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명상하는 마케터 Oct 20. 2022

행복이라는 가면

2012년 5월


어린 시절 스키, 스노보드, 플루트 등 친구들이 할 수 없는 각종 스포츠와 악기를 배웠고 친구들이 부러워하는 대상이 되곤 했다. 무엇이든 '남들이 하지 않는 무언가를 할 때’ 우월감을 느꼈고 부러워하는 시선을 즐겼다. 이중생활은 이때부터였던 것 같다.


학교에서는 잘 사는 집 아이로 행복한 척했다. 하지만 내게 집은 감옥이었다. 집에 있는 시간은 긴장의 연속이었다. 엄마와 아빠가 함께 있는 것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핵폭탄을 품고 있는 것과 같았다. 조금이라도 큰 소리가 날 기류가 흐르면, 내 심장은 쪼그라들었다.

전혀 행복하지 않았다. 하지만 남들에게 그런 모습을 들키기 싫었다. 그래서 사람들 앞에서는 '행복한 가정에서 자란듯한 아이’의 모습을 보였다.


핵폭탄이 언제 터질까, 조마조마한 시간은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졌다. 다행히 중학교 때 나의 분노가 극에 달해 부모님에게 엄청난 충격을 준 ‘식칼 사건’ 후, 서로 조심했다. 그러나 여전히 극도로 긴장했고, 행복이라는 가면은 벗지 못 했다.


나는 매 학년마다 친구들을 갈아 치웠다. 매년 반이 바뀌어 친한 친구들과 떨어지는 것은 내게 축복이었다. 가면을 1년만 잘 보여주면 되니 말이다. 그렇게 나의 인간관계란 일 년용이었다.


그러다가 4년을 함께 보내야 하는 동기들이 있는 대학에 왔다. 시간이 지나도 사람들이 바뀌지 않는 공간은 낯설었다. 그래서 나는 대학에서도 새로운 공간을 계속 찾아다녔다.


대학 졸업 후 7년째인 현재. 대학에서 만난 인연 중 소수만 남았다. 그중 나를 잘 아는 친구를 만나면 불편했다. 왜냐하면, '나'를 너무 잘 알고 있으니까. 친구가 내게 행복한 척하지 말라고 했을 때, 무슨 말인가 싶었다.

내 글을 본 사람들은 글에 묻어 있는 '우울한 모습들’을 잘 찾아냈다. 나의 우울을 감지한 지인의 도움으로 무의식 속 깊은 곳에 있던 '행복하지 않은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지금껏 단 한 번도 행복한 적이 없다’


‘행복하지 않은’ 나는 새로운 일을 시작해도, 금방 싫증이 났다. 어차피 행복하지 않을 테니까… 무기력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해야 하는 모든 일에서 손을 뗀 채, 음악을 듣거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며 시간을 죽이는 것. 혹은 맥주를 마시는 것 뿐이었다.


여전히 나는 가면을 쓰고 사람들을 만난다. 변하려면 나는 무얼 해야 하지? 나를 진정으로 행복해 줄 수 있는 것을 찾는 거? 지금까지의 나를 다시 분석하는 것?


일단 내 진짜와 하나가 될 정도로 딱 붙어버린 행복의 가면을 조금씩 벗겨내야겠다. 가까운 사람들에게 민낯을 보여주는 것부터 시작해야겠다. 그렇게 조금씩 가면 벗은 모습을 보이는 것에 익숙해지면, 다른 것들도 조금씩 나아지리라 믿고 싶다.

이전 17화 관계에 대한 불편한 진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