다. 이건 틀을 정해 놓고 그 안에 들어가는 것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다 잘라 내서 한 사람을 이해하려는 방식이잖아요. 이런 방식으로 한 사람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죠.      



베르그손이 '지성'을 반대한 이유


 자연 현상도 마찬가지입니다. ‘책’을 ‘책’이라고 본다면 여러분들은 ‘지성’적인 인간인 거예요. ‘책’, ‘물병’에서도 ‘세계’ 전체를 볼 수 있어야 해요. 미신이나 사이비 종교 같은 말을 하려는 게 아니에요. ‘책’을 ‘책’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책’과 ‘책이 아닌 것’으로 구분했기 때문이에요. 베르그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책에서도 끊임없이 떨리고 있는 분자, 원자, 원자핵, 중성자 단위, 쿼크 단위까지 볼 수 있어야 해요.     

 

 베르그손은 비교·분류·분석하는 ‘지성’적 작업으로는 한 사람도 세계도 제대로 볼 수 없다는 걸 깨달은 거예요. 이것이 베그르손이 반지성주의자인 이유입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지성주의로는 베르그손을 이해할 수 없을 겁니다. 세계를 ‘직관’으로 본다는 것은 ‘지속’을 본다는 거예요. 우리가 ‘책’을 볼 때 인식과 인지 능력의 한계 때문에 그 ‘책’이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기랑 만나 산화되며 계속 떨리고 있는 상태에요.


 우리는 언제 이 차이를 눈으로 볼 수 있나요? 지금 내 눈 앞에 있는 ‘책’을 찍고, 100년 후에 그 ‘책’을 다시 찍어서 비교해 볼 때이겠죠. 그 100년 사이에 책이 닳고 색깔이 바래진 그 급격한 차이를 통해서만 책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을 테죠. 이는 인간이 가진 인식의 한계 때문에 벌어진 일일 뿐입니다. 실제로 그 책은 매분, 매초, 조금씩 계속 변화해오고 있었던 겁니다.      

 

 ‘직관’으로 세계를 본다는 것은 이런 ‘지속’되고 있는 세계를 본다는 의미에요. ‘직관’은 시간에 관계해요. 정확히는 ‘지속’에 관계하죠. '직관'이란 흘러가는 시간(지속) 개념을 통해 이 세계를 파악하는 거예요. ‘공간화된 시간’에서 벗어나 진정한 시간, ‘지속’을 통해 세계를 파악할 수 있을 때, ‘직관’이 발휘되는 것이죠. 만약 우리의 ‘직관’이 아주 섬세해진다면, 어제의 책(너)과 오늘의 책(너), 혹은 1시간 전의 책(너)과 지금의 책(너)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게 되겠죠. 

이전 02화 지속과 기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