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수기 Mar 15. 2024

번역가가 중요한 이유

외국어 유목민의 자아성찰 15

요즘은 AI 가 매우 잘 되어 있어서 웬만한 해석은 모두 다 해결이 되는 정도다. 그러나 분명 섬세한 의미 전달은 사람의 손을 거칠 수 없는 일인데 AI 때문에 마치 사람 단계가 필요 없게 느껴지는 듯하다. 이런 것은 정말이지 언어의 예술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AI 가 쓴 소설을 보고 놀라기도 했다만 나는 AI는 의미를 알고 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로지 독자의 해석만이 의미가 있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나는 언젠가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라는 소설의 원서를 직접 구해 읽어본 적이 있다. 사전을 찾아가며 해석해 보았지만 자연스럽고 매끄러우면서도 소설의 분위기를 살리는 번역은 불가능했다. 뭐 당연한 일 아닌가.

이게 직접 해보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게 되는 것 같다. 특히나 소설이나 시를 번역해야 할 때 말이다. 그러니까 잘 번역된 글을 읽는 것은 정말이지 그 노고에 감사해야 하는 것이다.


최근 ‘김화영의 번역수첩’이라는 책을 읽고 있다. 이 번역가님은 프랑스 문학 번역가로 매우 유명하신 분이고 알베르 카뮈 전집을 번역하신 것으로도 그 이력이 매우 대단하신 분이다.

한편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프랑스 문학들을 들여오기도 하신 분인데 그중엔 내가 매우 좋아하는 파트리크 모디아노도 있다.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라는 책인데 내가 프랑스 문학 코너를 기웃거리게 만든 그 책이다.


김화영 번역가님의 책을 읽다 보면 얼마나 번역가분들의 혜안이 중요한지 느껴진다. 아마 이런 분들은 AI의 문제점과 한계를 너무나 잘 알고 계실 텐데, 보통의 사람들은 전혀 그런 부분을 인지할 필요성을 못 느끼고 사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난 꾸준히 원서를 구해서 읽어보고자 한다. 번역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느끼기 위하여, 번역된 책들이 얼마나 고마운 것인지, 번역가 분들의 노고가 얼마나 스며들어있는지 인지하기 위해서 말이다.


이전 14화 언어는 도구가 아니라 예술이기에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