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헌윤 Dec 05. 2020

상처, 길을 잃고 길을 찾다

“히말라야 설산에는 길이 없다. 인간의 앞쪽으로 뚫린 길은 없다. 길은 몸으로 밀고 나간 만큼만의 길이다. 그래서 길은 인간의 뒤쪽으로만 생긴다. “

어느 날 자고 일어났더니 익숙하고 편했던 길이 사라져 버린 기분이 드는 2020, 2021년이다.

세상은 인류에게 새로운 문제에 질문을 던졌고, 새로운 삶의 철학과 길을 개척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 시류에 맞물려서 일까? 예전에 읽었던 소설가 김훈 선생님의 글이 새벽 미몽과 함께 깨어났다.

상처로 인해서 인생의 길 뒷전으로 밀린 것 같을 때는 어떡해야할까? 인생을 길을 잃었을때는 어떡해야할까?

먼저 길을 잃는 경험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그 잃어버림을 통해 역설적으로 진정한 자신만의 길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여기에 실패가 존중되는 ‘창조적 파괴’가 곁들여진다면 그 길은 더 내실 있게 다가올 것 같다.

상처의 비바람 맞으며 우리는 하루하루 세상살이를 이어간다.

산다는 것은 어쩔 수 없이 온갖 상처, 시련을 헤쳐나가며 길을 찾아가는 여정 같다.

세상은 우리에게 다양하게 다가오지만, 무엇이 정답인지 알려주지 않는다.

숱한 좌절과 부침 속에 하루하루 몸으로 깨지며 배운 깨달음만이 자신만의 등대가 되어 줄 수 있다고 믿는다. 



*몽블랑 트래킹 중 사진_Jul 24, 2018

이전 08화 상처와 성숙: 고통의 모래알이 진주로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