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기억이응 Nov 16. 2019

레드야, 오랜만이다.

                                                                                                                                                                                                                                                                                                                                                                                                                                                                                                                                                                                                                       

“레드”
     
나는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써온 일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 어릴 때부터 내 글을 버리지 못하고 소중히 모아두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변하는 필체들, 기억나지 않는 이름들, 사건들. 나의 생각 말들이 담겨 있다. 늘 미래를 궁금해하던 작은 손가락에 쥐어진 연필은 끊임없이 물음표를 던져대고 있다. 그 미래에 와 있는 내가 빛바랜 일기장 속 나를 본다. 알 수 없는 기쁨과 슬픔이 파도처럼 왔다 갔다 한다. 과거의 어린 나를 글로 마주하는 시간. 그 타임캡슐을 이제 서서히 열어보려 한다. 나의 오타 범벅 역사서를 다시 읽어 보려 한다. 지금 나는 과거의 나에게 묻고 싶다. 대체 나는 어떤 아이인지 말이다.
     





1991년 12월 27일  금요일  날씨:맑음  00국민학교 4학년 4반
     
제목: 레드
레드 요새는 너를 자주 까먹어. 일기를 쓸 때마다 너를 자주 잊어. 레드! 이제는 매일매일 너를 잊지 않을게. 그리고 내가 자꾸자꾸 크면 매일매일 너를 잊지 않을 거야.
하지만 너 레드도 나를 잊으면 안 돼!
내가 너를 잊으면 네가 나를 불러 알겠지. 꼭이야.
내가 서른이 넘어도 너를 잊지 않을게.
레드도 똑같이 할까?
     
     
서른 후반인 나는 11살 내가 부르던 일기장 이름' 레드'가 낯설다. 아무래도 그 촌스러운 이름의 기원이 ‘안나의 일기’이지 않을까 싶다. 안나도 일기장에 이름을 만들어 친구처럼 이름을 부르며 일기를 썼으니 확신에 가깝다. 어린 나는 숙제였던 일기가 그리 싫지는 않았나 보다. 결국 ‘레드’는 자기를 잊지 말라며 나를 불러내고 말았다. 그리고 어린 내가 서른이 넘은 나에게 넘긴 그 약속대로 나는 레드를 다시 찾았다.
     
레드는 아마도 내게 오랫동안 숨어있었는지 모른다. 시시콜콜 평범한 일들이나 속상하고 분하고 슬픈 일들을 다 쏟아내던 유일한 친구. 어린 내가 부르던 ‘레드’는 이제 내게 다시 글을 써보라고 말해준다. 조금 더 글로 솔직해지라고. 너를 보이라고. 너를 다 자기에게 얘기해보라고. 어린 내가 삐뚤빼뚤 오타 속에서 웃고 있다. 모든 걸 안다는 듯이. 서른이 넘은 네가 다시 올 줄 알았다는 듯이.                                                 
























이전 01화 다시 읽는 일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