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상열 Apr 12. 2020

일상과 글쓰기의 상관관계


매일 시간이 날 때마다 글을 쓰곤 한다. 노트를 펴고 연필로 써보기도 하고, 노트북을 켜고 타자를 친다. 글쓰기는 잊고 살았던 과거의 기억이나 현재를 살아가는 평범한 일상 속에 있는 자신의 삶을 발견하고 다시 해석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지나간 과거는 되돌릴 수 없으니 글을 쓰면서 그 당시 느꼈던 아쉬움을 달래기도 한다. 현재 일상을 살아가며 만나는 모든 사람과의 사건, 사물과의 관계 등에서 다양한 글을 쓸 수 있다. 

     

지금까지 만 4년간 글을 쓰면서 일상과 글쓰기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일상 속에 기쁘거나 즐거운 일이 있는 날에 쓰는 글은 상당히 생명력 있고 활기차게 살아있다. 그런 글을 보면 쳐진 기분도 되살아나게 하는 힘이 있다. 반대로 상사에게 혼나거나 부부싸움을 하는 등 나쁜 일로 인해 지치고 피곤한 날에 쓰는 글은 상당히 날카롭고 날이 서 있다.      


독자가 이런 글을 읽으면 같이 기운이 빠지고 우울해지기도 한다. 즉 일상과 글쓰기 중간에 그 작가의 감정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직접 나오는 말과 한번 걸러지는 글의 차이는 조금 있지만 그만큼 작가의 에너지가 그대로 드러난다.      

예를 들어보자. 말을 듣지 않는 아이를 몇 번 달래다가 결국 감정이 폭발한 날이 있다. 그 감정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심호흡을 한번 하고 글을 써본다. 역시 주제는 “아이에게 좋은 말을 쓰고, 감정 조절을 해보자.”라고 생각하고 쓴다. 쓰다보니 결론이 “육아는 역시 어렵고, 나는 여전히 감정 조절이 힘든 서툰 아빠다.”라고 끝난다.   

   

아직 화가 가라앉지 않았는데 억지로 “아이에게 좋은 말을 써야 한다.”라고 쓰긴 어려운 일이다. 처음 생각했던 주제대로 쓰려 했지만, 일상에서 나쁜 감정을 느껴 그대로 쓰지 못하고 어두운 느낌의 글이 된 것이다.     

 

내가 지금까지 쓴 글들을 본 지인이나 동료 작가들은 이렇게 말한다. 


“이제 이런 어두운 글 말고 밝고 재미있게 좀 써보면 어때?”      


이런 질문을 들을 때마다 내 글이 그렇게 어두웠는지 잘 몰랐지만, 좀 고민했더니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아왔던 내 일상의 합 자체가 무겁고 짓눌린 분위기이다 보니 나도 모르게 한숨쉬는 날이 많았다. 그런 에너지가 계속 쌓여 있으니 글 자체도 그렇게 나올 수 밖에. 강의하는 모습을 본 멘토들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내용은 좋은데 힘이 없어. 좀 활기차게 하면 더 좋을 텐데.”     


일상에서 나오는 모습이 그대로 나의 말과 글이 된다는 사실을 이제야 깨달았다. 평소 생활이 즐겁고 기뻐야 나의 글도 활기차고 힘이 생긴다. 표현 자체도 다채롭게 펼쳐진다. 적당한 유머코드가 들어가 웃음도 유발할 수 있다. 말투와 표정부터 긍정적으로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는 좀 더 즐겁고 기쁜 글을 많이 쓰고 싶다. 내 글을 만나는 독자들도 같이 행복을 느낄 수 있게 말이다.      


“일상이 즐거우면 내가 쓰는 글도 행복하다.”      


#일상과글쓰기의관계 #일상 #감정 #좋은글 #재미있는글 #글쓰기 #글 #부정적인글 #긍정적인글 #자기계발 #단상 #황상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