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연emi Sep 15. 2020

2. 스케치와 채색

여유 주기

스케치와 채색방법은 작가마다 천차만별이에요. 각자의 작업 방식이 있으니까요. 여기서는 기본적인 주의사항만 적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요. 그림책 원화는 요즘 크게 3가지로 나뉘는 것 같아요. 1. 종이에 그리는 원화 2. 컴퓨터 작업 3. 1과 2가 혼합된 형태 각 부분마다 유의할 부분이 다른데요. 제가 그림책 제작 과정을 간단히 언급해 드린 부분이 있는데 여기선 약간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위의 1번 종이에 그리는 원화, 클래식한 의미의 원화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원화를 출판사에 주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a. 원화 완성  b. 드럼 스캔   c. 데이터화  d. 색보정 및 텍스트 삽입   e. 시험 인쇄(감리)   f. 제책

2번 컴퓨터 작업은 c의 단계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포토*, 프로 크리에이*,... 어떤 도구든 생관 없습니다. 종이 원화 없이 데이터가 원본인 상태가 되는 거지요.

3번은 종이 그림이 있지만 소스로 활용한 상태입니다. 종이에 그림에 필요한 소스를 따로 그리고 스캔받아 데이터화한 후 컴퓨터로 이미지를 합성하는 형태인거지요. 왜 이렇게 귀찮은 과정을 거치는 거지?

1번이나 2번 방식으로 그리는 방법을 모두 알아야 할 수 있는 작업 방식인데요.

컴퓨터가 아무리 발달해도 컴퓨터로 낼 수 없는 효과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이고 데이터화 시켜 합성하는 이유는 컴퓨터로만 낼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에요.

뭔 소리야. 예를 들어 <내 모자 어디 갔을까?>의 존 클라센은 종이에 곰, 동물, 돌, 풀등을 따로 그린 후 스캔받아 컴퓨터로 합성합니다. 그러면 간격이나 배열 또 같은 그림을 또 그린다거나 할 필요도 없고 중첩 같은 효과도 쉽게 표현할 수 있지요.

<내 모자 어디 갔을까?>


참고로 저도 3번 방법으로 주로 그림책을 만듭니다. 어떤 식으로 만들든 그건 본인의 자유입니다. 그래서 원화 만들 때 주의할게 뭔가요? 원화 제작할 때 주의할 점은 최소 약 5mm 정도 사방으로 여유를 주고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에요. 최소 5mm 여유를 주라는 거지 5mm 크게 만들라는 뜻은 아니에요. (1cm 여유도 좋아요.) 이건 또 뭔 소리야. 그림으로 설명해 드릴게요.

위의 그림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위 그림의 분홍색 영역이 내가 생각한 내지의 장면이라면 빗금 친 부분만큼 더 그려주셔야 해요. 왜 5mm 더 여유를 주라고 하느냐 하면은요. 위의 책 만드는 순서중 f 때문입니다. 제책? 책을 만든다는 뜻 아닌가? 맞아요. 제가 인쇄하는 방법에 관해 이야기했었는데 기억하시나요? 집에서 간단히 시험해 보면요. a4 용지에 간단히 인쇄 영역 표시를 하고(앞뒤로) 두 번 접어 보세요. 그러면 한쪽에 4장이 묶이는 부분이 생길 거예요. 거기를 묶는다고(아래 그림의 초록색 제본) 생각하시면 돼요. 그리고 자르는 거죠. 이때 문제가 생기는데요. 아무리 기계로 잘라도 오차가 발생한다는 거예요.

사이즈가 너무 딱 맞으면 책 가장자리로 하얀 띠가 생겨버려요. 그림이 잘려나갈 수도 있고요. 이 부분 때문에 1,2,3 어떤 방식으로 그림을 그려도 꼭 여유를 주셔야 하는 거랍니다. 흰 띠가 생기면 그 내지는 다 버려야 해요. 그림이 너무 잘리면 레이아웃이 이상해질 수 있고요.

꼭 여유를 주시고 조금 더 채색해주세요.

이전 15화 - 그림의 역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