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연철 Mar 01. 2024

현실은 그렇지 않은데 이야기는 말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

이야기 구조를 익히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2)

이야기 구조를 가르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수준 높은 이야기를 만들면 좋겠다는 바람은 포기할 수 없습니다. 이야기 만들기를 시작할 때부터 과한 욕심을 부리면 안 됩니다만, 이야기 만들기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다음부터는 이야기 구조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좋습니다. 항상 그렇지만,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야기 구조를 익히고 싶다면 완성도 높은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그림책을 많이 읽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큰 도움은 안 됩니다. 그건 성인 독자를 생각해 보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그동안 소설과 영화, 그러니까 체계적인 구조를 갖춘 이야기를 많이 읽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제 이야기를 써보려면 지금도 턱 막힙니다. 이야기 쓰는 것 자체가 어려운데 거기에 구조까지 갖춘 글을 쓰려면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많이 읽으면 쓰기와 말하기도 잘하게 된다는 말은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상관은 있되, 그 상관정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 믿음에 대한 근거가 그리 튼튼하진 않습니다. 읽기와 쓰기, 읽기와 말하기의 관계는 적어도 인과관계는 아닙니다. 마술처럼 이루어지는 관계는 아닙니다.


읽기와 쓰기의 관계를 이야기하면서 간혹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이라는 말을 인용하곤 합니다. 중국문인 구양수 님의 말입니다. 그런데 그건 읽기와 쓰기의 관계에 대한 말이 아닙니다. 학문을 대할 때,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말입니다. 다독한다고 해서 저절로 다작이 이루어진다면 그 두 가지를 따로 제안했을 리 없습니다. 다작과 다독은 서로 연관이 있긴 하지만 서로 다른 영역입니다.


예술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미술 감상 경험이 많다고 해서 그림을 잘 그릴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미술 감상을 많이 하면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미술 감상을 많이 했다고 마법같이 그림 실력이 느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실제로 그려봐야 그림 실력이 늡니다. 마찬가지로 이야기 구조를 익히려면 이야기를 많이 만들어 봐야 합니다.


이영자와 박미라(1992)의 연구결과를 소개했습니다. 저도 이야기 구조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발달단계에 얽매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발달 단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최종 단계만 염두에 두게 됩니다. 이전의 모든 단계는 최종단계에 이르기 위한 과정에 불과하게 됩니다. 단계에 집착하면, 아이들의 이야기에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아이들이 어떤 의미를 부여했는지 주의 깊게 살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이야기에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가, 이야기 구조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사건 발생 순서대로 연결되는 이야기, 그리고 중심 사건이 없는 이야기가 ‘수준이 낮은’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앞에서 살펴보았던, ‘허무맹랑한 이야기’와 ‘사건만 나열하는 이야기’는, 이야기 구조를 갖추지 않은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그 이야기는 아이들의 경험과 상상이 담겨 있는, 그러니까 아이들에게는 매우 의미 있는 작품입니다. 그러니까 이야기의 구조를 갖추었는지 여부와 같은 형식적인 측면, 즉 단계별 구분에 집착하면 곤란합니다. 아이들이 이야기 안에 어떤 의미를 담았는지, 어떤 경험을 담았는지, 즉 내용적인 면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점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들 이야기가 개연성 있는 구조를 갖지 못하는 건, 사실 매우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기까지 합니다. 소설가, 톰 크랜시(Tom Clancy)가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하더군요. “현실과 소설의 차이? 소설은 말이 되잖아!1) 우리가 이야기 구조에 집착하는 건, 현실이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실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야기라도 말이 되게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원래의 삶을 이야기로 그대로 옮긴다면 말이 안 되어야 말이 됩니다.


최연철, 2024. 3. 1. (Midjourney로 그림)


그러니까 처음부터 이야기 구조를 가르치면 안 됩니다. 다만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몇 가지 활동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1) 영어 원문: The difference between fiction and reality? Fiction has to make sense.

이전 23화 이야기발달단계는 펜로즈 계단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