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혜 Oct 17. 2024

육아판 해님과 바람 이야기

내게는 매몰차고 차가운 구석이 있다.


이런 모습은 아이들을 대할 때도 종종 발현되는데 그래서 일을 더 크게 키우곤 한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 나도 같이 짜증이 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마치 모닥불 옆에 있던 마른 장작 같아서 내가 오히려 더 활활 타올라 버린다.


아, 좀 더 적절한 비유가 없을까. 불이라기보다는 차갑게 식은 매서운 바람 같은 느낌인데.


어쨌든 이럴 땐 아이가 자기 감정을 좀 달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해도 잘 들어주지 않는다. 안아주기도, 마음을 읽어주기도, 짜증의 원인이 된 문제를 해결해주기도 싫다.


지나고 나면 그럴 때 그냥 내 감정 꾹 누르고 아이를 우쭈쭈 해주고 나면 금방 지나갈 수 있었을텐데, 왜 그렇게 꽁 묶여 풀리지 못했을까 싶다.


해님과 바람 이야기에서 따뜻한 햇빛으로 나그네가 방어기제를 풀고 편안해지는 것처럼, 그때 아이를 오히려 품어주면 짜증과 고집이 풀렸을 것 같은데, 내가 매몰차게 굴어서 아이의 울음과 생떼가 더 심해진 것만 같다.


요즘 《세이노의 가르침》을 읽고 있는데, 거기에 어떤 운전 기사 이야기가 나온다. 세이노가 별 것 아닌 일로 기사에게 불 같이 화를 냈는데, 5분 뒤에 그가 바로 낯빛을 부드럽게 바꾼 뒤 웃으며 "사장님, 어디로 모실까요?" 했다는 거다. 세이노는 그의 프로 정신에 감복했고, 그를 유심히 지켜보다가 영업부 팀장으로 고속 승진시켰다.


나도 아이를 대할 때 이럴 수 있을까? 아이의 감정에 내가 휘둘리지 않고 한결같이 따뜻하게 대해줄 수 있을까? 그럴 수 있으면 좋겠다. 나도 매몰찬 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아이가 이렇게 짜증을 있는대로 내면서 울고불고 할 때 아이도 스스로의 감정이 당황스러운 것 같다. 본인도 그 격렬한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할지 모르는 거다. 그래서 자기를 좀 도와달라고 엄마에게 더 달라붙어 괴롭힌다. 이때 엄마가 겉으로 보이는 아이의 반응보다, 그 속에 있는 욕구를 알아주고 진심을 알아주면 아이는 금세 무장해제된다.


그런데 이렇게 알면서도 막상 그 상황이 되면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마는 극F 엄마라는 게 문제다. 극T인 남편은 매몰찬 나를 볼 때마다 아이들을 너무 함부로 대한다고 여겨서 부부싸움으로 발전할 때도 있다.


어떻게 하면 매서운 바람이 되지 않을 수 있을까? 내가 아는 한 가지는 일단 자면 괜찮아진다는 거다. 잘 자고 몸이 힘들지 않은 게 중요하다. 충분히 자자.


그리고 또 어떻게 하면 될까. 방법을 찾아 보자.


언젠가 아이가 옷깃을 꼭 여미고 내게서 돌아서게 될까봐 두렵다.


그리고 기억하자. 몰아세우고 다그친다고 안 되던 게 되는 건 아니라는 걸. 감정의 소용돌이에서 빨리 빠져나오고 싶다면, 일단 멈추고 나도 아이도 다독이며 큰 숨을 쉬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