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무하 May 13. 2024

비극의 연쇄

밀란 쿤데라의 글을 보며...

하나의 행위는,
그것이 아무리 순수한 것일지라도 정적 속으로 사라지지 않는다.
그것의 결과로써 또 다른 행위가 일어나 사건들의 연쇄 전체를 흔들어 놓는다.
이처럼 셀 수 없는 끔찍한 변화를 초래하며 계속 이어지는 행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은 어디에서 끝이 날까? 
'오이디푸스 왕'의 결말 부분에 나오는 긴 연설에서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부모가 없애버리고자 했던 어린 몸뚱이를 살려놓은 사람들을 저주한다.
그리고 형용할 수 조차 없는 악을 촉발했던 맹목적인 선행을 저주한다.
좋은 의도가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하는 행위들의 연쇄도 저주한다. 또 모든 인간 존재를 하나로 묶어서 비극적인 한 인류를 만드는 이 무한한 연쇄를 저주한다.


오래전 노트에 적어놓았던 쿤데라의 '커튼'에 나오는 <비극의 연쇄>라는 글의 일부이다.


쿤데라의 글은 

글의 내용을 생각하기도 전에 거역할 수 없는 카르스마를 느끼게 한다.

마치 쿤데라 커튼 교향곡 5번 비극의 연쇄라는 음악을 듣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아니면 중세에 그려진 성화를 보는 듯 성스러운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물론 개인적인 느낌이다.)




굳이 '나비효과'라는 말을 꺼내지 않더라도, 

인간의 행위는 또 다른 행위를 낳게 된다.

선의에 의해 이루어진 일들마저도,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고, 누군가를 다치게 할 수도 있다.


누군가와 같이 살아가고 있는 한,

나는 

나의 행동과 말, 

그리고 나의 글을 소심하고 조심스럽게 세상에 올려놓는다.


나의 행동과 말과 글이 아무에게도 영향을 주지 않고, 정적 속으로 사라져 버리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이전 07화 그리움과 함께 사는 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