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민 May 13. 2022

온정리 해변의 소나무

부산을 말하다

그림 이종민



온정리 해변에 가면 다양한 표정의 바다와 물결을 비집고 늘어선 올망졸망 바위들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그 모습은 마치 오래된 앨범 속의 한 컷인 양 내 기억에 자리하며 가끔 내게 수다를 떤다. “야! 이럴 땐 바다로 나가란 말이야. 거기서 그것들과 어울려 보아.”


이만치 싫증이 나지 않는 풍경도 없다. 일종의 자기 최면이라 할까? 열렬히 사랑하여야만 숨통이 트일 것만 같은. 거기에 늘어선 몇 개의 신축 건물들과 새로 생긴 도로는 내 관심 밖이다. 늘 등 뒤에 서게 되는 그것들은 나의 풍경이 되지 못한다. 오로지 바다의 격정과 바위와 나무들의 두런거림만이 나를 불러낸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경계에 인위적으로 나무를 심곤 한다. 마치 바다를 향해 선전포고라도 하듯 계획적이고 도전적으로. 사람들은 얼마 후 나무가 사람의 뜻보다는 바다와 바람의 질서를 더 따를 것이라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한다. 결국 나무는 점점 자신의 길을 간다. 종내에 바다를 향하고 유연하게 바람을 탄다. 마치 내가 콘크리트 건물과 아스팔트 도로를 등지듯. 그때 비로소 나무도 내 풍경으로 들어오게 되고, 나는 나무를 그려 보기로 한다. 


그림을 올린 내 인스타그람을 방문한 어느 분께서 댓글을 달아 주었다. “바다에 늘어선 소나무들이 듬직해 보이지만 사실은 수다스러운 느낌을 숨길 수 없습니다.” 나는 그 감상이 참 좋았다. 그이의 눈이 내 눈보다 더 정확하고 옳았다. 듬직하기를 바란 것이 나무를 심은 사람의 욕망이었다면, 바다는 가지와 잎을 이처럼 수다스럽게 변모시켰을 게다.  그이의 표현처럼 나무는 바다에 말을 걸고 싶었던 게 분명하다. 가지를 살랑살랑 흔들기도 하고, 때론 격렬하게 부르짖기에 하였으리라. 그리하여 몸은 쏠리고 비틀어지고, 가끔 사람들이 제 몸에 기대어 짜증스럽더라도 나무는 행복했으리라.


나무는 여전히 수다를 멈추지 않는다. 아마도 뿌리가 썩고 잎이 말라 죽을 때까지 그럴 것이다. 나는 그러한 나무의 본성과 순수 앞에 잠시 서고, 그 거친 등걸에 내 손을 얹고 잠시 나무의 순수를 위로하였다. 나무야 나무야. 수다스러운 나무야! 그러한 너의 자유를 나는 사랑한다. 

,

이전 09화 대변항 멸치털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