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블루 May 12. 2024

감정이 터져 나와 마그마처럼 쏟아질 때

감정 억제는 마음의 병을 키우는 전형적인 생활 습관입니다.  몸에 해로운 음식을 먹으면 몸에 병이 걸리기 쉬워지는 것과 비슷합니다. 감정 억제는 마음에 좋지 않습니다.


심리상담에서는 이 눌러놓은 감정을 작업합니다. 감정을 부인하거나 억누르지 않아도 될 만큼 안전한 공간, 신뢰할 수 있는 대상 그리고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자신에게 이롭다는 믿음, 이렇게 세 가지가 갖춰지면 오랫동안 눌러 놓았던 감정의 마개가 스르르 풀어집니다.


억눌렸던 것이 풀린다니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바로 이때가 마음을 세심히 다루어야 할 때입니다. 감정을 눌러놓은 기간이 길수록, 강한 감정을 눌러놓았을수록 그렇습니다.


심리상담에서 감정을 다룰 때 기억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올라오는 만큼  모두, 가능한 많이, 쏟아지는 감정을 거르지 않고 다 쏟아내는 것은 마음에 또 다른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올라오는 감정을 모두 쏟아내라고 권유하는 치료법도 있지만 그 충격을 견뎌내지 못하는 마음도 있습니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오는 감정의 마그마에 다치면 이렇게 됩니다.


 "상담하니까 오히려 더 힘들다, 마음속이 뒤죽박죽 된 것 같다"


그러고는 상담을 그만두게 됩니다.


오래 눌러놓았던 감정이 터져 나올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감정이라는 하나의 뿌리에는 여러 가지 다른 이야기를 담은 주머니들이 달려있습니다. 그 뿌리가 건드려지기 시작하면 그 감정과 관련된 다른 이야기 주머니들이 흔들립니다.


린 시절 나를 따돌렸던 동급생 이야기로 분노라는 감정의 뿌리가 건드려지면 이내 나보다 언니를 더 예뻐하며 섭섭하게 했던 가족에 대한 이야기 주머니가 스르르  풀려버립니다. 몇 분만에 수십 년간 눌러 놓았던 감정이 봉인해제될 때는 한 번에 하나씩 이야기 주머니를 풀어내는 것이 안전합니다.


얼마만큼 이야기를 쏟아내는 것이 적절한지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준이 있습니다. 상담을 하고 나서  후련하고 편안해졌다면 O.K.


상담을 하고 오히려 더 불안해지고 뒤죽박죽 된 느낌이 크다면 Not O.K. 이야기의 속도와 양을 조절해야 한다는 신호입니다.

심리상담이 안전하게 진행되면, 몸은 편안해지고 감정적으로는 안정된 느낌이 회복됩니다.

 





  마음을 고치는 이야기의  트라우마 치유 글쓰기 모임

 

        

이전 10화 자율신경계를 돌봐주세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