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북블레이더 Aug 28. 2024

호밀밭의 파수꾼

당신은 진정한 어른이 되었습니까?

당신도 이 불쾌한 소년이었을 것이다


'호밀밭의 파수꾼'은 마치 사춘기의 정수를 증류해 책으로 만든 듯하다. 그 특유의 불만과 냉소, 그리고 세상을 향한 분노가 페이지마다 묻어난다. 홀든 콜필드, 이 이름은 마치 십대들의 반항심과 어른들의 두통을 동시에 상징하는 듯하다. 그의 목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마치 옛날의 나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든다. 아, 그 시절의 나는 얼마나 불편한 존재였던가.


하지만 이 소설이 단순히 반항아의 하소연에 그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그것은 우리 모두의 내면에 숨어있는 '작은 홀든' 때문일 것이다. 우리도 한때는 모두 홀든이었고, 어쩌면 지금도 그럴지도 모른다. 


홀든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은 위선과 가식으로 가득 차 있다. 그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세계는 한마디로 '가짜'다. "모두들 가식적이야. 그게 날 미치게 만들어." 이런 그의 말을 들으면, 우리는 과연 어떤 반응을 보일까? 그의 비난이 과연 정당한 것일까? 아니면 그저 미성숙한 십대의 투정에 불과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당신의 대답이 바로 당신이 어느 정도로 '어른'이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다. 홀든의 비난에 동의한다면, 당신은 아직 순수함을 간직한 '어린이'일 것이고, 그의 말을 치기어린 투정으로 치부한다면, 당신은 이미 완전한 '어른'이 되어버린 것일지도 모른다.


이 소설의 묘미는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독자에게 맡긴다는 점이다. 당신은 홀든의 편인가, 아니면 그가 비난하는 '어른들'의 편인가? 아니면 그 중간 어딘가에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변할 것이다. 20대의 당신과 40대의 당신이 이 소설을 읽고 느끼는 감정은 분명 다를 것이다.


세일린저는 이 작품을 통해 우리 사회의 불편한 진실을 드러낸다. 성인이 되는 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고통, 그리고 그 과정에서 느끼는 세상에 대한 환멸. 이는 비단 50년대 미국 사회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딘가에 있을 현대판 홀든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들은 아마도 인스타그램이나 틱톡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향해 절규하고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소설은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진정한 어른이 되었습니까? 

아니면 그저 홀든이, 어쩌면 과거의 당신이 비난했던 위선자가 되었습니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아마도 우리 각자의 몫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답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계속해서 변화할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평생 동안 홀든과 어른 사이를 오가며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줄거리 요약

16세 소년 홀든 콜필드는 또 다시 학교에서 퇴학당한다. 이번이 벌써 네 번째다. 크리스마스 방학을 앞두고 학교를 떠나기로 결심한 그는 뉴욕으로 향한다. 그의 여정은 마치 현대판 오디세이아와도 같다. 다만 그가 맞서는 것은 신화 속 괴물이 아닌, 현실 세계의 '가짜'들이다.


홀든의 뉴욕 여행은 3일간 계속된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마치 미로 속을 헤매는 듯한 경험을 한다. 그는 호텔에 머물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난다. 그의 옛 선생님, 매춘부, 수녀, 그리고 옛 여자친구까지. 하지만 그 누구와도 진정한 소통을 이루지 못한다. 그의 유일한 위안은 동생 피비뿐이다.


홀든은 계속해서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고민한다. 그는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절벽 끝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을 지키는 사람. 이는 그가 순수함을 지키고 싶어 하는 마음의 상징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는 그것이 불가능한 일임을 알고 있다.


결국 홀든은 집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그 전에 그는 동생 피비를 만나 함께 시간을 보낸다. 소설의 마지막에서 홀든은 회상 속에서 피비가 회전목마를 타는 모습을 바라보며, 잠시나마 평화를 느낀다. 이 장면은 마치 홀든이 잃어버린 순수함을 다시 찾은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이것이 과연 해피엔딩일까? 홀든은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그의 이야기는 그가 병원에서 회상하는 형식으로 전개된다. 이는 그의 반항이 결국 실패로 끝났음을 암시한다. 하지만 동시에, 그가 아직 희망을 버리지 않았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요 등장인물


 • 홀든 콜필드: 16세 소년으로, 세상을 향한 냉소와 불만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동시에 순수함과 연민을 지니고 있다. 그의 빨간 사냥모자는 그의 반항심을 상징한다. "나는 거짓말쟁이예요. 인생에서 가장 끔찍한 거짓말쟁이죠." 이런 그의 말은 자신에 대한 깊은 불신과 동시에 진실을 추구하는 모순된 욕망을 보여준다.


 • 피비: 홀든의 동생으로, 그의 유일한 위안이자 그를 현실로 돌아오게 하는 존재다. 피비는 홀든이 지키고 싶어하는 순수함의 화신이다. "그녀는 언제나 똑같아요. 당신이 그녀를 만날 때마다요." 이 말은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변하지 않는 순수함에 대한 홀든의 갈망을 보여준다.


 • 미스터 앤톨리니: 홀든의 옛 선생님으로, 그를 이해하려 노력하지만 결국 실패한다. 그는 홀든에게 조언을 해주려 하지만, 결국 홀든은 그를 오해하고 도망친다. 이는 세대 간의 소통 불가능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제인 갤러거: 홀든의 옛 여자친구로, 그의 기억 속에서 순수함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홀든은 끝내 그녀에게 전화를 걸지 못한다. 이는 그가 과거의 순수함으로 돌아가고 싶어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불가능함을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핵심 주제 및 모티프


 • 성인이 되는 과정의 혼란: 홀든의 여정은 곧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의 혼란을 상징한다. 그는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면서도, 동시에 그것이 불가피함을 알고 있다. 이는 모든 청소년이 겪는 성장통을 반영한다.


 • 순수함의 상실: 홀든은 끊임없이 순수함을 지키려 노력하지만, 동시에 그것의 불가능함을 깨달아간다. 그의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는 말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소외와 고립: 홀든은 주변 사람들과 진정한 소통을 이루지 못하고 계속해서 소외감을 느낀다. 그의 뉴욕 여행은 결국 고독한 여정이 된다.


 • 위선에 대한 비판: 홀든의 시선을 통해 사회의 위선과 가식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어른들은 모두 가짜야." 라는 그의 말은 이를 잘 보여준다.


사회적 및 역사적 배경


'호밀밭의 파수꾼'은 1950년대 미국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전후 경제 호황기의 미국 사회에서, 겉으로는 평화롭고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 숨겨진 문제들을 드러낸다. 


이 시기는 또한 청소년 문화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다. 제임스 딘의 '이유 없는 반항'이 개봉한 것도 이 무렵이다. 홀든의 반항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더욱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 시기는 냉전의 시작과 함께 매카시즘이 횡행하던 때이기도 하다. 겉으로는 안정되어 보이는 사회지만, 그 내면에는 불안과 공포가 자리잡고 있었다. 홀든의 불안과 혼란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세일린저의 작품은 당시 사회의 위선과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면서도, 동시에 그 사회에서 살아가야 하는 청소년의 고민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주제로,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고민과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호밀밭의 파수꾼'은 시대를 초월한 성장 소설이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겪었거나, 겪고 있거나, 혹은 겪게 될 성장통에 대한 이야기다. 홀든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묻게 된다. "우리는 과연 진정한 어른이 되었는가?"

이전 22화 파우스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