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가 에디 Oct 22. 2023

자유를 얻으니까 "생각보다 별거 없잖아?"

에필로그 | 퇴사 후 자유를 얻으며 느낀 점

퇴사 이후 이 길을 걷는 과정 중에 행복감을 더 많이 느껴야겠다고 다짐한다. 

결과에서 얻는 행복이 이닌 과정 중에 느낄 수 있는 소소한 행복을.




회사를 나오고 자유를 얻으며 느낀 점.


"뭐야, 생각보다 별거 없네?".


생각보다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소소한 것에서 행복감을 느낀다.


"아름다운 하늘을 온전히 즐길 수 있을 때"

"평일 오전에 1시간 더 늦게 일어날 수 있을 때" 

"평일 오전에 아울렛을 다녀올 수 있을 때"


아울렛에는 주중 오전시간임에도 사람들이 참 많다. 한참 회사를 다니던 과거의 나는 "저 사람들은 대체 뭐하는 사람들일까" 생각했었지.  


물론 일상에서의 여유는 회사를 다니면서도 얻을 수 있다. 꼭 회사를 나와야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는 회사를 다니며 극한으로 시간을 쪼개서 살았기 때문에 여유가 없었다. 따라서 주어진 자유를 앞으로 어떻게 충분히 잘 활용할지 고민 중이다. 


퇴사 이후 이 길을 걷는 과정 중에 행복감을 더 많이 느껴야겠다고 다짐한다. 

결과에서 얻는 행복이 이닌 과정 중에 느낄 수 있는 소소한 행복을.


최근 주된 고민의 화두는 '몰입' '자유' 그리고 '현명한 삶' 이다. 이와 같은 생각은 회사에 있을 때보다 더 증폭되었다. 다행인 것은 회사 밖에서 나의 고민과 생각의 범주가 훨씬 더 커지고 넓어진 것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것이 내가 얻은 가장 큰 자산이다. 


먼 훗날, 내가 목표로 했던 종착지에서 나는 행복할까.


군 에서는 제대해서 자유를 얻으면 행복할 것 같았다.

취준생 때는 취업을 해서 취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 행복할 것 같았다. 

취업을 하면 5년 후에는 더 행복해질 줄 알았다. 


결론은 결과가 아니라 그 과정이 더 중요하다. 

그 사실을 우리가 인지하고 있다면, 훨씬 행복하게 이 길을 갈 수 있다.


앞으로 3개월, 6개월 후의 미래가 그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두 가지 모순된 감정이 교차한다.


첫째는, 기대만큼 성장의 속도가 느릴 수 있다는 생각. 

그래서 내 일을 한다면, 필연적으로 가져가야하는 '불안함'. 


둘째는, 지금보다 훨씬 잘될 수 있다는 생각. 

따라서 미래 또한 상상할 수 없다. 


조직은 싫었지만 회사에 있는 사람들은 참 좋았다.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거래처와의 관계도 좋았다. 그러나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 기반을 버리는 결정을 했다. 불안한 감정을 기반삼아 상방의 제한이 없는 삶을 선택했다.


따라서 나의 퇴사는 GOOD에서 GREAT로 가기 위한 선택인 것이다. 


이전 12화 앞으로 살아지는 삶은 없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