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봄, 우리 엄마
엄마가 돌아가시기 전 늦은 봄,
해운대 달맞이길 눈부신 벚꽃도 시간에 떠밀려,
옛 가수 '김만수'의 노래 가사처럼 하늘과 땅 사이 꽃비로 내렸고,
연일 내리는 봄비에 걸친 실루엣 마저 벗어버렸지.
"엄마, 시간 내 달맞이길 벚꽃 구경 가자."
"얘야! 벚꽃은 집 주변이나 뒷 산에도 지천으로 폈는데, 너 바쁜데 괜찮아...",
그 쉽고 흔한 약속도 바쁘다는 핑계로 지키지 못하더니,
"엄마, 벚꽃 구경은 내년에 가고 곧 해운대모래축제도 있고, 송림공원에 수국이 알록달록 이쁘게 펴, 구경하고 근처에 있는 식당 가서 맛있는 밥이라도 먹자." ,
엄마가 하늘나라로 떠났을 때, 입발린 그 약속도 하늘나라로 동행했지.
늦은 봄 해운대 해변이나 동백섬을 걷게 되면, 구경하고 놀다가 맛있는 밥이라도 함께 먹고 즐기지 못한 엄마와, 그 계절과의 이별이 사무치고 그리워지는 건 그리움일까, 상실감일까.
<밥 먹고 이별하자>
달맞이길 벚꽃 지고 송림공원 수국 피면
해운대 늦은 봄아,
밥이나 먹고 이별하자.
백사장 고운 모래 쌀베기에 듬뿍 담아
해운대 에메랄드빛 바닷물 넣고
자전과 공전으로 일렁 일렁 씻어
동백섬 뜬 해로 밥 짓고 뜸 들이면
지구 밥상아 해운대 냄새 진동하니
슬픈 늦봄도 서글픈 식욕 돋지.
위도와 경도에 홀로 선 계절아
내년에 볼 수 있게 풍족히 먹고 가자
해운대를 넣어 지은 밥
엄마 마음으로 지은 밥
밥이나 먹고 이별하자
울 엄마, 늦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