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재성 Mar 14. 2016

M/T EXXON VALDEZ

역사에 남은 배들

VLCC라 불리우는 선박들이 있다. 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의 약자로 통상 DWT(Dead Weight Tonnage :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적재물의 최대중량) 150,000톤에서 300,000톤에 이르는 대형 원유운반선을 뜻하는 말로써 주로 산유국에서 정유시설을 갖춘 항만으로 대량의 원유를 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선박을 칭한다. 


2007년 12월 7일, 우리나라 서해의 태안반도 인근에서 발생한 기름 유출사고에서 주범으로 몰렸던 Hebei Spirit호 역시 이 부류의 선박이었는데 전체 원유도 아닌 12,547Kl의 기름 유출만으로 한동안 서해안을 기름범벅으로 만들어 버리는 대참사를 보여준 바 있다. 물론, 선박에 승선하는 선원의 입장에서 투묘대기중인 선박을 들이받은 해상기중기에 기름유출의 과실이 훨씬 크다고 생각하지만 그런 생각과 상관없이 결과만 놓고 봤을 때 이미 참혹하기 이를데없는 ‘대형사고’였다. - 당시 태안 원북면으로 기름닦으러 가서 나흘정도 머물다 왔는데 사진기를 들고 자주 찾았던 신두리 해변이 시커먼 기름으로 얼룩진 것을 보고 망연자실했던 기억이 아직도 악몽처럼 남아있다. 


이처럼 원유는 적은 량이 유출되어도 주변 해상환경을 완전히 망쳐버리는 오염물질이기도 하다. 당시 태안지역의 피해상황만 봐도 지역주민집계 피해액이 4조 2천억원이 넘는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참혹한 해양오염사고로 남은 태안 Hebei Spirit호 사건. 하지만, 이 참혹한 피해를 가볍게 뛰어넘는 대형사고가 이미 있었으니 바로 1989년 3월 24일 벌어졌던 알라스카의 Exxon Valdez호 사건이 바로 그것이다. 


1989년 3월 24일, 항해중 빙산군을 피하려다 암초와 충돌한 Exxon Valdez호에서 충돌부위의 격벽이 찢어지며 싣고 있던 원유 25만배럴(1,749,000Kl)이 유출된다. 역대 35위에 해당하는 유출량.

선체에 남은 원유를 shifting하는 중. 하지만, 때는 늦었으니....

하지만, 원유가 유출된 위치가 문제였다. 대표적인 청정구역으로 꼽히는 알라스카 프린스 윌리엄스 해협은 청어와 연어등 미국인들이 가장 즐기는 생선의 보고였으며 서식하는 동물들 역시 그 가짓수와 머릿수에서 미국 최고의 생태공원이라 부를만한 곳이었던 것. 


보고된 바에 따르면 기름유출로 인해 바닷새 60여만마리, 250여마리의 대머리 독수리, 300여마리의 바다표범, 3천여마리의 해달이 몰살을 당했고 해협 주변에 서식했던 범고래 36마리 가운데 14마리가 죽음을 당했다. 재산 피해역시 엄청났는데 사고후 1년간의 방제비용만 20억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이후 환경 재건 비용으로 34억불이 소요되었다. - 당시 사고사인 Exxon은 시간당 16.96달러를 지불하고 인부들을 고용해 해변으로 몰려온 기름을 제거했는데 태안사고 당시 넋놓고 있던 삼성중공업과 상당히 비교되는 상황과 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Exxon은 법원에서 명령한 손해배상금보다 더 많은 배상금을 지불했으며 사고수습에도 계속적으로 나서는 등 우리나라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최악의 오염사고를 낸 석유메이저'라는 오명은 끝끝내 벗지 못하고 있다. 


1994년, 알라스카 주법원은 Exxon에게 50억달러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선고했으나 Exxon은 항소했으며 사고 19년후인 2008년 6월, 연방대법원은 비로소 25억달러의 손해배상을 명령하게 된다.  


이 사고는 당연히 이후 유조선에 대한 관리감독 및 구조에 대해서도 큰 변화를 불러오게 되는데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국제해사기구)에서 제정했던 MARPOL 73/78(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rom Ships : 선박으로부터 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에서 채택한 73년, 78년 의정서)이 강화되고 새로운 규정이 삽입되는 계기가 된다. - 이후 유조선의 이중선체구조, 평형수(발라스트 워터)관리규정등이 새로이 추가된다.

이전 07화 COSTA CONCORDIA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