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연emi Sep 06. 2020

5. 그림작가로서의 자세

5. 그림 작가의 역할

그림책은 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글이 없을 수는 있어도 그림이 없는 경우는 없죠. 글만 있으면 그건 소설이니까요.

그림책에서 글 작가와 그림작가가 나누어진 경우를 보면 보통 글 작가는 그림을 그리지 않아요. 너무 당연한 이야기인가요.

반면 글 그림을 한 작가가 한 경우 그림을 그리는 작가가 글도 쓴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글 작가가 그림을 배워서 자신의 글에 그림을 그리는 경우는 찾아보면 있겠지만 정말 특별한 경우예요.

지금은 한 작가가 글 그림 다 하는 것 말고 원고를 받아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를 말씀드려요.

이 부분은 말씀드리기 조심스러운 부분 중 하나예요.

그래서 제 이야기에 동의하지 않으면 그냥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림책에서 그림작가는 그림만 그릴 수 있어요.

이 경우 글을 받아야 하지요.

작품의 그림을 담당할 경우 그 책의 뼈은 ‘글’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림작가들은 그 뼈에 살을 만드는 거죠.

어떤 분들은 나도 작가니 이 글을 새롭게 해석해서 그림을 그리겠다고 주장하는 분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글쎄요. 그림책에 글과 그림이 있지만 보이지 않는 요소들이 있어요.

예를 들어 디자인이지요. 그림책에 글자를 어떤 폰트로 할 것인지, 자간, 행간 등 보이지 않는 많은 요소가 집약되어 만들어지는 게 책이에요.

여기서 디자이너도 나도 책에 내 생각을 넣고 싶다며 무언가를 하면 어떻게 될까요?

책 한 권이 만들 때 오케스트라처럼 자신의 영역이 있답니다.

그러나 지휘자는 한 명이 에요.

그림작가까지 합세해서 지휘할 경우 2개의 관점이 책을 이끌어 가게 되는 것이지요.

어린 독자들은 한 가지 논점을 가지고 이야기해도 어려워할 수 있는데 2가지 논점을 가지고 이야기한다면 과연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완성될까요? 그림책 그림작가는 그냥 손만 빌려주는 사람인 건가요?

물론 그렇지 않아요.

받은 원고를 잘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 그래서 글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그림책 그림작가가 가져야 할 자세라 할 수 있어요. 나도 나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싶다.

그 마음은 이해해요.

만약 내가 그런 사람이라면 본인의 창작 그림책 작업을 준비하는 편이 좋을 것 같아요.


이전 08화 4. 글 자리와 레이아웃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