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자인 잡상인 Aug 10. 2021

재벌회장도 요플레 뚜껑은 못참지

일상 디자인 #17 : 어떤 적당함













21년 8월 10일 연재분,

일상 디자인 #17 : 어떤 적당함



이번에는 재벌 회장도 못 참는
요플레 뚜껑 이야기를 한번 해볼까 합니다.


<요플레>는 떠먹는 요거트 시장의 대표주자입니다.

이러한 컵 요거트의 가장 큰 아이덴티티는 뚜껑을 열었을 때

묻어있는 2g 남짓의 요거트가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이 뚜껑에 묻은 요플레- 이유는 모르겠지만 괜시리 더 맛있게 느껴지는 것은

비단 저 뿐만이 아닐 것 같습니다. 



여기서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뚜껑의 묻은 요플레의 양이 통에 담긴 양보다 더 적다는 점입니다.

약간 모자란 듯한 그 감질맛이 뚜껑에 묻은 요플레를

더 맛있게 느껴지게끔 하는 것 같거든요.

(베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도 가끔 맛보기 한 입이 제일 맛있을 때가 있습니다)


수박바의 빨간부분과 초록부분을 뒤집어버린 <거꾸로 수박바>처럼

조금만 먹을 땐 무척 맛있게 느껴지던 것이, 그것만 양껏 먹으면 금방 물려버릴 때가 있습니다.

과하면 독이 된다는 말처럼, 적당한 균형감이 필요하단 교훈일테죠.

(월드콘 꼭다리만 모아뒀다는 머디바이츠라는 수입과자도 금방 물릴 지 궁금하네요)


그런 의미에서 요즘의 가전제품 디자인 트렌드 또한

이 <적당함>을 점점 갖춰가는 것 처럼 보입니다.

소비자가 구매할 가전이 집이라는 공간에서 주연이 될지, 조연이 될지를 잘 생각해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나고 있는 것 같거든요.


원 디바이스 인 멀티유즈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지만,

때론 필요한 기능과 디자인의 균형감을 갖춘 제품들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바야흐로 융복합의 시대, 디자이너가 가져야 할 여러 역할 중 하나는

바로 이런 적당함, 균형감을 찾아낼 수 있는 시선은 아닐까요?



https://www.instagram.com/p/CSXx2ouJbmV/?utm_source=ig_web_copy_link

위 만화는 인스타그램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 17화 사라지는 것들은 흔적을 남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