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10여년의 워킹맘 시절을 접고 다른 시대를 열었으니, 바로 전업주부의 시대였다.
2018년 10월 전업주부의 가사노동의 가치가 연간 2,315만원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정부가 밝혔는데, 이를 굳이 들추어내지 않더라도 (통계청, 2014년 기준) 주부는 엄연한 직업이다. 나만 하더라도 직장 다닐 때 가사도우미를 써본 적이 있으니 가사가 현금화가 가능한 노동영역이라는 것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영화 인크레더블2에서 미스터인크레더블인 밥이 말한, ‘주부의 역할은 영웅적인 것이다. 제대로만 한다면.’처럼.
세상 어떤 직업이 그렇듯 업무분장이라는 것이 있고 직업의식이 있어야 하고, 책임과 권리가 있고, 충분한 낭만도 있고 퇴직욕구도 있다.
아이 친구 엄마와 얘기하다가 그 엄마가 “글쎄 우리 아이가 엄마 직업을 ‘전업주부’라고 적어놓은 거예요” 라며 부끄러움일지 쑥스러움일지 모를 감정을 내비칠 때 나는, 주부는 당연히 당당히 쓸 수 있는 직업이라고 말했다. 시간을 들여야하고, 물리적,정신적 힘을 이용해야하고, ‘대체 가능’하다는 그 점이 오히려 ‘노동’이라는 것이라고.
그리하여 전업주부로 전직한 나에게 말못할 고통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권태였다. 가사노동의 가치와 업무분장의 문제와는 별개로, 시간제약이 없고 한없이 나의 주도적이라는 그 점이, 제약이 없음으로서 얻어지는 한없어 보이는 자유가, 다른 이름의 제약이었고 다른 이름으로 권태였다. 나의 시간의 주인이 되는 달콤함에 대한 대가는 무기력 혹은 권태였다. 인간의 자유의지라는 것은 절대로 순수하게 발현되지 않고 어쩌면 의무와 강제성에 주로 의한 상대적인 것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은, 마치 성악설을 인정하는 것만큼이나 괴로웠다. 그렇다, 나는 하루종일 누워있기도 했다.워킹맘이었을 때는 눈 한번 깜짝거리고 화장실 한번 갔다오는 것도 바쁘더니 극과 극인 삶이었다. 쇼펜하우어는 삶은 고통과 권태를 오가는 진자라고 했다는데, 나또한 느꼈다, 외롭거나 괴롭거나 둘중 하나인건가?하고. 아이 친구 엄마들의 모임에서 나는 종종 느꼈다,대체로 만나지 않으면 외롭고 만나면 괴롭다.
물론 그렇다고 이 선택을 후회할 만큼 이 사실이 싫은 것은 아니었다.사는 곳을 송두리째 바꾼다고 해서 ‘내’가 바뀌는 마법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 나는 결코 자립적이거나 의지가 강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 자유란 어느 정도의 제한이 있을 때 빛을 발한다는 것, 현대인은 의지를 어느 정도는 강제로 구매해야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권태와 맞바꿀 진실인 것이다. 이제 뻔해진 이 일상이, 나이탓인지는 모르겠으나 전혀 크리스마스 기분도 송년 기분도 나지 않고 그 좋던 책도 책에 관한 것들도 여행조차도 시들한 지금은, 그 시들해하는 것이, 한껏 시들해하면서 견디는 것이 지금의 내가 할 일인 것이다. 청소를 하고, 빨래를 하고, 널고, 개고, 간식을 챙겨주고, 저녁을 만들고, 잔소리를 하고, 불을 꺼주고. 매일 매일 특별할 것도 재미있을 것도 없는 이 진짜 일상을, 시들해하면서도, 지긋해하면서도 지키고 견뎌야하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렇게 빨래와 청소를 무심하게 하는 것을 마치 목표처럼 추구해야한다는 것을, 아픈 몸을 일으켜 매일 쳐들어오는 적과 같은 빨래를 개고 넣으면서, 깨달았다. 나는 이제부터 이 시시함을, 어떤 극적인 사건도 재미도 없을 타지에서의 일상을, "아,모두 시시해.뭐 재미있는 일 없나"라는 말은 금기어라도 되는 것처럼, 견디는 것이 유일한 나의 목적인 것처럼 무사하게 견뎌야하는 것이다.
마치 산티아고 순례길을 일부러 걷는 것처럼,그저 걷고, 걷고, 시작과 끝만이 존재함을 알수 있는 건 나에게 주어진 하루뿐이다. 그리고 이 권태를 견딘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무언가가 분명히 존재한다. 몽테뉴의 수상록에서처럼 "행복은 불행이 없는 상태" 임을 허락하는 것, 이것이 나의 달콤하고도 쌉쌀한 권태의 숙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