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샨티 Jul 28. 2020

지금 전원주택에 살아야 하는 이유

코로나시대, 인간도 자연의 일부

                                                                                                                                               


초록 초록한 여름이 한창입니다.


제가 사는 곳 양평이 정말 양평스러워지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산과 강, 그리고 계곡이 멋진 곳이거든요.

코로나 시기 자연의 자발적 재생이 이루어지는지, 하늘은 더 파랗고 공기도 더 맑아지고 세상은 한층 더 그린이 되어갑니다.


며칠 전에 <마당 있는 집에 살고 싶은 분들께 던지는 질문 3가지>이라는 글을 썼는데요, 전원생활에 있어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분명히 있음을 말씀드리고 싶었어요.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와 주택을 고르라고 하면 저는 <전원주택>을 선택합니다!


지금은 맞벌이에 여러 상황 때문에 양평 숲세권 아파트 저층(여기도 감사한 곳이지요!)에 살지만, 궁극적으로 살고 싶은 주거형태는 마당 있는 전원주택이거든요.


오늘은 왜 시골의 전원주택에서 살아야 하는지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양평에서 마당 있는 전원주택에 살아야 하는 이유 네 가지




1.  안전성(Safety)


이건 코로나 이전 시기라면 큰 고려 대상이 아니었겠지만, 지금은 너무나 중요한 근본 가치이기에 제일 먼저 쓰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올 초 코로나의 폭발적인 전파력으로 갑작스레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행되었는데요, 저도 재택근무를 하고 저희 아이들도 가정 보육 기간을 한 달 넘게 보냈습니다.


아이 둘 데리고 외출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도 '미춰~버리지 않고' 그 시간을 무난히 보낼 수 있었던 것에는 '전원주택'의 힘이 있었습니다.

집에 놀다가, 마당에 놀다가, 오후에는 인적 드문 동네 산길을 산책하는 루틴으로 살았거든요.


나오면 하늘이 있고, 달릴 수 있는 공터가 있었고 산과 개천이 있었잖아요.

저흰 코로나 상황에도 진달래, 개나리도 보고, 쑥과 냉이도 캐고, 찔레순도 뜯어먹었습니다.

                                              

마당의 과실수를 따먹기도 했지요


누군지 모르는 타인과 접촉하는 것이 가장 두려운 일상이 되어버린 지금, 드문드문 떨어져 사회적 거리를 두고 살아왔던 시골 사람들은 확실히 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것 같습니다.


(제가 사는 지역에서 코로나 확진자가 된 분들은 100% 서울 출퇴근자였다는 사실!)


                          

                                                                                                                         

2. 뛰어도 된다


아이 낳은 후에 아파트 생활을 기피했던 이유 중에 하나가 뛰면 안 되어서였습니다.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고 뛰면서 노는 존재인데, 그걸 알면서도 뛰지 말라고 잔소리하거나 훈육을 해야 한다는 사실이 슬펐습니다.


전원주택 1층에 살면서 정말 많이 뛰었어요. 거실이 넓어서 아들내미는 아빠랑 축구랑 미니 야구 놀이도 했었고요, 문만 열면 바로 마당이라 맨발로 흙과 잔디 밟으면 마구 뛰어다녔어요. 우리 딸은 발레며 춤이며 몸을 실컷 움직이곤 했었지요.


다행히 이번에 이사한 숲세권 아파트는 3층 필로티층인데 아래층이 없어서 뛰어도 되어 마음에 들었습니다. (4층부터는 계단으로 다니기 좀 버거운 층수지만, 3층까지는 별일이 없으면 운동할 겸, 엘리베이터 안 탈 겸, 걸어 다니고 있지요. 이젠 아파트도 엘리베이터 안 타도되는 저층이 로열층이 되지 않을까 전망해봅니다)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상황이 길어지면서 층간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다툼이 심해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바이러스 상황이 지속되는 것도 그렇고, 집에만 있다 보니 아무래도 감각적으로 예민해지기 쉬우니 평소에는 참고 견뎠던 이웃의 생활 소음이 극심한 스트레스가  된 것 같아요.


마당 있는 집, 전원주택의 묘미는 뛰어도 되는 환경과 아이들의 정서적 건강성인 것 같습니다.


                                              

이렇게 뛰어놀 때면, 벌레며 습기에 대한 불만이 다 사라지고 맙니다




                                                                                                                                                            

3. 먹을거리의 자급



식재료는 마트 가서 사 오면 되고, 온라인으로 배송시켜도 되는 세상이지요.

그런데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이 20% 정도로, OECD 국가 중  하위권이라는 점입니다.


(*식량자급률 : 자국 내에 소비되는 식품 중에 어느 정도가 국내산으로 조달되고 있는지 나타나는 지표)


곡물 중 쌀은 97.3%로 높은 편인데(2018년 기준), 그 외 주요 곡물의 경우 밀 1.2%, 옥수수 3.3%, 콩 25.4%, 보리쌀 32.6%에 불과한 게 우리나라의 현주소입니다.


(참고기사 : 포스트 코로나시대, 식량안보가 중요한 이유)


언제 어느 때에 외국의 농산물 공급이 줄어들지 알 수 없는 것이 코로나 상황이고, 코로나가 쉽게 종식될 수 없다는 것을 이제는 현실로 받아들여야 할 이때, 식량의 중요성은 높아집니다.


마당 있는 주택의 텃밭에서 각종 채소를 골고루 심고 가꾼다면  봄과 여름, 가을까지 푸성귀에 대한 부담은 줄어들 것이고, 쑥과 냉이 등 자연의 들판에서 채취할 수 있는 먹거리도 꽤 많을 것입니다.


시멘트나 반도체를 파먹고 살 순 없지만, 빈 땅이 있고 심을 수 있는 씨앗이 있다면 어쨌거나 먹고는 살게 됩니다.


송편을 삶았더니, 마당으로 달려나가 솔잎을 뜯어온 아이들. 솔잎 향도 먹을 수 있는 마당있는 집^^



                                                                                                                                               

4. 자연과 함께 하는 삶


첫 직장이 수도권 도심지역이었는데, 지방의 시골에서 올라온 저는 주말이면 사람들이 차 타고 도시 밖으로 나가는 문화에 깜짝 놀랐습니다.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자연을 찾는구나 싶었지요.


발도르프 12 감각을 공부하는 중인데, 욕망을 나타나는 붉은색과 다르게 초록은 욕망이 없는 색깔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자연은 편안함을 주는 것 같습니다.


무언가를 도전하고 성취하고 가지는 삶도 필요하지만 자연과 함께 하는 일상은 이제 필수입니다.


마당 있는 집에서 뒤에는 산이 있고 앞에는 강이 흐르는 자연 속에 사는 마음은 아마도 평화에 더 닿아있을 것입니다. 꽃까지 가꾼다면 더 좋겠지요!             

                                

예쁜 꽃을 보는 재미는, 전원주택의 묘미!

                                                                                                                                                                                                                                                                                 


                                              

                                                                                                                                              

지난 포스팅의 벌레와 해충, 관리해야 하는 수고로움 등등의 전원주택의 현실적 문제와 균형을 맞추어, 전원주택에서 살아야 하는 이유들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좋으냐고요?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은 살리는 방법입니다.                                        


첫째, 일단 살아보며 내 스타일을 실험해볼 것
둘째, 좋은 땅에 좋은 자재로 집을 잘 지을 것

                                                                                                                                                                                                                                                                        

이래저래 머리를 써도 집은 '운과 인연'의 영향도 받는 것 같습니다.


노력을 하되 그 이상의 영역은 감사함으로 받아들이며, 지금 있는 곳에서 하루하루 충실히 살아가면 좋겠습니다.                                               

언제든 마당에서 구워먹을 수 있는 바베큐~ 이 또한 전원주택의 맛!

                                                                                                                                                                                                                                                                                                     

                                            


+함께 읽으면 좋은 글

5년간의 자발적 가난 실험기

숲세권 내 집을 마련했어요

마당있는 집에 살고싶은 분들께 던지는 현실적 질문 3가지


                        































































































                                              






































                                             














































































둘째, 좋은 땅에 좋은 자재로 집을 잘 지을 것

매거진의 이전글 5년 간의 자발적 가난 실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