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원 Oct 20. 2023

나에게 보내는 최고의 찬사

아무하고도 바꾸고 싶지 않은 삶 

요즘 뭐하냐는 질문에 딱 떨어지게 대답하기 어려운 삶을 살고 있다. 명사로 말하기는 더더욱이 어렵다. 서른을 코앞에 둔 나는 한 방송국 홍보팀에서 계약직으로 일한다. 계약직의 단점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여기서 일해요”라는 말 뒤에 꼭 부연 설명이 붙게 된다. 그 회사에 다닌다고 말하기에는 비정규직이고 “오~”하는 상대의 반응이 나오면 괜한 양심에 찔리기 때문에 그 전에 먼저 실토한다. 근무는 언제까지이고, 그때가 되면 나는 다시 경력 이직을 노리는 취준생이 될 거라고. 남들이 어떻게 볼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하게 나를 낮추고 시작하는 게 마음이 더 편했다. 


다른 사람들이 나를 그렇게 봐도 괜찮은 이유는 따로 있다. 나는 저녁에는 글 쓰는 사람이 된다. 정확히는 작가 지망생이다. 드라마 작가를 꿈꾸며 교육원에 다닌다. 극본을 연습하고 틈틈이 쓰고 싶은 수필을 쓴다. 지망생의 신분에도 장단점이 있다. 가장 큰 건 내가 더 잘난 무언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은 사람이라는 것. 이는 사회에 얕보이지 않을 무기가 되어주지만 사실 직역하면 지금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뜻이다. 지망생은 나를 증명해주는 신분은 되지 못하니까. 그래서 요즘 내 소개는 이렇다. 

     

“홍보팀에서 계약직으로 일하면서 드라마 작가 교육원에 다니고 있어요.” 

     

내가 생각해도 퍽 웃기는 자기소개다. 둘은 상호 보완관계라 어느 하나라도 빠지면 안 된다. 전자는 어떻게든 먹고 살길은 확보하고 있다는 방증이고 후자는 이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을 거라는 의지를 내포한다. 계약직이나 지망생만 남으면 답이 없지만, 합쳐지니 꽤 그럴듯해 보였다.

 

애써 평균을 만들어준 이 문장을 확보하기까지도 오랜 노력과 다짐의 시간이 들었다. 사람마다 목표와 한계치는 다 다른 거니까. 나는 어정쩡한 상태가 한데 모인 이 조합이 마음에 든다. 늘 해내고 또 실패했던 나를 그대로 대변해주는 것 같아서. 긴 서사를 들어야만 비로소 이해할 수 있는 삶은 얼마나 매력적인가. 어느 명사로 나에 대한 설명이 끝나버리면 오히려 더 서글퍼질 것 같았다.

     

이런 각오가 꼭 형편없이 무너지는 때가 있는데 부연 설명이 의미 없는 곳에 갔을 때다. 며칠 전 청담으로 결혼식을 다녀왔다. 부모님 지인들이 다 모인 자리라 얼굴을 보이고 인사드리는 게 주목적이었다. 오랜만에 뵌 분들이 많았던 그곳에서 제일 많이 들은 말은 뻔했다. 누구 딸은 약사가 됐고, 누구 아들은 삼성전자에 붙었고, 누구는 회계사를 하고 있다더라. 그날 결혼한 두 분도 다 공기업에서 일하고 있었다. 한 친구분이 말을 이어가다 나에게 뭘 하고 있냐고 물으셨다. 나는 적당히 웃으며 직장인이라고 답했다.

      

그곳에서 인정받지 못한다고 해서 내가 살아온 시간의 의미가 없어지거나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그러나 안타까웠던 건 그곳에서 한 마디를 덧붙이지 못하는 엄마의 모습이었다. 나로서는 더 열심히 글을 쓰자고 다짐할 수밖에 없었다. 거기서 근황을 전해 들은 그 누구도 부럽지 않았다. 잘된 결과에 순수한 마음으로 박수를 보내줄 수는 있어도 그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았다. 내가 하고 싶은 모습도, 꿈꾸는 모습도 아니었다.

     

드라마 '또 오해영'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고등학교 때 같은 반이었던 동명이인의 친구를 부러워했던 이의 회고다.      


“근데 만약에 내가 완전히 사라지고 걔가 된다면, 

그런 기회가 온다면, 난 걔가 되기로 선택할까?      

안 하겠더라구요. 


난 내가 여기서 좀만 더 괜찮아지길 바랬던 거지, 

걔가 되길 원한 건 아니었어요. 

난 내가 여전히 애틋하고 잘 되길 바래요.” 

    

우리가 동경하는 건 대개 타인의 재력, 관계, 능력 같은 특정한 부분이지 그의 삶의 전부가 아니다. 스스로 고민하며 동고동락했던 정 때문인지 몰라도 나는 내 삶이 제일 소중하고 사랑스럽다. 뒤를 돌아보며 고생했다고 한없이 쓰다듬어주고 싶다. 입 떡 벌어지는 신분 같은 거 마련하지 못해도 괜찮으니 그냥 이 삶이 조금 더 잘 되고, 조금 더 나아지길 바란다. 아무하고도 바꾸고 싶지 않은 삶이라는 거. 그게 남은 평생을 함께 애쓸 나라는 동지에게 보내는 최고의 찬사이자 애정일지도 모르겠다. 

이전 03화 나는 애를 쓰지 않는데 엄마가 "애쓴다"고 말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