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4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소설가 김영하 추천책 '완벽한 아이'

삶을 지속할 이유에 대한 발견

by 김유례 Dec 05. 2020


"그 누구도 지평선을 빼앗긴 채 살아서는 안 된다."

모드 쥘리앵 <완벽한 아이> p. 280


바다를 좋아해서, 수평선이라면 수도 없이 넋을 놓고 바라봤다. 광활하게 펼쳐진 풍경을 마주하고 있으면 속이 뻥 뚫린 듯 시원해진다는데, 나는 이 드넓은 세계에 대한 공포를 느낀다. 그런데도 그 경계를 끝까지 응시하는 건 영영 만날 수 없는 바다와 하늘이 지금 내 눈앞에서 맞붙어 있다는 조금의 희열 때문이다.      


모드 쥘리앵의 '완벽한 아이'는 부모의 일그러진 가치관으로 삶의 조각조각까지 계획됐던 한 여성의 유년 시절을 담고 있다. '인간은 더없이 사악하고 세상은 더없이 위험하다'는 것이 그의 아버지가 세상에 내린 결론이었고, '초인적인 존재의 탄생'이라는 거대한 목표가 아니고서야 그의 탄생은 정당화 될 수 없었다.  


'퓨즈가 나가서 방이 깜깜해지면 책을 가슴 위에 얹고 조금 전까지 읽은 내용을 머릿속에 떠올리며 기쁨에 젖는다.' 이 한 문장에 그의 유년 시절이 응축되는 듯하다. 작가의 아버지는 딸의 육체를 속박했으나 마음마저 훔칠 순 없었다. 눈으로 읽어내려가는 것만으로도 힘겨워 굳이 열거하고 싶지 않은 일련의 사건 속에서도 그는 생각하기를, 사랑하기를, 표현하기를 멈추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책 말미에 다가서서 경탄과 찬사의 눈물을 훔치느라 팔꿈치를 접고 들어 올려 그 사이에 고개를 박았다.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줄타기를 그만두고, 그냥 그사이를 지켜 바라볼 수 있는 자유를 얻고 싶다. 무엇이 되기 위한 존재가 아닌, 나는 나라는 존재 자체를 위해 고군분투할 뿐이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매거진의 이전글 아직도 잘 모르지만 어쨌든 살아가는 중입니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